스몰데이터 - 빅데이터도 말하지 못하는 고객행동에 관한 놀라운 진실
마틴 린드스트롬 지음, 최원식 옮김 / 로드북 / 2017년 7월
평점 :
절판


 

 

 

빅 데이터는 기업의 핵심 중 하나이다. 기업은 데이터를 여러모로 분석해 개별 고객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서비스를 새롭게 제공하거나 틈새시장을 개척해 시장을 선점할 수 있다. 뉴스에 달린 댓글, 유튜브의 동영상,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올린 글 등도 서버에 기록돼 데이터로 남는다. 이런 데이터 대다수는 사용자들이 사적으로 남긴 것이거나 한 번으로 분석하기 어려운 것들이다. 별다른 의미를 찾기 어려운 비정형 데이터다. 그러나 정보기술의 발전은 이런 데이터까지 유용한 정보로 바꿔놓고 있다. 빅 데이터는 기업이 시장 환경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경영전략을 실행해 차별적인 가치를 끌어낼 수 있도록 하는 잠재력이 있다.

 

그러나 기업들은 혼란스럽다. 빅 데이터와 관련된 전략을 무조건 수용하다 보니 빅 데이터를 가지고 무엇을 해야 하는지 잘 모르기 때문이다. 실제로 많은 업계 관계자들이 빅 데이터 분석에 호감을 느끼고 분석에 나서지만. 막상 효과를 얻지 못해 그냥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또 빅 데이터를 통한 이익을 당장 얻기가 힘들다. 단발성에 그친 빅 데이터 분석을 통해 새로운 통찰력이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 누적된 빅 데이터 분석 결과가 있어야 새로운 사업 기회를 파악할 수 있다. 빅 데이터 분석이 각종 여론조사의 복병인 숨어있는 유권자의 표심을 읽을 수 있는 유력한 장치라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그러나 빅 데이터 분석이 한계가 있다고 주장하는 전문가들도 있다. 빅 데이터를 추출하는 공간은 인터넷, 모바일 환경인데 이를 활발하게 이용하는 연령대는 젊은 층이 많다. 이 때문에 빅 데이터 분석이 다양한 연령층의 여론을 반영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사람의 선호도가 왜 변하는지에 대한 해석을 제시하지 못하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빅 데이터 분석이 사회적 분위기의 흐름, 실시간으로 변하는 여론 등은 보여줄 수 있지만 왜 그렇게 변하는지에 대한 인과관계의 근거를 제시하지 못한다.

 

마틴 린드스트롬(Martin Lindstrom)은 빅 데이터 분석을 전적으로 반대하지 않지만, 빅 데이터 분석에만 의존하는 기업 비즈니스 환경을 문제 삼는다. 우리 사회에 거짓이 흘러넘친다. 자연에서 동물들은 생존을 위하여 죽은 체하는 등 각종 위장전술을 쓴다. 인간 세상에서도 거짓은 생존을 위한 전략이다. 거짓말을 하면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하고, 단기 기대수익이 커진다. 빅 데이터 분석가는 진실과 거짓의 모호한 경계 안에서 비틀거리고 있다. 고객은 일상생활에서 사물 또는 상황에 대하여 어쩔 수 없이 그럴싸하게말한다. 일상화된 거짓을 가려내고 빅 데이터로 읽을 수 없는 고객의 진실을 찾을 수 있는 분석 전략이 필요하다. 마틴 린드스트롬은 스몰데이터가 빅 데이터의 단점을 보완하는 데 성공한 여러 가지 사례를 보여준다.

 

 

스몰데이터는 매출 부진에 허덕이는 기업을 살릴 수 있는 단비가 된다. 장난감 회사 레고(LEGO)는 빅 데이터를 활용해 매출 부진의 원인을 분석했다. 오랜 분석 끝에 레고는 절망적인 결론을 받아들였다. 컴퓨터 같은 디지털 기기에 익숙한 어린이들이 장난감을 거들떠보지 않는다는 것. 그러나 레고는 포기하지 않았다. 레고는 평범한 어린이와 인터뷰를 진행했고 어린이들은 장난감을 오랜 시간 열심히 조립하는 과정에서 보람을 느낀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리하여 레고는 블록 크기를 줄였고 조립 난이도를 높인 장난감들을 출시했다. 파산위기였던 레고는 위기를 넘겼을 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 가장 성공한 장난감회사로 성장했다.

 

스몰데이터란 결국, 사람의 감정 상태, 언어, 행동 등이 포함된 사소한 이야기이다. 린드스트롬은 스몰데이터가 인간적인 이야기 속에 남아있는 감성 DNA’라고 말한다. 감성적 정보에 가까운 스몰데이터는 정량적인 빅 데이터 분석을 통해서 얻을 수 없다. 스몰데이터는 사람과 사람 사이, 즉 사람의 일상생활 속에서 얻을 수 있는 특별한 정보이다. 사소한 것이 전체의 방향성을 결정짓는 경우가 많다. 빅 데이터 분석 기술을 적용하려면 모든 데이터를 한 곳에 저장할 수 있는 대용량 저장기술이 필요하다. 저장장치 역시 최근 들어 저장능력은 향상되고 가격은 내려가면서 빅 데이터 저장이 더욱 쉬워졌다. 기업들이 빅 데이터 수집과 관리에 많은 투자를 할수록 저장장치에 의존하는 일이 많아진다. 그러면 인간의 데이터 분석 능력은 저하될 것이다. 린드스트롬은 익숙함이 인간의 데이터 분석 결정에 역효과를 낼 수 있다고 말한다. 레고는 빅 데이터 분석 결과가 주는 익숙함을 그대로 받아들였다면 수집 욕구를 불러일으키는 재미있는 장난감들을 만들어내지 못했을 것이다.

