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년 8월 26일 맑음 17도~28도


한 묶음 밖에 되지 않는 참깨이긴 하지만 줄기를 베어서 묶은 후 말리기 위해 데크 한쪽에 세워 두었다. 그런데 지난 밤 비바람에 그만 참깨 묶어둔 것이 날아가버려 참깨가 우수수 떨어지고 말았다. 



아, 아까운 참깨. 한 알 한 알 줍는 건 포기하고 그냥 탄식만....



오늘은 참깨보다 수량은 적지만 자라기는 더 잘 자란 검정깨를 베어냈다. 그리고 한 데 묶어서 세워 두었다. 



처음엔 비닐과 함께 줄기를 묶어두었는데, 비닐에 습기가 차면서 물방울이 생기는 바람에 줄기를 따로 묶고 비닐만 덮어두었다. 그리고 바람에 날라가지 않도록 기둥에 다시 묶는 일까지. 참깨를 말리면서 발생한 실수를 통해 배웠다고나 할까. 양이 얼마되지 않아 내년 종자용으로나 쓰면 될 듯 싶다. 조금 남는다면 양념용으로 두어 번 쓸 수 있지 않을까. 

올해 시험삼아 심어보긴 했지만, 관리에 신경을 많이 쓰지 않아도 돼, 놀고 있는 땅만 있다면 심어볼 만 할 것 같다. 물론 거두고 말리고 타작하고 선별하는 등의 작업이 꽤 번거롭긴 하지만 말이다. 기름을 짤 정도는 아니지만 깨소금용 정도만이라도 자급해서 쓸 수 있다면 괜찮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2년 8월 23일 가끔 비 23도~26도


하루 만에 직박구리에 대한 미안함이 싹 가셔 버렸다.  


사과나무에서 새 피해를 톡톡히 막아주었던 끈끈이였지만, 배나무에는 통하지 않았다. 



탄저병에 걸려 썩어가는 배를 다 치우고, 더 이상 퍼지지 않도록 유황을 치면서 관리했던 배나무다. 한 그루 당 30여 개 달렸던 배 열매가 겨우 10여 개 남게 됐다. 그런데 그 중에서 가장 멀쩡한 배가 새들이 다 쪼아 먹어 버린 것이다. 나무 당 대여섯개 씩 쪼아 먹었으니, 남은 건 절반도 되지 않는다. 어제 끈끈이에 달라붙어 죽게 된 직박구리를 보며 미안했던 마음은 어느새 다 사라지고, 괘씸한 마음만이 남았다. 

끈끈이를 믿고 그냥 놔두는 것이 아니었는데.... 새 피해 방지 그물을 사서 칠 걸 그랬나? 하는 후회가 가득하다. 하루 만에 미안함에서 괘씸함으로 바뀌는 마음을 보며, 사람의 마음이란 것이 얼마나 쉽게 변하는 것인지를 새삼 알게 된다. 그러니, 마음에 너무 휘둘리지 않기를......


댓글(1)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은하수 2022-10-21 08: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허거걱... 우째 이런일이..
직박구리가 저렇게 배를 쪼아먹는군요? 배는 종이를 씌워키우는거 아닌가요? 바로 옆에 배 과수원을 하는집이라 매일 구경하거든요
우째요.. 식구들 먹을건 건지신거예요?
 

22년 8월 22일 맑음 20도~30도


노란색 끈끈이를 붙여 놓은 지 1주일도 되지 않았다. 그런데 벌써 벌레들로 시커멓게 된 것들이 있다. 이 정도 효과면 천연농약을 뿌리는 번거로운 일을 하지 않아도 되지 않을까 싶을 정도다. 



특히 갈색날개매미충이 잘 잡힌다. 미국선녀벌레가 개체수는 훨씬 많음에도 끈끈이에 붙어있는 것은 별로 없는걸 보니, 미국선녀벌레에는 그다지 효과가 크지 않은 듯하다. 마음 같아서는 끈끈이를 나무 주위에 빙 둘러치고 싶다. 하지만 끈끈이 한 장 가격이 350원 정도이니, 이것도 만만치 않다. 나무 한 그루 당 10개 정도씩 달아놓으면 꽤 괜찮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만약 사과나무 한 그루에서 사과를 50여개 이상 수확할 수 있다면 남는 장사(?)이지 않겠는가. 하지만 지금의 실력으로는 10개도 채 수확하지 못하니.... 그래도 어찌보면 가장 친환경적인 방법 중의 하나이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끈끈이 하나가 바닥에 떨어져 있다. 끈끈이에 덩치 큰 녀석이 붙으면서 떨어져버린 듯하다. 자세히 보니 직박구리다. 사과나무에 매달아 놓은 것에 직박구리의 깃털이 달라붙으면서 잡힌 듯하다. 

지난해 사과는 직박구리가 다 먹는 바람에 수확을 한 개도 하지 못했다. 그래서 어떻게 하면 새 피해를 막을 수 있을까 고민이 많았다. 한랭사를 쳐 놓을지, 새 피해 방지를 위한 그물을 사서 쳐 놓을지 말이다. 그런데 끈끈이에 직박구리가 달라붙으면서 지난해 떼로 몰려다니던 직박구리들이 눈에 잘 보이질 않는다. 위험을 감지하고 찾아오지 않는 것은 아닐까 추측해본다. 물론 더 지켜보아야 겠지만 말이다. 한 두 마리가 끈끈이에 붙었다고 해서 다른 직박구리가 도망가 다시는 오지 않을 것이라는 것은 사람의 생각일 뿐, 직박구리의 행태는 어쩔지 모르니 말이다. 


