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원의 하루에서 회사원들이 제일 좋아하는 시간은 당근 퇴근시간. 그런데...퇴근시간은 정해져 있지가 않다. 원래 팬티 고무줄 보다 더 잘 늘어나고, (참....너무 옛날 표현이다. 요즘 팬티는 얼마나 좋은데...절대 안 늘어난다.)주가보다 더 유동적이고 변화가 심한 것이 회사원들의 퇴근 시간이다. 퇴근시간 다음으로 회사원들이 제일 좋아하는 시간은 점심시간. "다 먹고 살자고 하는 일인데.." 이런 말을 입에 달고 사는 만큼 아무리 바빠도 다들 점심은 먹는다. 오늘 점심시간. 7명이서 쌈밥을 먹었다. 귀찮아서 쌈은 하나도 싸 먹지 않고 제육볶음만 먹었다. (쌈밥을 시킨건 내 의지가 아니었다.) 내가 싫어하는 음식은 먹기가 까다로운 음식이다. 예를 들어 꽃게, 왕새우, 크랩 이런거.... 까고 살 빼내고 이런거 너무 귀찮다. 그래도 사회생활을 하는 인간으로서 가끔 그런걸 먹으러 갈 때가 있는데, 자기는 먹지도 않고 남자 앞에서 열심히 꽃게 살을 발라주는 여자들을 보면 마음이 불편하다.(엄마가 살을 발라서 내 숟가락에 얹어 줄 때는 좋다. ㅋㅋ)쌈밥을 먹고 나오면서 K과장과 테이크 아웃 커피집에 들어갔다. 빅마마의 흐느끼는 듯한 노래가 나오고 있었다. 비도 오는데 꾸물꾸물한 기분에 딱 맞아 떨어지는 노래였다. 잠깐 노래에 빠진 상태로 서 있다가 K과장에게 말했다. 수선 : 이 노래 너무 좋다.K 과장 : 이 노래 제목이 뭐야?수선 : 뭐더라....체념도 아니고 break....뭐 그런건가? 우리의 대화를 듣던 커피집 아저씨가 답답한 듯이 말했다. "여자요, 여자!" 아...노래 제목이 <여자>구나. "feel" 받은 나는 사무실에 들어와 이어폰을 끼고 빅마마의 <여자>를 들었다. 그 절절한 목소리가 꾸물꾸물한 기분을 마구 휘감으면서 딱 좋았는데, 두번째 듣다가 가사 보기를 했더니 짜증이 났다. 나를 사랑한다면 아무것도 바라지않아 손을 대면 차가운 내가슴 안아주면되 이젠 나는 괜찮아 누구라도 나는 괜찮아 얼음처럼 흘리는 내눈물 가려주면되 뭐냐? 가사가 거지 같다. 힘드니까 아무라도 옆에 있어 줄 사람이 필요하다는, 아무라도 좋으니까 사랑을 하겠다는, 이별로 텅 빈 마음을 누군가의 사랑으로 채우겠다는.... 아...정말 지겹다. 근데 노래 가사는 또 왜 "여자"인가? "여자"가 노래 제목에 들어가는 경우, 대부분의 가사가 이런 식이다. 사랑이 전부인 나는 여자이니까.... 뭐 이런.... 이런 가사들은 "가구는 여자예요" 라던가 작은 집에는 들어가지도 않을 커다란 냉장고를 껴안으며 "여자라서 행복해요" 라는 거랑 본질적으로 다를 바가 없다. 노래가사를 자유롭게 쓰는 건 좋은데, 광고카피를 자유롭게 쓰는 것도 좋은데, 왜 "여자"라는 하나의 gender를 이렇게 마구잡이로 규정하려 하는지....또 이런 거 자꾸 듣고 보다 보면, 이런게 여자들의 "속성"인 것으로 머릿 속에 저장된다.오직 사랑이 전부이고, 당근 일보다 사랑이 먼저이며, 사랑에 목숨 걸고, 사랑 안 하면 못살고, 외롭다고 내 눈물 닦아줄 사람이면 아무나 된다고 울부짖고.... 지겹고 짜증나긴 하지만,창작의 자유가 있으니 마음대로 쓰고 노래하는 건 좋은데, 왜 "여자"라는 gender를 싸 잡아서 "나는 여자이니까..." 하는 노래가 자꾸만 나오는지.... 실제로 실연의 상처를 견디지 못해서 아무하고나 결혼하거나(그것도 몇 달만에) 더 이상 주말에 혼자서 밥을 먹기 싫다는 이유로 "결혼 그 까잇거 뭐...대충..." 하며 부모님 권장사양이랑 "대충" 결혼하는 사람들 정말... 많이 봤다. 그런 사람들 있다. 아니 많다. 뭐 통계가 없어서 알 수는 없지만, 내가 본 그런 사람들 중에는 남자가 더 많았다. 어쨌거나... 제발 "사랑이 전부인 여자이니까..."하며 "가구는 여자예요" 하는 식으로 무지막지한 가사나 카피를 만들지 않았으면 좋겠다. 이런 노래 어렸을 때부터 듣고 자라면 진짜 사랑 안 하면 죽는지 아는, 허접한 사랑에 목숨거는 여자들이 대량 양산된다. <여자> → <어떤 여자> 또는 <나 같은 여자>로 제목을 바꾸는 게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