 

스몰데이터를 직감과 같은 의미로 이해하면 곤란하다. 갑자기 새로운 시야가 번뜩 보이더라도 흥분을 가라앉히고 이성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그것이 타당성이 있는지 더 깊이 파고들고 자료를 수집해야 한다. 과거의 통계자료에 의존해서는 안 되고, 과거 통계자료를 뒤집는 새로운 결과를 낙관적으로 받아들여서도 안 된다. 현실적인 정보를 얻고 싶으면 고객에게 찾아가는 업무가 필요하다. 물론, 스몰데이터도 무조건 100% 진실이라 볼 수 없다. 그러므로 반복적인 분석을 통해 데이터가 믿고 해석할 수 있는 단서가 맞는지 아닌지 구별해야 한다. 이럴 때 빅 데이터 분석을 적절하게 이용하는 것이 좋다. 사람들은 자신의 문제는 잘 보지 못한다. ‘등잔 밑이 어둡다는 속담처럼 이미 익숙해져 버린 자신의 문제를 심각하게 느껴지지 않는다. 기업 마케터가 가장 많이 놓치는 것이 고객의 마음을 읽는 일이다. 마케팅 전략과 전술을 잘 짜고, 치밀하게 광고와 프로모션 계획을 디자인하는 것도 중요하다. 하지만 결국은 사람을 아는 것, 고객들의 심리를 이해하고, 감정을 이입하고 고객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prenown 2017-10-23 20: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인간적인 이야기 속에 남아있는 ‘감성 DNA’ 좋은 표현이네요..

cyrus 2017-10-24 11:51   좋아요 1 | URL
DNA가 인간의 모든 특징을 결정짓는 데 중요한 영향을 주는 화학물질이죠. 그래서 린드스트롬은 인간의 언어와 행동 등에서 나타나는 스몰데이터를 ‘감성 DNA’로 비유했어요. 스몰데이터가 인간의 모든 특징을 설명하는 데 필요한 근거이기 때문입니다. ^^

2017-10-24 09:52   URL
비밀 댓글입니다.

cyrus 2017-10-24 11:54   좋아요 0 | URL
몇 년 전만 해도 언론이 자주 언급하던 키워드 중 하나가 ‘빅 데이터’였는데 ‘제4차 산업 혁명’이 나오면서 빅 데이터에 대한 관심이 줄어든 것 같습니다.

표맥(漂麥) 2017-10-24 14: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가 한 다리 건너 아는 분은 이 빅데이터가 연구과제인데요... 결과를 못내 전전긍긍... 그 분에게 이 책을 권하면 아마 미쳐버릴 듯...^^

cyrus 2017-10-24 15:01   좋아요 0 | URL
우리나라는 성과 중심 사회입니다. 장기간 연구하고 분석하는 일을 하기에 열악한 곳입니다. ^^;;
 

 

 

참고한 번역본 목록

    

 

 

 

 

 

 

 

 

 

 

 

 

 

 

 

 

 

 

 

 

 

 

 

 

 

 

 

 

 

 

 

 

 

 

 

 

* 셜록 홈즈의 귀환정태원 역, 시간과공간사 (2010, 개정 2)

* 셜록 홈즈의 귀환강의선 역, 부북스 (2011)

* 셜록 홈즈의 귀환베스트트랜스 옮김, 더클래식 (2012, 구판)

* 셜록 홈즈의 귀환박상은 역, 문예춘추사 (2012)

* 셜록 홈즈의 귀환백영미 역, 황금가지 (2012, 개정판)

* 주석 달린 셜록 홈즈 3 : 돌아온 셜록 홈즈승영조 역, 현대문학 (2013)

* 셜록 홈즈의 귀환바른번역 옮김, 코너스톤 (2016, 개정판)

* 셜록 홈스의 귀환이경아 역, 엘릭시르 (2016)

 

    

 

 

 

The Adventure of the Empty House (‘빈 집’, ‘빈집의 모험’)

 

 

 

원문

 

On the evening of the crime, he returned from the club exactly at ten. His mother and sister were out spending the evening with a relation. The servant deposed that she heard him enter the front room on the second floor, generally used as his sitting-room.

 

 

* 시간과 공간사 (2, 12)

사건이 있던 날 그는 밤 10시 정각에 클럽에서 돌아왔는데, 그의 어머니와 여동생은 친척집에 가고 집에 없었다. 그가 평소에 거실로 사용하고 있던 3의 앞쪽 방으로 들어가는 기척을 분명히 들었다고 메이드가 증언했다.

 

* 부북스 (10)

사건이 나던 날 저녁, 그는 클럽에서 정확히 열 시에 돌아왔다. 어머니와 여동생은 한 친척과 함께 저녁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그가 대개 응접실로 사용하고 있는 3 정면에 있는 방으로 들어가는 소리를 하녀가 들었다고 증언했다.

 

* 더클래식 (구판)

사건 당일 어데어 경이 클럽에서 돌아온 것은 밤 열 시 정각이었다. 어머니와 여동생은 친지를 방문하러 나가 집을 비운 상태였다. 가정부는 어데어 경이 평소에 거실로 사용하는 이층 자신의 방에 들어가는 소리를 들었다고 증언했다.

 

* 문예춘추사

사건이 일어난 날 밤, 아데어는 정각 10시에 클럽에서 돌아왔다. 어머니와 동생은 친척 집에서 저녁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하녀는 아데어가 거실로 사용하고 있는 3의 정면에 있는 방으로 들어가는 소리를 들었다고 증언했는데‥…

 

* 황금가지 (2, 12)

사건 당일 저녁, 아데어는 열시 정각에 클럽에서 돌아왔다. 어머니와 누이는 그때 친척과 함께 저녁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하녀는 도련님이 자기 방으로 쓰는 2 거실로 들어가는 소리를 들었다고 증언했다.

 

* 현대문학 (주석판, 16)

사건 당일 저녁, 그가 클럽에 있다가 집에 돌아온 것은 정확히 10시였다. 어머니와 누이는 친지를 만나러 갔다. 하녀는 그가 3 거실로 들어가는 소리를 들었다고 증언했다.

 

* 코너스톤 (개정판)

범행이 벌어진 날 밤, 아데어는 10시 정각에 클럽에서 돌아왔다. 어머니와 여동생은 친척을 만나러 나가고 없었다. 하녀는 아데어가 3 거실로 들어가는 소리를 들었다고 증언했다.

 

* 엘릭시르 (12)

사건이 일어난 날 그는 밤 10시 정각에 집에 도착했다. 그의 어머니와 누이는 친척을 만나러 외출했다. 하녀는 로널드가 평소 자신의 응접실로 쓰는 3 방으로 들어가는 소리를 들었다고 증언했다.

 

 

* Comment :

 

 

 

 

 

 

영어를 사용하는 사람들 간에도 쓰는 영어에 차이가 있다. 특히 건물 층수를 나타내는 표현이 다르다. 미국인들은 1층을 ‘First floor’라고 쓰지만, 영국인들은 ‘Ground Floor’로 쓴다. 미국의 2층을 의미하는 ‘Second floor’가 영국에서 사용하면 3층에 해당한다. 따라서 영국식 ‘Second floor’‘2으로 번역한 것은 오역이다.

  

 

 

 

 

원문

 

In some manner he had learned of my own sad bereavement, and his sympathy was shown in his manner rather than in his words.