그런데 막상 끈끈이에 직박구리가 붙어 죽어있는 것을 보니 안타깝다. 농작물에 피해를 가하고 있지만, 막상 죽음까지 내몰린 것을 보니 죄스러운 마음도 든다. 벌레를 잡을 때는 전혀 이런 마음이 들지 않았는데, 새가 잡혔을 때 이런 마음이 드는 것도 아이러니다. 똑같이 해를 끼치는데, 벌레를 죽이는 것은 괜찮고, 새를 죽이는 것은 주저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아무튼 한랭사나 그물을 치려 한 것은 새를 잡기 보다는 새가 열매를 먹지 못하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런데 끈끈이는 새를 잡아버리니, 그 목적이 다소 다르게 되어 버렸다. 

끈끈이에 잡힌 직박구리를 보며 한편으론 고소하고, 한편으로 미안한 마음이 든다. 사람의 마음이란 참 미묘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2년 8월 20일 맑음 24도~32도


요즘 날씨는 비가 오거나 뜨겁거나, 둘 중 하나다. 8월 장마가 이렇게 긴 경우는 처음인 듯하다. 흐린 날이 워낙 많다 보니 열매가 잘 익을 수 있을지 걱정이 된다. 



고추에는 노린재가 득실득실하다. 가지마다 수십 마리는 있는 듯하다. 가지가 손상될 지라도 그냥 손뼉을 치며 잡았다. 한마리씩 잡기에는 그 수가 너무 많다. 



그 와중에도 빨갛게 익은 고추가 몇 개 있다. 물로 깨끗이 씻은 후 해가 날 때 밖에 내놓아서 말리고 있다. 



7월까지 주렁주렁 달렸던 대추 열매는 어느새 다 떨어져 버리고 가지마다 한 개 정도 씩만 달랑 남아 있다. 그래도 지난해 겨우 두 개 따 먹었던 것에 비하면 더 많이 달리긴 했지만, 열매가 떨어진 이유를 모르겠다. 지난번 칼슘을 너무 진하게 타서 엽면시비한 탓일까. 아무튼 아쉬운 마음이 크다. 


수확의 계절이 다가오고 있는데, 실제 수확할 수 있는 것은 많지 않다. 올해는 블루베리부터 시작해 사과와 배, 대추까지 모두 병해충으로 중간에 잃어버린 것이 많다. 지난해에 비하면 열매가 많이 열렸다는 것에 일단 만족해야 할까. 아무튼 한 발 더 나아간 것이긴 하다. 이제 열매가 달린 것을 제대로 수확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보아야 겠다. 그래도 복분자와 아직 수확 시기가 오진 않았지만 산수유는 제법 거두어들일 것이 있는 모양새다. '유종의 미'! 참 어렵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은하수 2022-10-21 08: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추에 달라붙은 저 녀석이 노린재군요 저두 고추 20모종 심었는데... 장갑끼고 손뼉으로 잡다 또 포기요...ㅠ
벌레종류가 왜케 많은거예요?
옥수수엔 하얀벌레가 껴서 못먹구요 ㅠ
 

22년 8월 18일 맑음 21도~30도


과일나무의 곰팡이, 균, 벌레 피해가 꽤나 심각하다. 황과 미생물을 이용해 방제해보려 했지만, 시기적으로 늦어서인지 별 성과가 없었다. 물리적 방법, 즉 손으로 일일이 잡는 것도 한 방법이겠지만, 하루 종일 손뼉만 치면서 몇 일을 보낼 수는 없는 일. 그래서 끈끈이를 활용해 보기로 했다. 큰 기대를 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어떤 벌레들이 있는지 살펴볼 수 있을 듯 해서다. 




나무 당 2~3개 정도 끈끈이를 달았다. 많이 달면 달 수록 효과는 더 크겠지만, 이것도 일종의 플라스틱과 접착제 등을 사용하는 것이기에, 최소한으로 사용할 수 있다면 좋을 것이다. 



아무튼 끈끈이를 붙여 놓고, 나뭇가지를 흔들어보니 벌레들이 우루루 날아간다. 그 중 미국선녀벌레 한 마리가 끈끈이에 날아왔다. 그런데 끈끈이에 사뿐히 앉더니 다시 날아가버린다. ^^;;; 이런 황당한....



그래도 갈색날개매미충은 날개가 접착제에 착 달라붙어 잡히는 모양새다. 하지만 우루루 도망치던 벌레들이 끈끈이에 달라붙는 경우는 거의 없다. 



하루 지나 살펴보니 갈색날개매미충과 더불어 미국선녀벌레도 두 마리 잡혀 있다. 물론 새발의 피이긴 하지만. 



일부 새까맣게 끈끈이에 달라붙은 것들을 살펴보니 초파리 종류처럼 보인다. 초파리가 나무에 피해를 입히는지는 잘 모르겠다. 즉 이 벌레가 해충인지 곤충인지 판단이 서지 않는다. 어찌됐든 초파리 종류가 밭에 굉장히 많다는 것은 알겠다. 제발 나무에 해만 끼치지 말기를 바랄 뿐이다. 그리고 이왕 끈끈이를 달았으니, 지금 극성인 갈색날개매미충과 미국선녀벌레를 어느 정도 제어해 줄 수 있으면 좋겠다. 이들이 한창 새끼를 칠 때가 됐으니 개체수를 적정선 이하로 잡아주지 않는다면 내년엔 정말 재앙(?)이 되지 않을까 싶다. 끈끈이도 시기에 맞춰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겠다. 문제는 시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