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를 보다 보면 콘텐츠는 정말 무궁무진한데 막상 무엇을 볼지 결정하는 것은 쉽지 않다. 그래서 이리저리 둘러보다가 그냥 나오기가 일쑤다. 그래도 알고리즘이 어느 정도 작동을 하는 덕분에 취향에 가까운 작품들을 찾을 수 있는 경우도 가끔 있다.
이번의 경우엔 최근 올라온 작품들을 둘러보다 눈길을 사로잡은 경우다. 애니메이션 시리즈 <리바이어던>. 사전 지식이 전혀 없는데도 불구하고 그림과 예고편에 끌렸다. 하지만 12세 관람가가 오히려 흥미를 잃게 하는 요소로 작용했다. 혹여 유치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볼지 말지 망설였다. 일단 1회만 볼까?
망설임은 그리 오래가지 않았다. 단연코 번득이는 상상력에 12회까지 쉬지 않고 봤다. 물론 1회가 25분 정도여서 전체 러닝타임은 5시간 안팎으로 시리즈 치고는 짧다면 짧다고 할 수 있겠다.
시리즈 <리바이어던>을 다 보고 나서야 관련된 정보를 모아봤다. 그만큼 흥미진진하게 애니를 봤다고나 할까. <리바이어던>은 원작이 있다. SF작가 스콧 웨스터펠드의 리바이어던 시리즈 3권이다. 2009년 <리바이어던>, 2010년 <베헤모스>, 2011년 <골리앗>이라는 3부작을 12화의 애니메이션으로 다 담아낸 것이다. 알고보니 그의 작품 <어글리스>도 넷플릭스에서 제작해 공개됐다.
<리바이어던>은 1차 세계대전의 대체역사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1차 세계대전의 발단이 되었던 사라예보 사건을 토대로 전쟁을 벌였던 독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이탈리아의 3국 동맹과 영국, 프랑스, 러시아의 3국 협상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전제로, 과학 문명이 발전한 새로운 세계관으로 세계대전의 양상을 그려내고 있다. 3국 동맹국은 클랭커 국가로 기계공학을 발전시켜 대형 기계 병기와 워커라는 보행병기 등을 사용한다. 3국 협상국은 다윈족으로 생체공학을 기반으로 유전적으로 조작된 생체병기를 사용한다. 애니의 제목인 <리바이어던>은 영국의 생체병기로 고래를 유전 조작하여 탄생시킨 하늘을 나는 거대 비행체를 이른다.
<리바이어던>은 오스트리아 제국의 뒤를 이을 왕자 알렉산더가 부모님의 죽음으로 고국을 떠나 워커를 이용해 피난길에 오르는 것으로 시작한다. 한편에선 데린 샤프가 리바이어던에 탑승해 하늘을 나는 꿈을 꾸고자 남자로 변장해 승무원이 되는 모습이 그려진다. 알렉산더와 데린 샤프는 플랭커와 다윈족 하에서 자랐기에 자신들이 최고라 여기고, 상대방은 적으로만 여기며 자란 소년, 소녀였다. 이들이 우연한 사고로 만나게 되고, 우정과 사랑 사이의 묘한 관계 속에서 성장하는 이야기를 그린다. 그들의 성장 속에서는 타인에 대한 이해와 평화에 대한 갈망이 함께 자란다.
플랭커와 다윈족이라는 상상력과 전쟁이 아닌 평화를 향한 여정, 절대적 권력의 위험성(미국의 과학자 테슬라로 상징되는데, 현 기업 테슬라의 수장 머스크까지 떠올리는 재미도 있다)을 담아내고 있는 <리바이어던>. SF와 애니메이션을 좋아하는 이들에겐 정말 강추한다. 9점/10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