 

 

* 시간과 공간사 (2, 23)

내가 홈즈를 잃고 슬퍼했다는 사실을 느끼고 있었던지 그의 동정심은 말보다는 태도에 더 잘 나타나 있었다.

 

* 부북스 (22)

내가 아내와 애절한 사별을 한 것도 어느 정도 들어서 알고 있었는데, 그의 말보다는 태도에 위로하는 마음이 나타나있었다.

 

* 더클래식 (구판)

어디서 들었는지 그는 최근에 내가 가슴 아프게 사별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그는 어떤 말보다 더 따뜻한 위로를 보냈다.

 

* 문예춘추사

어떻게 알았는지 홈즈는 내가 아내를 여의었음을 알고 말이 아닌 태도로 연민을 표현했다.

 

* 황금가지 (2, 24)

어디서 들었는지 그는 내가 마음 아프게 상처(喪妻)했다는 사실도 알고 있었는데, 그는 말보다는 태도로 절절히 연민을 표현했다.

 

* 현대문학 (주석판, 31)

그는 어떻게 알았는지 내가 가족상을 당했다는 것을 알고, 말보다는 태도로 애석해했다.

 

* 코너스톤 (개정판)

홈즈는 어떻게 알았는지 내가 가족상을 당했다는 것도 알고 애석해했다.

 

* 엘릭시르 (26)

홈스는 내가 최근에 상을 당했다는 소식도 알고 있었다. 홈스가 그 사실에 얼마나 마음 아파하는지 말을 하지 않아도 태도를 통해 느낄 수 있었다.

 

 

* Comment :

‘bereavement’는 사별, 가족의 사망을 뜻하는 단어이다. 왓슨에게 홈즈는 친구 이상의 가족이다. 그러나 자신이 죽은 줄 알고 슬퍼했던 왓슨에게 홈즈가 위로를 보냈다는 표현은 어색하다. 홈즈 연구가들은 사별을 언급한 왓슨의 문장을 근거로 그의 아내 메리 모스턴이 사망했다고 해석한다. 메리 모스턴은 네 개의 서명에 나온 사건 의뢰인이다.

 

 

 

 

     

 

원문

 

Three years had certainly not smoothed the asperities of his temper or his impatience with a less active intelligence than his own.

 

 

* 시간과 공간사 (2, 29)

그의 무뚝뚝함이나, 자기보다 지능이 낮은 사람을 대할 때의 그 무시하는 듯한 태도는 그를 보지 못한 3년 동안 하나도 변하지 않았다.

 

* 더클래식 (구판)

번역문 누락

 

 

 

    

 

 

원문

 

“An admirable and unique weapon,” said he, “noiseless and of tremendous power: I knew Von Herder, the blind German mechanic, who constructed it to the order of the late Professor Moriarty.”

 

 

* 문예춘추사

정말 감탄이 절로 나는 멋진 총이야. 소리는 없는 데다 위력은 뛰어나. 지금은 세상을 뜨고 없는 모리어티 교수의 부탁을 받고, 맹목적인 독일인 기계공 폰 헤르데르가 제작한 겁니다.”

 

 

* Comment :

맹인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적절하다. ‘맹목적은 주관이나 원칙이 없이 덮어놓고 행동하는 것을 가리킬 때 쓰는 표현이다. (네이버 국어사전 참고)

 

 

 

 

   


댓글(16)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레삭매냐 2017-10-23 15:0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야 싸이러스님의 셜록 홈즈 사랑은 정말
알아 주어야겠습니다.

이렇게 꾸준하게 그리고 또 성실하게 짚어
내 주시니, 코난 도일 선생이 살아 계셨
다면 격하게 포옹해 주시지 않았을까요? ㅋㅋ

하나의 도전으로서도 멋지다고 생각합니다.

cyrus 2017-10-23 15:08   좋아요 2 | URL
여름에 홈즈 전집에 매달리니까 조금 지겨웠어요. 두 달은 잠시 멈추고, 이번 달부터 <귀환>을 읽기 시작했어요. 이제 남은 건 장편 <공포의 계곡>, 단편집 <홈즈의 마지막 인사>. <홈즈의 사건부>입니다. 이 페이스를 잘 유지하면 올해 안으로 홈즈 전집을 다 읽을 수 있습니다. ^^

sprenown 2017-10-23 15: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대단합니다. 이젠 ‘셜록 홈즈‘ 까지도... 셜록 홈즈 처럼 매의 눈을 가지셨어요.^^

cyrus 2017-10-23 15:10   좋아요 1 | URL
올해 5월부터 읽기 시작했어요. 부족한 점이 많지만, 믿고 읽을 수 있는 좋은 번역본을 고르기 어려워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글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

sprenown 2017-10-23 15:3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원문과 번역문까지 비교해가며 성실한 리뷰를 써주신 cyrus님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근데, 제가 토를 달려는 것은 아닙니다만, 마지막 ‘blind‘의 해석을 맹인으로 한다면 좀 이상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물론 아주 뛰어난 천재기계공이라면 가능하겠지만, 눈이 먼 상태에서 정밀하고 복잡한 총을 만든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지 않을까요? 단순히 ‘맹목적인‘이라는 번역도 매끄럽지는 못하지만, 독일인과 연결시켜 규범대로 하는‘고지식한‘ 정도의 의미가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고지식하게 주문 그대로 하는‘정도..^^. 미안합니다. 책은 읽어보지도 않구서.. 그냥 제 의견일 뿐입니다.

cyrus 2017-10-23 19:16   좋아요 0 | URL
사과할 일이 아닙니다. 아주 날카로운 지적이입니다. sprenown님의 말씀을 듣고 보니 장님이 총을 만들 수 있을지 의문이 들었어요. 또 ‘blind‘를 꼭 맹인, 장님으로 번역하지 않아도 된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독일 기계공에 관한 주석이 주석본에 있는지 다시 확인해보겠습니다.

