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년 5월 1일 흐린 뒤 비


꽃이 피고 나면 열매가 맺히는 법. 꽃의 아름다움은 열매라는 결실로 이어진다. 

늦겨울의 매화꽃은 매실로 변해 주렁주렁 열렸다. 지지난해에는 씨살이좀벌로 수확을 전혀 못했지만, 지난해에는 5키로그램 정도 수확했다. 올해는 조금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한다. 씨살이좀벌 피해를 입은 열매들을 계속 제거해가고 있어서 그 피해 정도가 점차 줄어들 것으로 기대한다. 



배나무에도 배꽃이 지고 난 후 배가 열리기 시작했다. 지금까지 배는 딱 1개 따 먹어봤다. 벌레 피해를 입던가 벌레 피해를 막아낸 것들은 새들이 쪼아먹는 바람에 사람 입에는 거의 들어오지 못했다. 올해는 조금이라도 열매를 지켜낼 수 있을지 모르겠다. 



오미자는 꽃이 한창이다. 꽃이 핀 모양새를 보니, 지난해 보다는 수확량이 두 배 이상 늘어나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다. 


 

가지가 너무 무성해서 가지치기를 조금 해 줘야 하지 않을까 싶은데, 어디를 손에 대야 할지 모르겠다. 그냥 방치 ㅜㅜ. 자연 상태로 열린 것을 수확해야 할 지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5년 5월 1일 흐린 후 비 


오후에 비가 온다고 해서 겨자 모종과 수박 모종을 구입해 심었다. 



밭에 심었던 참외 모종은 끝내 냉해를 이겨내지 못하는 듯하다. 다시 모종을 구입해 심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게다가 두더지가 지나가면서 뿌리를 들쑤셔 놓아 다시 살아날 수 있을지 모르겠다.



오이를 심어 놓았던 곳에는 망 대신 줄을 설치했다. 줄로 유인해서 집게로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키워볼 심산이다. 



씨앗을 뿌렸던 상추들이 고개를 내밀었다. 모종으로 심은 것보다 2주는 뒤쳐져 보인다. 하지만 오전 기온이 올라가면 금새 자라지 않을까 기대한다.



뽕나무 가지에도 잎이 나서 자라고 있다. 어느 정도 먹음직할 만큼 자란 것은 얼마 없고, 대부분 조금 덜 자랐지만, 또 어린 잎은 연해서 먹기엔 더 좋다. 


 

뽕잎을 따서 씻은 후 데쳐 나물을 무쳤다.



개인적으론 이맘때 맛볼 수 있는 최고의 나물이지 않을까 싶다. 뽕나무 잎은 두어 번 정도 떠 따 먹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봄의 맛을 충분히 즐기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5년 4월 28일 맑음 5도~22도


블루베리잎이 노란 기운을 넘어 보라색에 가까운 것들이 보인다. 올 봄 날씨가 오락가락한데다, 최근 아침 기온이 평년보다 낮은 2~5도 정도를 보인 영향이지 않을까 싶다. 



만약 이런 경우라면 아침 날씨가 올라가면 자연스레 녹색을 찾아갈 것으로 보인다. 아침 기온이 낮은 탓이 아니라면 토양산도가 맞지 않아서일 수도 있다. 산성을 좋아하는 블루베리이기에 토양이 중성 또는 알칼리성이 된다면 아무래도 생육에 지장을 초래할 것이다. 혹시 이런 경우가 아닐까 싶어 유황을 주문해 놓았다. 이래저래 산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이기도 하다.



블루베리꽃이 향기가 강하지 않지만 벌들에겐 꽤 유혹적인 모양이다. 꿀벌들이 이곳저곳에서 윙윙 거린다. 블루베리꽃에 몰려든 꿀벌들을 보고 있으면 흐믓해진다. 꿀벌 덕에 열매가 맛있어질 거라는 막연한 기대감 때문이다. 듀크라는 품종이 자가수정이 되지만, 그래도 벌들이 수정을 해 주면 더 낫지 않을까 싶은 마음이다. 보다 좋은 열매를 맺기 위해서는 다른 품종이 섞여 있으면 좋을 것이다. 현재 챈들러와 선라이즈 등이 심겨져 있기도 하지만, 이번 겨울에 많이 죽어서, 내한성이 강한 다른 품종을 몇 그루 더 심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낮은 아침 기온 탓인지, 모종이 불량인지 모르겠지만 이틀 전에 심은 고추 모종이 시들시들하다. 냉해를 입은 것인지, 약한 모종인지 조금 더 지켜보아야 할 성 싶다. 다시 기운을 차린다면 냉해를 이겨낸 것일테고, 그대로 시들어 죽는다면 모종이 좋지 않을 가능성이 커 보인다. 부디 차가운 아침 바람을 이겨내고 다시 씩씩해지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5년 4월 27일 맑음 5도~25도


밭 이곳저곳의 풀이 제법 자랐다. 지난해에는 5월 1일 첫 예초기를 돌렸는데, 올해는 4일 정도 이르다. 뭐, 이정도면 이르다고 할 것도 안되지만. 

지난해 예초기를 돌릴 때는 풀의 키가 블루베리에 버금 갈 정도로 자란 것도 있었다. 올해 블루베리밭의 풀은 그 정도까지는 자라 있지 않다. 지난해 몇 번 깔끔하게 예초기를 돌린 영향인지도 모르겠다. 



먼저 왔다갔다 자주 다니는 길 위주로 예초기를 돌렸다. 충전식 예초기는 올해가 3년 차인데 아직까지 큰 문제 없이 잘 쓰고 있다. 다만 밧데리 사용 시간이 조금 줄어든 듯 느껴진다. 처음엔 완충했을 때 1시간 가까이 썼는데, 지금은 40~45분 정도 쓸 수 있는 듯하다. 날이 아닌 줄로 하면 시간이 더 줄어 30여분 정도 쓸 수 있다. 줄을 감아주고 빼주는 자동동태가 고장이 나서 새로 주문을 했다. 



길 중심으로 깎고 시간이 조금 나서 블루베리밭도 풀을 베 주었다. 올해도 본격적인 농사가 시작됐음을 실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5년 4월 26일 맑음 2도~24도


하루 일교차가 20도를 넘는다. 아침 최저 기온이 2~3도다. 아직까지도 냉해 걱정을 해야하는 날씨다. 오전 기온이 조금 올라간 시간을 택해서 농약사에서 사 온 아삭이 고추, 일반고추, 오이, 참외 모종 3개씩을 심었다.



먼저 모종을 심을 밭을 정리했다. 풀이 너무 무성해서 무경운을 하더라도 풀은 뽑아줘야 할 듯 싶다. 



밭을 갈지는 않고 풀만 뽑은 후 모종을 심을 자리만 호미로 팠다. 



그리고 모종 별로 3개 씩 4줄에 걸쳐 심었다. 



원래 수박도 심으려고 했는데 농약사에서 관리를 잘 하지 못해서 모종이 냉해를 입었다고 한다. 그래서 다음 주에 다시 들러 모종을 구입해 심을 계획이다. 


2주 전에 심었던 브로콜리, 양배추, 상추 모종은 밭에 잘 정착하고 있는 듯 보인다. 다만 아침 저녁으로 쌀쌀한 날씨 탓인지 쑥쑥 크지는 못하고 있다. 연한 잎에 벌레가 몰려들면 어떨까 걱정했는데, 아직까지는 벌레 피해도 보이지 않는다. 



블루베리로 바빠지기 전까지 잘 관리가 되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