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강아지똥 ㅣ 민들레 그림책 1
권정생 글, 정승각 그림 / 길벗어린이 / 1996년 4월
평점 :
"어엉, 어~엉"
아이가 울며 들어온다. 부모의 눈엔 불똥이 튄다.
"어디서 맞고 들어온거야?" 부모의 훈계가 시작된다. "한대 맞으면 두대 치라고 그랬지"
무한 경쟁의 시대, 절대 져서는 안된다. 승자가 모든 걸 갖는 시대에선 오직 이겨야만 한다. 그래야지 살아남는다. 비참해지지 않는다. 그런 시대에 `강아지똥`이라니... 가장 낮은 곳에서 가장 아름다운 꽃을 피운다는 이야기라니. 도대체 씨알이나 먹힐 동화일까.
그림책 `강아지똥`의 힘은 마이너리티의 반란에 있지 않다. 힘없고 비천한 사람들의 희망찬 모습에 있지 않다. 깨끗함과 더러움, 아름다움과 추함이라는 경계가 허물어지는 인식의 전환에 있다. 똥이 갖고 있는 생태적 힘이 고스란히 동화의 힘이 된다.
하지만 지금과 같은 아파트 촌에서 수세식 화장실을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똥은 그저 더러운 똥일 뿐이다. 동화책 속에서처럼 민들레를 피우는 훌륭한 거름이 되지 못한다. 똥은 더러운 것이라며 변기의 단추를 눌러 저멀리 보내야만 하는 아이들이 강아지똥의 아름다움을 알 수 있겠는가. 똥이 어떻게 거름이 되어 우리의 입으로 다시 돌아오는지 알 수 있을 때 비로소 강아지똥은 눈을 찡그리며 보는 대상이 아니라 자연의 일부분으로 자연스레 받아들여질 수 있다.
우리 사람사는 모습도 크게 다르지 않으리라. 똥이 흙과 민들레와의 관계성 속에서 아름다운 거름이 되듯, 사람도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아름다움을 찾을 수 있다. 이 동화는 예쁘게 화장하고 가꾸는 사람들 뿐만 아니라 소박하고 진솔된 내 주위의 모든 사람들이 아름다울 수 있다는 것을 가르친다. 그러나 그 아름다움을 느끼기엔 시멘트로 둘러싸인 도시는 척박하기만 하다. 강아지똥이 아름다울 수 있는 자연속에서 아이들이 뛰놀수 있는 도시를 꿈꾸기엔 우린 너무 멀리왔을까.
강아지똥이 동화책 속 그림처럼 아름답게 느껴질 그날을 꿈꾸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