2017-10-23 16:23   URL
비밀 댓글입니다.

cyrus 2017-10-23 19:19   좋아요 1 | URL
이미 홈즈 번역본을 읽고 비교, 분석한 분들이 있었어요. 제 작업이 독창적인 활동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로쟈님 서재 소개명을 빌려서 표현한다면 저는 그분들처럼 따라하려고 애쓸 따름입니다. ^^

겨울호랑이 2017-10-23 17: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랫만에 cyrus님의 홈즈 번역 비교 페이퍼군요^^! 얼마전 알라딘 중고서점에서 홈즈 주석본을 봤는데, cyrus님 생각이 나더군요 ㅋ

cyrus 2017-10-23 19:21   좋아요 1 | URL
혹시 ‘북폴리오‘ 출판사에서 나온 홈즈 주석본인가요? 그 책 두께가 엄청 납니다. 절대로 사지 마세요. 그 책은 구판인데다 문제가 많습니다. ^^

겨울호랑이 2017-10-23 19:28   좋아요 1 | URL
네 맞아요 ㅋ cyrus님 역시 홈즈 마니아 답습니다. 전 개인적으로 아르센 뤼팽을 더 좋아합니다만. ㅋ

cyrus 2017-10-23 19:31   좋아요 0 | URL
홈즈 전집을 다 읽으면 뤼팽 전집을 읽어보려고 해요. ^^

북프리쿠키 2017-10-23 17: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멋지십니다.
책은 이렇게 읽는 거군요~

cyrus 2017-10-23 19:22   좋아요 0 | URL
이렇게 읽으면 머리 아픕니다. ㅎㅎㅎ

sprenown 2017-10-23 19: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예, 주석이 있다면 좋겠네요..다시 생각해 보니, ‘blind‘ 눈먼이라고 하는 것도 괜찮을 것 같아요.. 예전에 그 총을 만들고 나서 지금은 눈이 먼 기계공이라는 뜻으로...그리고 제가 영어를 잘 못합니다만, 번역본이나 제가 얘기하는 ‘맹목적‘이란 뜻으로는 constructed 뒤에 부사로 blindly가 붙어야 하지 않나 하는 생각도 듭니다.^^. 오늘 레삭메냐님 리뷰도 그렇고..영어가 참 어렵네요.ㅎㅎ

cyrus 2017-10-23 19:33   좋아요 1 | URL
영어를 매일 공부해도 모르는 단어, 문법, 어휘가 자꾸 나와요. ^^;;
 
중력파, 아인슈타인의 마지막 선물 - 중력파를 찾는 LIGO와 인류의 아름다운 도전과 열정의 기록
오정근 지음 / 동아시아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인슈타인의 명성에도 불구하고 상대성이론을 이해하고 있는 일반인은 거의 없다. 나도 그중 한 사람이다. 우주를 지나가는 빛이 중력의 영향을 받아 휜다는 사실(일반상대성이론)만 알고 있을 뿐이다. 사람들이 관심 있는 것은 상대성이론을 이용한 시간여행의 가능성 유무다. 물론 시간여행이 가능한 시대가 온다고 해도 사람들이 상대성이론을 이해하리라고 기대하지 않는다. 특수, 일반을 막론하고 상대성이론을 모른다면 우리는 절대로 우주를 이해할 수 없다. 우주의 기원을 설명해주는 빅뱅 우주론, 시간여행을 할 수 있는 통로라 할 수 있는 벌레 구멍(worm hole) 등이 상대성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다.

 

상대성이론이 맞는지 아닌지를 판가름할 수 있는 ‘빌어먹을(goddamn) 우주의 물결’이 있다. 그것은 바로 ‘중력파(gravitational wave)’다. 아인슈타인이 끝내 찾지 못한 우주에 흐르는 미세한 물결. 세계의 과학자들은 지난 백여 년 동안 중력파를 검출하려 최첨단 장비를 통해 노력했으니 과학자들이 중력파를 ‘빌어먹을 물결’이라고 말해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이제는 중력파의 존재가 확인되었으니 기쁨을 감추지 못한 과학자들은 ‘신의 물결’을 찾았다면서 쾌재를 부를 것이다.[1] 중력파의 발견 소식을 접한 사람들은 아인슈타인을 ‘갓(god)인슈타인’이라고 부르면서 그의 천재성에 감탄한다. ‘아인슈타인 빠(극성 지지자)’, 줄여서 ‘아빠’는 아인슈타인이 다시 나오기 힘든 천재라고 생각한다. 아인슈타인이 위대한 과학자임이 틀림없다. 또 상대성이론의 위대성이 입증된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아빠’가 놓치고 있는 중요한 사실 하나가 있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을 공부하기 전에 반드시 뉴턴의 중력 이론을 알아야 한다.

 

뉴턴은 땅바닥으로 추락하는 사과에 작용하는 힘, 즉 중력의 실체를 과학적으로 증명했다. 그는 태양계를 비롯한 천체에 작용하는 중력을 설명하기 위해 ‘만유인력의 법칙’을 도출했다. 그러나 뉴턴의 중력 이론은 한계가 있었다. 아인슈타인은 뉴턴의 중력 이론으로 설명할 수 없는 물체와 중력의 관계를 ‘시공간’ 개념을 도입하여 해석했다. 일반성대성이론은 물체와 중력 그리고 시공간 사이의 관계를 정립한 이론이다. 아인슈타인이 해석한 중력은 물체 주위의 시간과 공간을 결정하며, 그 결과로 물체 주위의 시공간은 굽어지고 휘어진다. 물체가 중력을 받아 운동하는 현상은 휘어진 시공간을 따라 움직이는 것이다. 1920년 중력의 영향으로 빛이 휘어지는 사실이 알려졌을 때 전 세계 과학자와 언론들은 아인슈타인이 불가침의 영역이었던 뉴턴 물리학을 밀어냈다면서 호들갑을 떨었다. 아인슈타인의 업적을 뉴턴보다 높게 띄우려는 ‘아빠’들뿐만 아니라 뉴턴의 중력이론과 상대성이론의 기초 지식이 잡히지 않은 사람들도 아인슈타인이 뉴턴이 구축한 고전물리학의 시대를 종식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중력파, 아인슈타인의 마지막 선물》(동아시아, 2016)을 펴낸 오정근 씨는 상대성이론의 의의를 뉴턴의 이론의 장점을 포함하는 동시에 그것의 한계를 넘어선 새로운 이론이라고 설명한다.[2] 저자는 21세기인 지금도 뉴턴 물리학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를 넌지시 알려준다. 뉴턴이 발견한 ‘중력’이 있었기에 아인슈타인은 ‘중력파’를 예측하려고 했다. 중력파는 시공간을 변화시킬 수 있는 에너지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인슈타인의 업적은 완벽함에 있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는 호기심과 탐구 정신에 있다. 아인슈타인은 ‘거인’ 뉴턴의 머리 위에 함부로 올라가 있었던 것이 아니라 어깨 위에 올라섰다.

