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슨 카운티의 다리>를 보고 생각했었다.
정말 저런 일이 가능할까?
나흘 동안 만난 사람을 평생 못 잊고 사랑한다는게 가능할까?
소설이 아닌,영화가 아닌, 현실에서 그런 사랑이 가능할까?

전인권의 불후의 명곡 <돌고 돌고 돌고>에 이런 리얼한 가사가 있다.
"운명처럼 만났다가 헤어지고 소문되고".

아...정말 마음을 두드리는 수준을 넘어 때리는 가사다.
한 친구가 결혼하기 전에 친구들에게 밥을 사며 이런 말을 했었다.
"오빠는 나를 위해 태어난 사람 같아."
그 말을 듣고 그 친구를 얼마나 부러워 했던지...
한편으론 이런 생각을 했다.
어떻게 저렇게 자신있게 말을 하지?
한 인간이 자신을 위해 태어났다고..... 

얼마 전 그 친구가 이혼을 했다는 말을 들었다.
"오빠는 나를 위해 태어난 사람 같아"라는 말이 떠올라 씁쓸했다.
그 오빠라는 사람이 헤어지자고 했단다.

몇년 전, 한 친구의 남자친구를 <사랑의 스튜디오>에서 보고 놀란 적이 있다.
친구가 그 남자한테 헤어지자고 했더니
그 남자가 한 겨울에 웃통을 벗고 그 친구의 집 앞에 꿇어 앉아 기다리는 쌩쇼를 벌렸었다.
그 온갖 난리를 쳤던 남자가 그 친구랑 헤어진지 한두달 되지도 않아서
<사랑의 스튜디오> 락카페에서 광란의 춤을 추고 있었다.

이런 세상에 도대체 <메디슨 카운티의 다리> 같은 사랑이 있는걸까?
달랑 나흘 만나고 평생을 잊지 못하는?
오직 그 한 사람을 사랑하는?

<메디슨 카운티의 다리>를 봤을 때는,
요즘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거룩하기까지 한 사랑이라고 생각했었다.

그런데...요즘 이런 생각이 든다.
<메디슨 카운티의 다리>의 사랑은 비겁하다고....
<메디슨 카운티의 다리>에서 로버트랑 프란체스카는
그들의 삶을 지탱하는 최후의 보루로 그 아릿아릿한 사랑을 남겨둔 것 같은 생각이 든다.

로버트랑 프란체스카랑 둘이 훌쩍 떠나서 같이 살았다면,
그렇게 한평생 서로를 사랑할 수 있었을까?
일상을 같이 하면서 서서히 변해가지 않았을까?
내가 이 남자 때문에 애들을 버렸단 말인가....하며 아이오와로 돌아가지 않았을까....
아이오와에서는 몰랐는데 이 여자 너무 촌스럽네....생각하지 않았을까....

그들이 그렇게 사랑할 수 있었던 건,
평생동안 그 두 사람이 함께 보낸 나흘을 끊임 없이 미화하며
보석처럼 간직했기 때문이 아닐까? 
그 두 사람의 사랑은 고단한 일상을 견딜 수 있는 힘이 아니었을까?
마치 지갑 속의, 서랍 속의 부적처럼....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을 사랑한다는 건
어찌 보면 위험한 일이다.
좋은 것만 기억하고,
애틋함에 목숨 걸고,
일상이 고단할 때 일상과 맞서지 않고 멀리 있는 사람을 떠올리며 힘을 내고...

만약 금도끼 은도끼처럼 산신령님이 나타나
단 나흘을 만나고 평생 애틋한 사랑을 할래?
매일 으르렁 거리며 싸우더라도 같이 살래?
물으신다면 난 대답하겠다.

"네... 매일 으르렁 거리겠습니다."

누군가를 사랑한다는 건 체험적인 일이 아닐까?
상대방이 콧구멍을 어떻게 후비는지,
화장실에 가면 평균 몇 분을 있는지,
재치기 할 때는 어떤 표정을 짓는지,
발톱을 어떤 자세로 앉아 깍는지,
운전하다가 옆에 차가 끼어 들면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나흘 동안 번개 같은 사랑을 하고,
그 찌릿찌릿한 사랑을 평생 기억하고(이 기억이 미화되어 왜곡되었을 가능성도 크다)
평생의 사랑으로 간직한다는 건.... 뭔가 비겁하다는 생각이 든다.
그건 실체적인 사랑이라기 보다는 일상을 버티는 힘이 아니었을까?

