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가지 출판사에서 나온 《러브크래프트 전집》(전 7권, 2015)은 훌륭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번역본이다. 그러나 구성이 아무리 훌륭하다 해도 오탈자가 있는 책에 좋은 점수를 줄 수가 없다. ‘러브크래프트 전집 특별판’인 《클라크 애슈턴 스미스 걸작선》 26쪽에 오식(誤植)이 있다.
스미는 집필 과정의 초안이나 구상 등을 기록한 자신의 창작 노트인 『검은 책』에서 이 작품을 「거대한 체현」이란 제목으로 다음과 같이 구상했다.
이 문장의 주어는 ‘스미’다. 그런데 ‘스미’가 뭘까? '스미골'은 아닐테고... ‘스미’는 ‘(클라크 애슈턴)스미스’의 오식이다. 같은 책 482쪽에도 인물명을 잘못 적은 오식이 있다.
이 작품(『마법사의 귀환』- cyrus 주)은 스미스의 소설 중에서 가장 유명하며, 「로드 스털링의 나이트 갤러리」라는 TV시리즈물로 만들어졌다.
영미권 성씨 이름 중 하나인 ‘스털링’의 철자는 ‘Sterling’이다. 그런데 <나이트 갤러리>(Night Gallery)라는 TV드라마 시리즈에 관련된 사람은 ‘로드 스털링’이 아니라 ‘로드 설링(Rod Serling)’이다.
로드 설링의 본명은 로드먼 에드워드 설링(Rodman Edward Serling)이다. ‘로드(Rod)’는 그를 언급할 때 자주 사용되는 애칭이다. 로드 설링은 CBS에서 방영된 TV시리즈 <환상 특급>(The Twilight Zone) 제작자 겸 작가이다. <환상 특급>은 1959년부터 1964년까지 방영되었으며 시즌 5까지 제작되었다. 미스터리, SF, 환상, 공포 등의 소재로 만든 이야기들은 큰 반향을 일으켰다. 드라마는 항상 로드 설링의 해설로 시작되는데 그가 이야기를 소개하는 장면은 패러디 소재로 사용된다. 설링은 제작, 해설뿐만 아니라 드라마 대본을 직접 쓰기도 했다. 또 리처드 매드슨(Richard Matheson), 찰스 보먼트(Charles Beaumont), 존 콜리어(John Collier) 등의 미스터리 및 환상소설 작가들의 단편소설을 각색하는 작업에도 참여했다.
<나이트 갤러리>는 <환상 특급>과 유사한 TV시리즈로 NBC에서 방영되었다. 1969년 파일럿(Pilot) 방송을 시작으로 1973년 시즌 3까지 제작되었다. 여기서도 설링은 1인 3역(제작, 해설, 드라마 대본 집필)을 맡는다. <나이트 갤러리>의 묘미는 이야기 시작 전에 나오는 기괴한 그림들이다. 구글에 ‘Rod Serling Night Gallery’를 검색하면 드라마 방영 당시 나온 그림들을 볼 수 있다. 미스터리, 환상을 소재로 한 드라마의 특성상 <나이트 갤러리>에 나오는 그림들은 음침하고 그로테스크하다. 설링은 음산하고 어두운 스튜디오를 혼자 걸으면서 그림과 관련된 무서운 이야기, 즉 드라마 에피소드를 들려준다. 스티븐 스필버그(Steven Spielberg)는 <환상 특급>를 빠짐없이 챙겨볼 정도로 열광했던 유명인 중 한 사람이다. 그는 할리우드에 진출하기 전에 TV드라마 연출을 맡았다. 그 작품이 바로 <나이트 갤러리> 파일럿 편의 두 번째 에피소드 「Eyes」(1969년 11월 8일 방영)다.
<환상 특급>의 또 다른 광팬은 스티븐 킹(Stephen King)이다. 그의 단편소설 『할머니』(Gramma)는 1985년에 새롭게 방영된 <환상 특급> 시즌 1 에피소드로 재탄생한다. 스티븐 킹의 원작 소설을 각색한 사람은 할란 엘리슨(Harlan Ellison). 공포문학의 두 거장이 만난 드라마판 「할머니」는 지금까지도 회자되는 최고의 걸작 에피소드이다.