 

인간이라면 누구나 상승 열망이 있다. 즉, 내가 목표하는 어느 지점으론가 무조건 오르고 싶은 감정 표현이다. 성공을 향한 열망을 적당히 가진다면 별문제 없으나 명예를 얻고 싶다는 열망이 더해지면 상대방의 비판을 무시하거나 자성의 기회를 놓치고 만다. 자신이 처음으로 중력파를 발견했다고 주장한 조지프 웨버(Joseph Weber)가 그런 인물이다. 1969년 웨버는 자신이 고안한 중력파 검출기, 일명 ‘웨버 바(Weber Bar)’를 이용해 중력파를 검출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검증 결과는 사실이 아니었다. 과학자들은 웨버의 실패를 교훈 삼아 웨버 바보다 성능이 좋은 중력파 검출기를 설치, 가동하기 시작했다. 여기에 레이저를 이용한 중력파 관측소 ‘라이고(LIGO)’가 설치되었다. 그러나 라이고 설치에 투입되는 어마어마한 정부 예산 금액에 불만을 가진 천문학자들은 라이고 설치에 회의적인 입장을 보였고, 여기에 웨버도 가세했다. 웨버는 ‘웨버 바’에 대한 믿음을 끝까지 버리지 않았다.

 

《중력파, 아인슈타인의 마지막 선물》은 혼자 보기 아까운 책이다. 뉴턴의 중력이론,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 그리고 중력파까지 쉽게 설명한 이 책보다 더 좋은 과학책이 있을까. 인터넷에 ‘중력파’를 검색해보면 찾기 쉬울 정도로 관련 자료가 수두룩하다. 현시대를 사는 사람들은 축복을 받았다. 아인슈타인도 보지 못했던 중력파를 며칠 만에 이해할 수 있는 시대에 살고 있기 때문이다. 과학자들은 중력파의 실체를 확인하기 위해 2002년부터 2010년까지 중력파 검출기를 가동했다. 8년 동안 중력파 검출기는 총 아홉 차례 가동되었고 기계가 작동된 일수를 모두 합하면 1,378일이다. 천 일 동안 찾기 못했던 중력파는 우리는 책 한 두 권만 읽어도 이해할 수 있다. 중력파 검출기 근처에 살다시피 한 전 세계 과학자들의 노고를 생각해서라도 중력파를 알아두자. 중력파를 이해하는 데 며칠 안 걸린다.

 

 

 

 

 

[1] ‘빌어먹을 물결’, ‘신의 물결’이라는 단어를 보자마자 눈치를 챈 과학 덕후 독자들이 있을 것이다. 힉스 입자를 증명하기 위해 노력한 과학자들의 여정을 정리한 어느 책 제목의 탄생 비화를 빌려왔다. 책 제목이 《신의 입자》(휴머니스트, 2017). 처음에 책 제목을 ‘빌어먹을 입자(Goddamn particle)’라고 정해졌으나 출판사 편집자가 ‘damn’을 빼는 바람에 ‘신의 입자’로 최종 확정되었다. 이거야말로 ‘신의 한수’다.

 

[2] 《중력파, 아인슈타인의 마지막 선물》 32쪽

 

 

 


댓글(8)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tella.K 2017-10-20 19: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인슈타인 일생 최대의 실수>는 어떤지 모르겠어.
너 이 책도 읽을 거지?ㅋ
난 일단 과학책은 무조건 접고 보는 경향이 있어서...ㅠ

cyrus 2017-10-21 08:21   좋아요 0 | URL
이번에 나온 책이군요. 그 책 출판사 소개 글을 보니까 내용이 약간 평전과 비슷할 것 같아요. ^^

sprenown 2017-10-20 20: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수학이나 과학분야는 영~.... 근데 cyrus님은 뭐.. 장르 문학을 비롯한 순수문학은 기본인데다 미술, 물리학, 천문학까지... 태평양을 넘어 우주에 까지 뻗는 광활한 지식의 스펙트럼. 게다가 뛰어난 글솜씨..어제는 눈이 빠지더니, 오늘은 놀라서 턱이 빠지네요~허 걱.

cyrus 2017-10-21 08:24   좋아요 0 | URL
과찬입니다. 저의 독서는 수박 겉핥는 수준입니다. 깊이 있는 글을 쓰고 싶은데 머리가 잘 따라주지 않습니다. ^^;;

syo 2017-10-20 19: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대학교 2학년 때, <현대물리학>이라 그래가지고, 상대성이론을 무려 챕터 2개로 아작내고 앞으로 죽죽 나가는 과목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

그랬다고 합니다.....

cyrus 2017-10-21 08:27   좋아요 2 | URL
학교에서 배우는 상대성이론은 왠지 어렵고 재미없을 것 같아요. 학습 진도를 빨리 진행하고 싶은 교수가 물리학을 가르치면 학생들 머리 속에 남는 게 없어요. ^^;;

2017-10-20 20:07   URL
비밀 댓글입니다.

cyrus 2017-10-21 08:32   좋아요 0 | URL
라이고를 설치하기 위해서 미국 정부가 투입한 예산이 20억 달러입니다. 다른 과학 분야 과학자들이 반대를 한 이유가 있어요. 외국의 중력파 검출 집단 연구에 참여하는 국내 연구진이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독자적으로 중력파 검출기를 갖추려면 오랜 시간이 걸릴 듯해요.
 

 

 

 

 

 

 

 

 

 

 

 

 

 

 

 

 

 

 

 

 

 

 

 

 

 

 

 

 

 

 

 

 

 

 

 

 

 

 

 

 

 

 

 

 

황금가지 출판사에서 나온 러브크래프트 전집(7, 2015)은 훌륭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번역본이다. 그러나 구성이 아무리 훌륭하다 해도 오탈자가 있는 책에 좋은 점수를 줄 수가 없다. ‘러브크래프트 전집 특별판클라크 애슈턴 스미스 걸작선26에 오식(誤植)이 있다.

 

 

스미는 집필 과정의 초안이나 구상 등을 기록한 자신의 창작 노트인 검은 책에서 이 작품을 거대한 체현이란 제목으로 다음과 같이 구상했다.

 

 

이 문장의 주어는 스미. 그런데 스미가 뭘까? '스미골'은 아닐테고... ‘스미‘(클라크 애슈턴)스미스의 오식이다. 같은 책 482에도 인물명을 잘못 적은 오식이 있다.

 

 

이 작품(마법사의 귀환- cyrus )은 스미스의 소설 중에서 가장 유명하며, 로드 스털링의 나이트 갤러리라는 TV시리즈물로 만들어졌다.

 

 

영미권 성씨 이름 중 하나인 스털링의 철자는 ‘Sterling’이다. 그런데 <나이트 갤러리>(Night Gallery)라는 TV드라마 시리즈에 관련된 사람은 로드 스털링이 아니라 로드 설링(Rod Serling)’이다.

