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의 중순. 여전히 햇볕은 따갑다. 한낮 기온이 30도를 넘고 있다. 언제쯤 뜨거운 기운이 꺾일련지.... 블루베리를 삽목한 묘목들의 성장은 더디다. 꼭 사람이 더위를 먹듯, 묘목들도 지친 것은 아닐까 생각이 들 정도다. 



새 잎을 내는 것들이 있지만 키가 쑥 쑥 자라는 모양새는 없다. 아무래도 이제부터는 양분이 필요한 시점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차광막을 아직 거두지는 않았다. 8월까지는 차광막을 그대로 둔 채, 슬슬 묘목에 물을 줄 때 양분을 조금 섞어 주면 어떨까 생각해 본다. 뿌리가 어느 정도 내려서 흙에 자리를 잡았다면 양분도 필요하지 않을까. 지금부터 혹은 차광막을 걷고 나서는 양분도 함께 주는 작업을 해 나갈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삽목한 블루베리 중 가장 크게 자라고 있던 것의 잎이 빨갛게 변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흙의 산도가 높아져 양분 흡수, 특히 인 성분이 부족해지면서 나타나는 현상일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다른 화분과 똑같은 피트모스에 같은 날 물을 준 것을 생각하면 양분 부족일 것 같지는 않다. 다만 잎이 가장 크게 자라면서 양분을 더 필요로 할 수 있기에, 그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을 듯하다. 



반면 잎이 적었던 묘목 중 일부에서는 새 잎줄기를 내면서 쑥쑥 자라는 것들도 있다. 이제 새잎을 내놓다 보니 색도 연두색으로 귀엽게 느껴진다. 같은 나무의 줄기를 잘라서 삽목을 한데다, 동일한 장소에서 동일하게 물관리를 해 주지만, 이렇게 각자 성장의 속도도 양상도 다르다. 화분이 놓여진 위치의 차이가 1미터도 안되지만, 이 차이만으로도 성장의 양상이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잎이 붉게 변하는 것도 어찌보면 차광막이 그늘을 주지 않는 부분이라 스트레스를 받은 영향도 있을 수 있다. 


삽목한 묘목들은 어찌보면 유전자가 동일한 것들임에도 이렇게 자라는 모습에서 차이를 보이는데, 사람이야 오죽 하겠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또다시 극한호우가 예보됐다. 주말에 집 주위 배수로를 다시 한 번 점검했다.



집 위쪽에 위치한 밭의 배수로를 조금 더 깊고 넓게 해 주었다. 이 밭의 엉망진창 배수로 때문에 집과 펌프실이 꽤 피해를 입었다. 아니, 배수로 자체를 만들지 않아서 집으로 덮쳐 왔던 물줄기를 그나마 직접 배수로를 만들어 물줄기를 바꾸어 왔었지만, 역부족이었다.  더이상 피해가 없기를 바라며 삽질을 해 댔다. 목 마른 자가 우물을 판다고, 밭 주인은 따로 있는데 고생하는 사람은 결국 피해를 입은 자라는 것이 화를 돋운다. 



집 밑의 농수로도 마찬가지다. 오늘 농수로를 살펴보니 중간에 흙더미가 쏟아져 3~4미터 길이가 거의 막힐 지경이다. 농수로 담당기관이 어디인지는 모르겠지만(농어촌공사일 가능성이 높아 보이지만), 이런 조그마한 곳까지 모두 신경을 쓰지는 못할 거라고는 생각된다. 그래도 호우의 양상이 바뀌고 있으니 매년 전수조사를 해봐야 하지 않을까.



이곳도 삽질을 해서 물길을 내 주었다. 흙이 물을 머금고 있어서 한 삽 한 삽 한 번이 죽을 맛이다. 포클레인 서너번이면 끝날 일일텐데 백 번 가까이 삽질을 하고 나니 기운이 쏙 빠진다. 흙을 모두 퍼내면 좋겠지만, 일단 힘에 부쳐 물길을 내 주는 것만으로 만족했다.   



