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다시 극한호우가 예보됐다. 주말에 집 주위 배수로를 다시 한 번 점검했다.

집 위쪽에 위치한 밭의 배수로를 조금 더 깊고 넓게 해 주었다. 이 밭의 엉망진창 배수로 때문에 집과 펌프실이 꽤 피해를 입었다. 아니, 배수로 자체를 만들지 않아서 집으로 덮쳐 왔던 물줄기를 그나마 직접 배수로를 만들어 물줄기를 바꾸어 왔었지만, 역부족이었다. 더이상 피해가 없기를 바라며 삽질을 해 댔다. 목 마른 자가 우물을 판다고, 밭 주인은 따로 있는데 고생하는 사람은 결국 피해를 입은 자라는 것이 화를 돋운다.

집 밑의 농수로도 마찬가지다. 오늘 농수로를 살펴보니 중간에 흙더미가 쏟아져 3~4미터 길이가 거의 막힐 지경이다. 농수로 담당기관이 어디인지는 모르겠지만(농어촌공사일 가능성이 높아 보이지만), 이런 조그마한 곳까지 모두 신경을 쓰지는 못할 거라고는 생각된다. 그래도 호우의 양상이 바뀌고 있으니 매년 전수조사를 해봐야 하지 않을까.

이곳도 삽질을 해서 물길을 내 주었다. 흙이 물을 머금고 있어서 한 삽 한 삽 한 번이 죽을 맛이다. 포클레인 서너번이면 끝날 일일텐데 백 번 가까이 삽질을 하고 나니 기운이 쏙 빠진다. 흙을 모두 퍼내면 좋겠지만, 일단 힘에 부쳐 물길을 내 주는 것만으로 만족했다.

그리고 가장 위험한 구간. 한 번 사면이 무너져서 축대를 쌓았던 곳인데 올해도 극한 호우가 쏟아진 날 우르르 흙이 쓸려 내려갔다. 축대를 무너뜨릴 정도는 아니었지만 축대 위쪽의 흙이 거의 쓸려 내려갔다. 사면 중간으로 어떤 이유로인지 알 수 없는 물길이 생기면서 발생한 일이다. 이 물길을 잡는 것이 문제를 해결할 방법이겠지만, 마땅한 해결책이 떠오르지 않는다.

일단 사면 쪽의 무너진 부분을 흙으로 보완한 후 흙이 더 쓸려내려가지 않도록 비닐을 씌웠다. 그리고 블루베리밭 가장자리의 배수로의 높낮이를 조정했다. 중간 중간 솟아오른 부분을 삽으로 깎아서 물이 잘 흐르도록 했다. 배수로 점검을 하다보니 중간에 10센티 정도 되는 구멍이 밭에서 배수로쪽으로 나 있는 것이 발견됐다. 혹시 이런 구멍이 물길을 낸 것일까. 일단 그 구멍을 끊어내고 사면 쪽 구멍을 막았다. 비가 내릴 때 이 구멍으로 물이 빠져나가는지를 확인하면 알 수 있을 듯하다.

비가 내리고 난 후 이 구멍을 살펴보니 물이 흐르는 것은 아니었다. 누군가 일부러 그 구멍을 막은 듯 보인다. 두더지가 됐든 이 구멍을 사용하는 동물이 물이 들어오지 않도록 흙으로 막아둔 듯 보인다. 정말 오묘하다. 비가 쏟아부을 때 생기는 물길은 아무래도 땅 속 깊이 2미터 가량은 된듯하다. 이 물길로 피해가 더 이상 없기를 바랄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