 

 

 

 

        

 

 

로드 설링의 본명은 로드먼 에드워드 설링(Rodman Edward Serling)이다. ‘로드(Rod)’는 그를 언급할 때 자주 사용되는 애칭이다. 로드 설링은 CBS에서 방영된 TV시리즈 <환상 특급>(The Twilight Zone) 제작자 겸 작가이다. <환상 특급>1959년부터 1964년까지 방영되었으며 시즌 5까지 제작되었다. 미스터리, SF, 환상, 공포 등의 소재로 만든 이야기들은 큰 반향을 일으켰다. 드라마는 항상 로드 설링의 해설로 시작되는데 그가 이야기를 소개하는 장면은 패러디 소재로 사용된다. 설링은 제작, 해설뿐만 아니라 드라마 대본을 직접 쓰기도 했다. 리처드 매드슨(Richard Matheson), 찰스 보먼트(Charles Beaumont), 존 콜리어(John Collier) 등의 미스터리 및 환상소설 작가들의 단편소설을 각색하는 작업에도 참여했다.

 

 

 

       

 

     

 

 

 

<나이트 갤러리><환상 특급>과 유사한 TV시리즈로 NBC에서 방영되었다. 1969파일럿(Pilot) 방송을 시작으로 1973년 시즌 3까지 제작되었다. 여기서도 설링은 13(제작, 해설, 드라마 대본 집필)을 맡는다. <나이트 갤러리>의 묘미는 이야기 시작 전에 나오는 기괴한 그림들이다. 구글에 ‘Rod Serling Night Gallery’를 검색하면 드라마 방영 당시 나온 그림들을 볼 수 있다. 미스터리, 환상을 소재로 한 드라마의 특성상 <나이트 갤러리>에 나오는 그림들은 음침하고 그로테스크하다. 설링은 음산하고 어두운 스튜디오를 혼자 걸으면서 그림과 관련된 무서운 이야기, 즉 드라마 에피소드를 들려준다. 스티븐 스필버그(Steven Spielberg)<환상 특급>를 빠짐없이 챙겨볼 정도로 열광했던 유명인 중 한 사람이다. 그는 할리우드에 진출하기 전에 TV드라마 연출을 맡았다. 그 작품이 바로 <나이트 갤러리> 파일럿 편의 두 번째 에피소드 Eyes(1969118일 방영).

 

<환상 특급>의 또 다른 광팬은 스티븐 킹(Stephen King)이다. 그의 단편소설 할머니(Gramma)1985년에 새롭게 방영된 <환상 특급> 시즌 1 에피소드로 재탄생한다. 스티븐 킹의 원작 소설을 각색한 사람은 할란 엘리슨(Harlan Ellison). 공포문학의 두 거장이 만난 드라마판 할머니는 지금까지도 회자되는 최고의 걸작 에피소드이다.

 

유튜브에 들어가면 로드 설링이 제작한 <환상 특급> 오리지널 시리즈, 80년대 리메이크판, 2002년에 만들어진 두 번째 리메이크판 그리고 <나이트 갤러리> 에피소드 일부를 볼 수 있다. 자막이 없고 완전한 분량이 아니라서 아쉽지만, 이 오래된 영상을 볼 수 있다는 게 어디냐. 드라마를 보기 어려워도 <환상 특급>, <나이트 갤러리> 에피소드로 만들어진 원작 단편소설들은 볼 수 있다.

 

    

 

 

* It’s a Good Life (<환상 특급 시즌 3> Episode 8, 1961113일 방영)

즐거운 인생

 

 

 

 

 

 

 

 

 

 

 

 

SF 명예의 전당 2 : 화성의 오디세이

제롬 빅스비(Jerome Bixby) / 오멜라스 (웅진, 2010)

 

 

 

* Mute (<환상 특급 시즌 4> Episode 5, 1963131일 방영)

벙어리 소년

 

 

 

 

 

 

 

 

 

 

 

 

더 박스

리처드 매드슨 / 노블마인 (2010)

 

    

 

* Nightmare at 20,000 Feet

(<환상 특급 시즌 5> Episode 5, 19631011일 방영)

2만 피트의 상공

 

 

 

 

 

 

 

 

 

 

 

 

줄어드는 남자

리처드 매드슨 / 황금가지 (2007)

    

 

 

* Number 12 Looks Just Like You (드라마 에피소드명)

(<환상 특급 시즌 5> Episode 17, 1964124일 방영)

아름다운 사람들 (The Beautiful People, 원작명)

 

 

 

 

아름다운 사람들

TR클럽 / 위즈덤커넥트 (2017, e-Book)

 

20171021일 수정 작성

 

 

 

 

* An Occurrence at Owl Creek Bridge

(<환상 특급 시즌 5> Episode 22, 1964228일 방영)

아울크리트 다리에서 생긴 일

 

 

 

 

 

 

 

 

 

 

 

 

내가 샤일로에서 본 것

앰브로즈 비어스 / 아모르문디 (2013)

 

 

 

* A Message from Charity

(<환상 특급 리메이크판 시즌 1> Episode 6, 1985111일 방영)

채리티가 남긴 말

 

 

 

 

 

 

 

 

 

 

 

 

 

시간여행 SF 걸작선

윌리엄 M. (William M. Lee) / 고려원 (1995)

 

 

 

* Paladin of the Lost Hour

(<환상 특급 리메이크판 시즌 1> Episode 7, 1985118일 방영)

잃어버린 시간을 지키는 기사

 

 

 

 

 

 

 

 

 

 

 

 

제프티는 다섯 살

할란 엘리슨 / 아작 (2017)

 

 

 

* The Star

(<환상 특급 리메이크판 시즌 1> Episode 13, 19851220일 방영)

동방의 별

 

 

 

 

 

 

 

 

 

 

 

 

환상특급

아서 클라크 단편 전집 1953-1960

아서 C. 클라크 / 서울창작 (1994), 황금가지 (2009)

 

 

 

* Gramma

(<환상 특급 리메이크판 시즌 1> Episode 18, 1986214일 방영)

할머니

 

 

 

 

 

 

 

 

 

 

 

 

 

스켈레톤 크루 ()

스티븐 킹 / 황금가지 (2006)

 

 

 

* The Last Defender of Camelot (1979)

(<환상 특급 리메이크판 시즌 1> Episode 24, 1986411일 방영, 최종회)

캐멀롯의 마지막 수호자

 

 

 

 

 

 

 

 

 

 

 

 

드림 마스터

로저 젤라즈니 / 행복한책읽기 (2010)