유튜브에 들어가면 로드 설링이 제작한 <환상 특급> 오리지널 시리즈, 80년대 리메이크판, 2002년에 만들어진 두 번째 리메이크판 그리고 <나이트 갤러리> 에피소드 일부를 볼 수 있다. 자막이 없고 완전한 분량이 아니라서 아쉽지만, 이 오래된 영상을 볼 수 있다는 게 어디냐. 드라마를 보기 어려워도 <환상 특급>, <나이트 갤러리> 에피소드로 만들어진 원작 단편소설들은 볼 수 있다.
* It’s a Good Life (<환상 특급 시즌 3> Episode 8, 1961년 11월 3일 방영)
즐거운 인생
《SF 명예의 전당 2 : 화성의 오디세이》
제롬 빅스비(Jerome Bixby) / 오멜라스 (웅진, 2010)
* Mute (<환상 특급 시즌 4> Episode 5, 1963년 1월 31일 방영)
벙어리 소년
《더 박스》
리처드 매드슨 / 노블마인 (2010년)
* Nightmare at 20,000 Feet
(<환상 특급 시즌 5> Episode 5, 1963년 10월 11일 방영)
2만 피트의 상공
《줄어드는 남자》
리처드 매드슨 / 황금가지 (2007년)
* Number 12 Looks Just Like You (드라마 에피소드명)
(<환상 특급 시즌 5> Episode 17, 1964년 1월 24일 방영)
아름다운 사람들 (The Beautiful People, 원작명)
《아름다운 사람들》
TR클럽 / 위즈덤커넥트 (2017년, e-Book)
※ 2017년 10월 21일 수정 작성
* An Occurrence at Owl Creek Bridge
(<환상 특급 시즌 5> Episode 22, 1964년 2월 28일 방영)
아울크리트 다리에서 생긴 일
《내가 샤일로에서 본 것》
앰브로즈 비어스 / 아모르문디 (2013년)
* A Message from Charity
(<환상 특급 리메이크판 시즌 1> Episode 6, 1985년 11월 1일 방영)
채리티가 남긴 말
《시간여행 SF 걸작선》
윌리엄 M. 리(William M. Lee) / 고려원 (1995년)
* Paladin of the Lost Hour
(<환상 특급 리메이크판 시즌 1> Episode 7, 1985년 11월 8일 방영)
잃어버린 시간을 지키는 기사
《제프티는 다섯 살》
할란 엘리슨 / 아작 (2017년)
* The Star
(<환상 특급 리메이크판 시즌 1> Episode 13, 1985년 12월 20일 방영)
동방의 별
《환상특급》
《아서 클라크 단편 전집 1953-1960》
아서 C. 클라크 / 서울창작 (1994년), 황금가지 (2009년)
* Gramma
(<환상 특급 리메이크판 시즌 1> Episode 18, 1986년 2월 14일 방영)
할머니
《스켈레톤 크루 (하)》
스티븐 킹 / 황금가지 (2006년)
* The Last Defender of Camelot (1979)
(<환상 특급 리메이크판 시즌 1> Episode 24, 1986년 4월 11일 방영, 최종회)
캐멀롯의 마지막 수호자
《드림 마스터》
로저 젤라즈니 / 행복한책읽기 (2010년)
* The Cold Equations
(<환상 특급 리메이크판 시즌 2> Episode 16, 1988년 1월 7일 방영)
차가운 방정식
《환상특급》
《SF 명예의 전당 1 : 전설의 밤》
톰 고드윈 / 서울창작 (1994년), 오멜라스 (2010년)
※ <나이트 갤러리> 에피소드
* Season 1 Ep. 3 (1970년 12월 30일 방영)
Certain Shadows on the Wall
원작: 벽 그림자(『The Shadows on the Wall』)
《세계 호러 걸작선 2》 (책세상, 2004)
메리 윌킨스 프리먼
각색: 로드 설링
* Season 2 Ep. 17 (1971년 12월 1일 방영)
Pickman’s Model
픽맨의 모델
《러브크래프트 전집 1》 (황금가지, 2009)
원작: 하워드 필립스 러브크래프트
* Season 2 Ep. 18 (1971년 12월 8일 방영)
Cool Air
냉기
《러브크래프트 전집 2》 (황금가지, 2009)
원작: 하워드 필립스 러브크래프트
각색: 로드 설링
* Season 2 Ep. 21 (1972년 1월 5일 방영)
The Funeral
장례식
《나는 전설이다》 (황금가지, 2005)
원작, 각색: 리처드 매드슨
* Season 3 Ep. 1 (1972년 9월 24일 방영)
Return of the Sorcerer
마법사의 귀환
《클라크 애슈턴 스미스 걸작선》 (황금가지, 2015)
원작: 클라크 애슈턴 스미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