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일 고향에 다녀왔다. 안동 예안이다. ‘고향’을 태어나서 자란 곳이라고 한다면 예안은 소생의 고향이 아니다. 반면 ‘고향’을 조상이 오래 누려 살던 곳이라고 한다면 소생의 고향이 맞다. 아버지와 위로 형님들은 예안에서 태어났지만 소생은 대구에서 태어났다. 이제 예안에 살고 있는 우리 일가는 삼호밖에 없다. 대구만 해도 무슨 보수 꼴통의 메카같은 느낌인데 거기다가 소생의 뿌리가 이른바 유교문화의 성지라는 안동이라고 하니 ‘햐~~~’하고 감탄하시는 분들 계시리라 나름 짐작해 본다. 하지만 아시다시피 고향은 우리가 입맛대로 고를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우리 씨족의 우리 분파가 예안에 자리잡은 것은 1750년대 쯤이다. 원래 우리 씨족의 본줄거지는 16세기 중엽부터 지금의 안동 임동 일대에 집성촌을 이루고 살았다. 1985년인가 임하댐이 건설되면서 수백년 누대에 걸친 우리 씨족의 본거지는 낙동강 푸른 강물 아래로 가라앉았다. 큰 종가의 종택은 해체되었다가 위쪽으로 옮겨져 다시 결합되어 수몰된 옛 마을을 물끄러미 내려보고 있다. 100여호 넘던 일가들은 나라에서 정해준 거주지로 옮겼으나 지금은 그 곳에도 몇 호 남아있지 않다고 한다.
아마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이미지의 ‘고향’을 가진 마지막 세대는 우리 부모님 혹은 형님들 세대일 것이다. 소생의 경우 예안이 고향이라고 하지만 내가 태어난 곳도, 소싯적 친구들과 불알 달랑거리며 뛰어놀던 곳도 아니다. 그렇다고 내가 태어난 곳이긴 하지만 아무런 추억도 기억도 없는 대구 신천동이 내 고향인가?? 아니면 내가 태어난 곳은 아니지만 초등학교 6년을 다녀서 유소년의 추억이 가장 많은 효목동이 내 고향인가?? 모르겠다. 고향이 뭐 중요하나?? 이젠 고향은 추석같은 명절에나 한 번 생각해보는 곳이 된 것 같다.
관련도서로 최인호의 '별들의 고향'과 이문열의 '그대 다시는 고향에 가지 못하리'를 골랐다. 별들의 고향은 40년만의 복간이라고 한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3251/98/cover150/6000668643_2.jpg)
예안도 나름 사과로 유명하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1102/pimg_7333051131303805.jpg)
우리 종가집이다. 우리 종가는 작은 종가다. 종택으로는 규모가 아담하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1102/pimg_7333051131303806.jpg)
종가집 건너편에 있는 폐가. 40여년 전 작은 아버지가 총각시절에 여기 사시면서 벼농사도 짓고 양봉도 했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1102/pimg_7333051131303808.jpg)
안동댐 물이 많이 빠졌다. 바리깡 자국처럼 물에 잠겼던 흔적이 남아있다. 날이 가물긴 많이 가물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1102/pimg_7333051131303809.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