 

 

 

 

* The Cold Equations

(<환상 특급 리메이크판 시즌 2> Episode 16, 198817일 방영)

차가운 방정식

 

 

 

 

 

 

 

 

 

 

 

 

환상특급

SF 명예의 전당 1 : 전설의 밤

톰 고드윈 / 서울창작 (1994), 오멜라스 (2010)

    

 

 

 

 

<나이트 갤러리> 에피소드

 

* Season 1 Ep. 3 (19701230일 방영)

Certain Shadows on the Wall

 

 

 

 

 

 

 

 

 

 

 

 

원작: 벽 그림자(The Shadows on the Wall)

세계 호러 걸작선 2(책세상, 2004)

메리 윌킨스 프리먼

각색: 로드 설링

 

 

 

* Season 2 Ep. 17 (1971121일 방영)

Pickman’s Model

 

 

 

 

 

 

 

 

 

 

 

 

픽맨의 모델

러브크래프트 전집 1(황금가지, 2009)

원작: 하워드 필립스 러브크래프트

 

 

 

* Season 2 Ep. 18 (1971128일 방영)

Cool Air

 

 

 

 

 

 

 

 

 

 

 

 

냉기

러브크래프트 전집 2(황금가지, 2009)

원작: 하워드 필립스 러브크래프트

각색: 로드 설링

 

 

 

* Season 2 Ep. 21 (197215일 방영)

The Funeral

 

 

 

 

 

 

 

 

 

 

 

 

 

장례식

나는 전설이다(황금가지, 2005)

원작, 각색: 리처드 매드슨

 

 

      

* Season 3 Ep. 1 (1972924일 방영)

Return of the Sorcerer

 

    

 

 

 

 

 

 

 

 

 

마법사의 귀환

클라크 애슈턴 스미스 걸작선(황금가지, 2015)

원작: 클라크 애슈턴 스미스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yo 2017-10-20 16:07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사람인가 위키인가....

cyrus 2017-10-20 16:14   좋아요 1 | URL
위키를 참고하면서 글을 쓰는 사람입니다. ^^

sprenown 2017-10-20 16: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대단합니다요... 엄지척!

cyrus 2017-10-20 18:50   좋아요 0 | URL
대단한 일이 아닙니다. 위키피디아가 있어서 가능했던 일입니다. ^^

yureka01 2017-10-20 16: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ㅎ 대단하네요..관심사항이 폭이 태평양같으네요..^^..

cyrus 2017-10-20 18:51   좋아요 0 | URL
오탈자 지적만 하고 글을 마무리 짓기가 허전해서 로드 설링이라는 인물을 조사해봤습니다. ^^

sprenown 2017-10-20 17: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책의 오탈자 까지 잡아내고, 책과 관련된 자세한 에피소드 소개까지..이정도면 덕후를 뛰어넘어 서지학자 수준이네요..^^.

cyrus 2017-10-20 18:52   좋아요 0 | URL
이 글이 장르문학을 좋아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유용한 정보가 되었으면 좋겠어요. ^^

레삭매냐 2017-10-23 15: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러브 크래프트 전도사인 싸이러스님
덕분에 저도 어쩌면 이 책에 도전하게
될 지도 모르겠습니다 ㅋㅋㅋ

cyrus 2017-10-23 15:13   좋아요 0 | URL
제가 하도 홍보(?)를 해서 막상 읽어보면 시시하게 느껴질 수도 있어요. ^^;;

jmiriam 2018-01-02 21: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환상특급 초등학교도 들어가기 전 꼬꼬맹이때 봤던 기억이 있어요^^ 너무 늦게 끝나는 바람에 늘 끝까지 못보고 자야했다는...ㅠㅠ 어린시절의 한맺힌(?) 드라마였는데 이참에 찾아서 함 볼려구요 좋은 정보 정말 감사드려요^^

cyrus 2018-01-02 23:33   좋아요 0 | URL
제가 중딩이었을 때 케이블 채널에서 환상특급 리메이크판을 방영한 적이 있었어요. 그땐 환상특급의 명성을 몰라서 제대로 보지 못했어요. 전부는 아니지만 유튜브에 환상특급 에피소드 영상이 있습니다. ^^
 
클라크 애슈턴 스미스 걸작선 - 러브크래프트 전집 특별판 러브크래프트 전집
클라크 애슈턴 스미스 지음, 정진영 옮김 / 황금가지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몸이 아파서 사는 게 힘들 지경입니다.” 힘이 없어 보이는 저 표정이 말해주고 있다. 클라크 애슈턴 스미스(Clark Ashton Smith)는 어린 시절부터 병약한 체질이었다. 집에서 시간을 보내는 일이 많았던 스미스의 유일한 오락은 독서였다. 그는 정규 교육을 받는 것을 포기하고 항상 책들과 어울려 놀았다. 스미스는 열여덟 살에 시를 쓰기 시작했다. 그의 첫 시집을 읽은 어느 소설가는 스미스를 ‘셰익스피어, 키츠, 셸리의 전통을 잇는 가장 위대한 미국 시인’이라고 칭찬했다. 하지만 그를 향한 혹평도 만만치 않았다. 소심한 성격의 스미스에게 혹평은 마음의 상처를 주는 독이었다. 수줍은 성격 때문에 문단의 동료 작가들과 잘 어울리지 못했다. 반짝인기에 그치고 만 스미스는 문단과 대중에 잊혀갔다. 만약에 스미스가 병으로 일찍 세상을 떠났다면 살아있는 자들은 그를 ‘미국이 외면한 천재 요절 시인’으로 기억했을 것이다. 다행히 스미스는 키츠와 셸리처럼 요절 시인의 운명을 밟지 않았다. 스미스는 자비로 시집을 펴냈으며 가끔 양계업에 종사하는 아버지의 일을 도와주면서 생계를 근근이 이어왔다.

 

어느 날 스미스는 한 통의 편지를 받는다. 스미스의 시집을 읽은 ‘소설가’가 보낸 편지였다. 소설가의 편지는 스미스의 시집에 향한 극찬으로 가득 채워져 있었다. 인간관계에 이미 크게 한 번 데인 적이 있는 스미스는 소설가의 칭찬을 진심으로 받아들이지 못했을 것이다. 스미스는 자신의 시를 호의적으로 보는 소설가를 만나서 감사의 마음을 전달하고 싶었지만 만날 수가 없었다. 소설가도 스미스처럼 세상의 교류를 끓은 채 독서와 글쓰기에 전념하는 ‘아웃사이더’였다. 스미스는 소설가의 칭찬이 진심으로 느껴졌고, 그가 추구하는 문학을 이해하고 싶었다. 그래서 그는 직접 답장을 보내기로 한다. 편지봉투에 적힌 주소는 미국 로드아일랜드주 프로비던스(Providence). 수신자의 이름은 하워드 필립스 러브크래프트(Howard Phillips Lovecraft)였다.

