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콤 살벌한 연인>에서 서른 넘게 연애는커녕 여자랑 키스도 한 번 못해본주인공 남자는 신경 정신과를 찾는다. " 선생님, 도와 주세요. 정말 너무 외로워요. 누가 좀 만져 주기만 해도 좋겠어요." 그렇게 하소연을 해 봐도, 의사에게 받은 건 약봉지 가득 든 "항우울제"(antidepressants) 뿐이다. 남자는 신경질적으로 중얼거린다. " 누가 도와 달랬지 우울증 치료제를 달래? " 그리곤 약봉지를 쓰레기통에 던져 버린다. 뭐....서른 넘게 연애 한 번 못해 봤다는 건 누군가를 믿지 못하고, 마음을 열지도 못하고, 매사에 의심이 많은 강박신경증(?)의 일환일 수도 있겠다.외로워 죽겠다고 아무리 절규해 봐도 의사가 몸소 여친이 되어 주거나, 우렁이 각시를 만들어 줄 수 없다면 도와줄 수 있는 건 약물처방 뿐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했다. 그렇게 외로움에 죽어가던 남자가 같은 오피스텔에 사는 여자, 그러니까 "달콤 살벌한 연인"과 사랑에 빠진다. 그리고...태어나서 처음으로 키스를 한다. 키스한 다음 날, 남자는 친구한테 전화를 해서 자랑을 한다. " 너도 키스할 때 혀 넣고 그러니? " 남자는 "달콤 살벌한 연인"을 사랑한다. 상대방이 사람을 네 명이나 죽인 살인자라는 걸 알면서도 미련을 버리지 못한다.왜 신고하지 않았느냐는 여자의 질문에 남자는 황당하다는 듯이 말한다." 어떻게 사랑하는 사람을 신고해요? " 그런데....그런데....그 남자의 감정은 "사랑" 맞을까? 영화를 보고 나서 한참, 정말 한참 동안 그 생각을 했다. 외로움에 질식해 가던 남자 앞에 나타나, 키스해 주고, 섹스도 해 준 여자에 대한 감정적 애착, 또는 집착이 사랑일까? 그건 사랑이 아니라, 물에 빠져 죽을 뻔 했던 사람이 자신을 건져 주고 인공호흡을 해준 상대방에게 느끼는 고마움 같은 게 아닐까?배 고플 때 슈퍼에 가면, 보는 것 마다, 손에 집히는 것 마다 다 산다. 외로울 때는, 외로워서 죽을 것 같을 때는, 싫지 않을 정도의 아무하고나 사랑에 빠지기 쉽다. 아니, 사랑이라 착각되는 감정에 빠지기 쉽다. 처음에는 마냥 좋다. 구원이라도 받은 듯 하다. 그러다가....그 관계가 고통스러워지면,그 관계의 허접함을 자각하기 시작하면, 그 관계에 책임 및 의무까지 하나 둘씩 생겨나면, 상대방이 싫어진다. 그것도 갑자기. 시인 신현림은 말했다. 에라 모르겠다, 하는 심정으로 결혼했다고. 외로움의 극단에서 결혼을 선택했다고.그 글을 읽으며 "잔인하다"는 생각을 했다. 아무리 땅을 칠만큼 후회한다 해도, 그래도 결혼까지 했던 사람인데 적어도 "그 당시에는 눈이 멀었다." 거나 " 그 당시에는 눈에 콩깍지가 쒸었다." 라고 말하는 게 "예의" 아닐까? 외로워서 만났다, 너무 외로워서 만났다라고 말하는 건, 사람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 얼마 전, 내게 막연한 호감을 표시하는 남자를 만났다. 그 남자에게서 절절한 외로움이 느껴졌다. 그 남자는 당장 출구가 보이지 않는 깜깜한 현실 속에서손 내밀어 줄 "누군가"를 찾고 있는 것 같았다.그 남자의 호감은 나를 향한 것이 아니었다. 그저...친절한 그 누구. 너무 못생기지도, 매력 없지도 않으면서 친절한 그 누구.토끼는 외로우면 죽는다고 한다. 그런데...사람은 왠만해서 죽지 않는다. 죽지 않아, 죽지 않아~ 유재석이 부르는 노래처럼. 그러니...당신이 외롭다는 이유만으로 다른 사람을 헛갈리게 하지 말자. 당신이 외롭다는 이유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