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중요하지 않다. 그가 사랑을 얻었으면 그만이다. 최승자는 언제나 살기 위해 썼지 쓰기 위해 살지 않았으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런 방식으로 이해라는 것이 나에게 올 때, 나 자신을 조금쯤 더 아끼게 된다. 노력해서 얻게 되는 이해라기보다는 저절로 와닿아서 비로소 살아나는 이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지껏 내 손으로 씻기고 입힌 것 중에 이만큼 이쁜 것이 있었나."


"내 인생을 망치러 온 나의 구원자, 나의 타마코, 나의 숙희."


남자 없는 세계에서 끝없이 완벽하게 부드러울 수 있는 여자들의 사랑 이야기.


엄마 없는 두 소녀가 서로에게 엄마가 되어주기로 결심하는 이야기.


약속은 자주 약속으로만 남아 허망하지만


결심은 더 단단하고 든든하고... 그래서 좀 더 안심이 된달까.


두 사람이 아무 약속도 하지 않고, 그저 결심 어린 눈빛만을 보여주어서, 나는 그게 좋았다. 











어머니의 자리가 비어 있는 이야기들.


여동생을 낳으러 집을 떠났지만 돌아오지 않는 어머니, 아이가 누렇게 말라가도 돌볼 수 없는 더럽고 냄새나는 미친 어머니, 모습을 보이지 않게 하는 마술을 부리는 서커스단의 어머니, 때때로 사라져 자신도 기억하지 못하는 여행을 떠나는 마법사 어머니, 푸른 양철 가방을 들고 여행을 떠나 먼 나라에서 죽어 연기가 된 어머니의 어머니.....


소녀들은 어머니의 흔적을 따라 여행하고 그 어머니들처럼 사라진다.


삶과 죽음처럼 끝없이 되풀이되는 운명의 반복.


반복은 지겨움이나 절망일 수도.


혹은 재주 있는 자라면 리듬과 음악으로 만들 수도 있겠지.


그래서 그 음악을 듣고 엄마 없는 자들이 조금 덜 슬펐으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곤란한 결혼 - 타인과 함께 사는 그 난감함에 대하여
우치다 타츠루 지음, 박솔바로 옮김 / 민들레 / 201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래의 이상적인 결혼생활은 지금 여기에서 선취해야 한다. 형태가 아닌 태도로, 혹은 컨텐츠(내용)가 아닌 컨테이너(용기)로 실현할 수 있다. 태도나 컨테이너라는 것은 유쾌함을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른 없는 사회 - 사회수선론자가 말하는 각자도생 시대의 생존법
우치다 타츠루 지음, 김경옥 옮김 / 민들레 / 2016년 11월
평점 :
절판


"아직 여물지 않은 사상이나 상처입기 쉬운 감성이 배어있는 장소에서는 잠시 숨을 들이마시고 너무 큰소리를 내지않도록 조심하고 몸가짐을 삼가야한다는 상식이 없다. 공공적이지 않은 사람은 자기자신에 빠져있다. 토라져있는 자신에게 붙들려있으면 웬만해서는 자신의 틀에서 벗어날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