그리고 가장 위험한 구간. 한 번 사면이 무너져서 축대를 쌓았던 곳인데 올해도 극한 호우가 쏟아진 날 우르르 흙이 쓸려 내려갔다. 축대를 무너뜨릴 정도는 아니었지만 축대 위쪽의 흙이 거의 쓸려 내려갔다. 사면 중간으로 어떤 이유로인지 알 수 없는 물길이 생기면서 발생한 일이다. 이 물길을 잡는 것이 문제를 해결할 방법이겠지만, 마땅한 해결책이 떠오르지 않는다. 



일단 사면 쪽의 무너진 부분을 흙으로 보완한 후 흙이 더 쓸려내려가지 않도록 비닐을 씌웠다. 그리고 블루베리밭 가장자리의 배수로의 높낮이를 조정했다. 중간 중간 솟아오른 부분을 삽으로 깎아서 물이 잘 흐르도록 했다. 배수로 점검을 하다보니 중간에 10센티 정도 되는 구멍이 밭에서 배수로쪽으로 나 있는 것이 발견됐다. 혹시 이런 구멍이 물길을 낸 것일까. 일단 그 구멍을 끊어내고 사면 쪽 구멍을 막았다. 비가 내릴 때 이 구멍으로 물이 빠져나가는지를 확인하면 알 수 있을 듯하다. 



비가 내리고 난 후 이 구멍을 살펴보니 물이 흐르는 것은 아니었다. 누군가 일부러 그 구멍을 막은 듯 보인다. 두더지가 됐든 이 구멍을 사용하는 동물이 물이 들어오지 않도록 흙으로 막아둔 듯 보인다. 정말 오묘하다. 비가 쏟아부을 때 생기는 물길은 아무래도 땅 속 깊이 2미터 가량은 된듯하다. 이 물길로 피해가 더 이상 없기를 바랄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엄청난 땡볕에 시들시들한 작물들이 늘어나고 있다. 블루베리 묘목은 차광막을 씌워 놓은 상태다. 8월 한 달은 더 차광막을 씌워 놓고 관리해야 할 성 싶다.



그런데 묘목 중 일부에서 잎이 하나도 안 보이는 것들이 생겼다. 벌레의 소행일 터인데, 누구의 소행인지는 모르겠다. 주위를 둘러봐도 벌레가 보이지는 않는다. 



새 잎을 내고 있는 묘목의 기존 가지에 달린 잎도 벌레 가해 흔적이 보인다. 다행이라고 할까. 더 이상 잎을 먹어 치우지는 않는 듯하다. 어떤 벌레가 와서 묘목 2~3개의 잎을 먹어 치우고 사라진 것일까. 벌레 피해가 늘어나지 않는 것으로 봐서는 어디론가 사라졌을 터인데, 왜 주변의 것을 더 먹지 않고 사라졌는지도 의문이다. 아무튼 약을 치지 않고서 계속 관리할 수 있을 듯하다. 이 무더운 여름을 잘 이겨내고 무럭무럭 자라주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이틀 전 참외에 이어 오늘은 수박을 살펴봤다. 



풀에 푹 파묻혀 수박이 열렸는지조차 확인이 어려울 지경이다. 뿌리를 내린 곳부터 차근차근 풀을 뽑아 나갔다. 



그런데 수박 줄기를 조심조심 하며 근처 풀을 뽑아보니 수박잎이 하나도 없다. 이래서는 수박이 자라지도 못할 텐데... 



마저 풀 정리를 하니 신기하게도 수박이 열린 근처의 가지에서는 수박잎이 서너 장 달려 있다. 그나마 수박에 양분을 공급할 최소한의 잎이라 할 수 있겠다. 어떻게 이런 일이 벌어질까? 무척 궁금하다. 악조건 속에서 씨앗을 보존하기 위한 최선의 선택인 것일까. 그래서 한정된 자원을 종족 보존에 쓰기 위해 잎을 스스로 떨군 것일까. 아니면 수박을 보존하기 위해 수박 근처의 잎에서만이라도 벌레를 쫓아내기 위한 어떤 특별한 냄새나 맛을 지니도록 했을까. 어찌됐건 자연의 신비로운 장면을 훔쳐본 듯한 기분이 든다. 이렇게 겨우 수박 하나를 지켜낸다면 농사는 망하는 것. ㅜㅜ 얼른 풀을 정리하고 마른 땅에 물을 주었다. 수박을 수확하기 까지 일주일 가량 남았을 것으로 보이는데, 그 기간이라도 물을 잘 주어서 잎이 제 일을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