 

“나는 프로비던스에서 태어났다(I’m Providence).” 러브크래프트가 생전에 했던 말은 그의 묘비명이 된다. 러브크래프트는 신(Providence)이다. 그는 무명작가로 남을 뻔한 스미스에게 구원의 손길을 내민 구세주(Providence)다. 러브크래프트의 조언을 받은 스미스는 책의 양분을 먹고 자란 상상력을 이용해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 스미스의 시집을 혹평한 평론가들은 스미스를 ‘불길한 작가’, ‘송장을 파먹는 구울(Ghoul)’이라고 조롱했다. 그러나 스미스는 자신의 연약한 마음을 아프게 만든 독을 이용하여 과감하고 대범한 이야기를 만들었다. 스미스의 공포소설에 나오는 장소는 대체로 불길한 기운을 내뿜는다. 거기다가 사람을 잡아먹는 괴물도 등장한다. 스미스의 몸은 허약했으나 상상력이 충만한 정신은 아주 튼튼했다.

 

『노래하는 불꽃의 도시』레이 브래드버리(Ray Bradbury)할란 엘리슨(Harlan Ellison)에게 영감을 준 의미 있는 소설이다. 할란 엘리슨은 이 소설을 읽고 본격적으로 환상소설을 쓰기 시작했다고 밝혔으며, 『노래하는 불꽃의 도시』에 묘사된 음산한 도시의 풍경은 레이 브래드버리의 『도시』『콘크리트 믹서』(두 작품 모두 황금가지 출판사의 《일러스트레이티드 맨》에 수록)의 분위기와 흡사하다.

 

『요-봄비스의 지하 납골당』은 을씨년스러운 행성인 화성의 공포를 소재로 한 ‘SF 호러’ 작품이다. 폐허가 된 화성의 고대 유적지를 발견한 지구인 탐험대는 미로 같은 지하 납골당을 발견한다. 그들은 그곳에 잠들어 있던 무시무시한 괴물을 만나게 된다. 이 소설의 압권은 탐험대원들이 납골당에 갇혀 괴물의 공격에 무기력하게 당하는 장면이다. 독자도 탐험대원이 되어 출구가 보이지 않는 납골당 안을 헤매고 다닌다는 실감에 사로잡힌다.

 

스미스는 흑마술, 시체 숭배 의식오컬트(Occult)적인 소재를 이용하여 독자를 불길하게 만드는 이야기를 꾸밀 줄 안다. 그것이 러브크래프트도 인정한 스미스의 탁월한 능력이다. 거기다가 흉측한 괴물의 모습까지 실감 나게 묘사한 스미스의 섬세한 표현력은 러브크래프트를 뛰어넘는다. 스미스가 창조한 괴물은 형태가 온전하게 드러나 있으며 인간의 눈에 보이는 존재이다. 정체를 끝까지 숨기려는 러브크래프트의 괴물과 차이가 있다. 『아삼마우스의 유고』, 『지하 무덤에서 나온 씨앗』, 『납골당의 신』은 작가의 잔혹한 상상력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특히 『고문자들의 섬』은 그로테스크 상상력의 정점을 보여주는 수작이다. 여기에 스미스는 기괴하고 잔인한 몰골을 펼쳐낸다. 그는 누구도 보고 싶어 하지 않는 섬뜩한 고문의 현장 또는 인간의 잔혹성, 폭력성 등 현실에서 겉으로 드러내기 어려운 원초적인 욕구를 세밀하게 구체화시킨다. 이 소설은 고어 영화(gore film)로 만들어도 손색이 없는 훌륭한 작품이다.

 

어딘가 아파 보이는 저 얼굴이 끔찍하고도 오싹한 이야기를 만든 작가라면 당신은 믿을 수 있겠는가? 스미스의 얼굴에 속지 마시라. 생긴 건 허약해 보여도 그는 분명 무서운 사람이다. 스미스는 세상의 잔혹함을 파헤칠 뿐만 아니라 공포에 약한 독자의 심장을 파먹는 작가이다. 평범한 무명 시인을 환상소설, 공포소설 작가로 만들어 준 러브크래프트에게 고마워해야 하나? 러프크래프트, 당신은 대체…‥

 

 

 


댓글(8) 먼댓글(0) 좋아요(3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7-10-18 22:38   URL
비밀 댓글입니다.

cyrus 2017-10-19 17:22   좋아요 0 | URL
놀라운 사실은 러브크래프트와 스미스는 단 한 번도 만난 적이 없습니다. 편지로 서로 안부를 전하고, 문학적 교류를 했습니다. 두 사람의 교류는 알라딘 마을에서 소통하는 것과 비슷해요. 얼굴을 알지 못하고, 만난 적이 없는 사람들끼리 친하게 지내잖아요. ^^

임모르텔 2017-10-19 17:1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인생에서 운명을 바꾸는 인연을 만날 기회가 있다고해요. 예감..!! ㅎ
특히 아웃사이더들에게는 그런인연을 만날 기회가 아주 드문데 ,, 러브그래프트~ 스미스의 가디언이 보낸듯..^^ 스미스님의 센치하고 멜랑꼴리한 인상보니 상상이 풍부하게 생기셨네요.


cyrus 2017-10-19 17:25   좋아요 1 | URL
외톨이는 자신과 비슷한 성향의 사람을 알아보는 것 같습니다. 서로 성향이 비슷한 사람끼리 친하게 지낸다면 외롭지 않을 거예요. ^^

2017-10-23 02:4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10-23 15:21   URL
비밀 댓글입니다.

zombie 2017-11-01 08:1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재밌는점은 스미스의 시를 인정해준 사람중에 앰브로스 비어스가 있었습니다. 하스터의 최초 창작자인 앰브로스로부터 로버트 체임버스로 이어지는 노란옷의 왕과 이를 좋아했던 러브크래프트의 코스믹 호러장르까지. 당대 작가들이 서로에게 영향을 준것을 보면 뭔가 시대가 요구했던 공통된 새로운 가치관이나 시선들이 아웃사이더들 사이에서 공유 공감된듯 합니다.

cyrus 2017-11-01 12:06   좋아요 0 | URL
정말 신기한 인연입니다. 재능 있는 자들은 서로를 알아보는 특별한 안목이 있는 것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