두루마리 휴지를 말아 쥐고 변기 옆에 앉아
오르페오랑 얘기를 하는 파니핑크의 사랑이
훨씬 더 사랑이라는 실체에 가까운게 아닐까?


댓글(14)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클리오 2005-08-22 00: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맞아요.. 님도 이미 사랑의 속성에 대해 너무 많이 눈뜨셨군요... 맞아요, 나흘 밖에 안되어서 평생을 못잊었다에 저도 한표입니다. 그나저나 늦게까지 안주무시는군요...

마냐 2005-08-22 00: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두요. 하지만, 그 나흘이 있어서...짜릿한 비밀을 안고 사는 생은 훨씬 덜 지루하지 않았을까요.

바람돌이 2005-08-22 02: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에고 몰라요 저는 머리 아픈거 딱 질색이어요. 특히 감정에 있어서는....
나흘간의 사랑은 무슨.... 이거 계속 머리속에 두고 있으면 삶이 얼마나 피곤할까? 그 때 그남자를 따라갔더라면 어땠을까 하고 잔머리 굴린다고...^^
기냥 떠난 사람은 까짓거 하고 잊어버리는게.... 세상에 널린게 남잔데.... 그 중에서 매일 나의 투정과 짜증을 받아주고 또 싸워도 가면서 살아줄 사람한테 올인할래요.

이매지 2005-08-22 02: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그냥 매일 으르렁거리겠습니다.
나흘동안의 찌릿한 사랑은 그저 일상을 버티는 힘에 동감하며.

조선인 2005-08-22 09: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건 참 웃긴 건데,
전 나흘간의 사랑이 있어봤으면 좋겠어요.
평생 그리워할 그 무엇이요. -.-;;

코마개 2005-08-22 10: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에잇! 남녀간의 사랑 그것 다 부질 없소. 등 돌리면 남인 것을..

moonnight 2005-08-22 11: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옛날에는 두 사람의 사랑이 너무 애틋하고 절실하다고 느꼈었죠. 지금은.. 남겨진 가족들은 뭐냐. 하는 생각이 드네요. 정말 사랑했을까 또는 두 사람이 함께 도망갔다면 끝까지 사랑할 수 있었을까..

드팀전 2005-08-22 12: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주로 왼손을 이용.공복에 우유나 냉수를 마시면 빨리 나옴.약간 고개를 뒤로 젓히며 피할 기회를 줌,쭈그리고 바닥에 앉아서.이런 개**가.너 오늘 딱걸렸다.ㅋㅋ
이게 사랑이라 이거쥬? ㅋㅋ
앞에 있는 모든 댓글이 다 맞아 ㅋㅋㅋ
사랑에는 3,948,110,328,829 개의 다양한 감정의 조각과 역사의 편린이 존재하니까 어딘가에서 한부분 걸리는 데가 있지않을까요..ㅋㅋ
그렇다면 부분의 합은 전체이냐....꼭 그렇지도 않을터이고...ㅋㅋ

날개 2005-08-22 17: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저런 생각해봤어요.. 아마 그들이 나흘이 아니라 삼년만 같이 살았다면 저런 사랑이 나오지 못했을걸요?

kleinsusun 2005-08-22 18: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클리오님, "사랑의 속성에 대해 너무 많이 눈뜨셨군요." 헉....아는건 많은데 시험은 못보는 학생 같아여.밤새 공부하고 시험 못보는 애들 있쟎아요.ㅋㅋ

마냐님, 바로 그거죠. 그 짜릿한 비밀로 일생의 고단함과 지루함을 버텼다고 해야 하나.... 그 나흘은 실제 보다 훨씬 더 아름답게 기억되었을 것 같아요. 삶을 버티게 하는 힘으로...

kleinsusun 2005-08-22 18: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바람돌이님, 님은 매일 투정과 짜증을 받아 주고 사랑해 주는 사람과 살고 계시죠? 부러버요.^^

이매지님, 네...저도 으르렁거리고 싶어요.근데...언제쯤 그럴 수 있을까요? ㅋㅋ
그 날이 오면... ^^

kleinsusun 2005-08-22 18: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조선인님, 전 그리워할 사람 보다 가끔 다투고 그러더라도 늘 함께 할 사람이 있으면 좋겠다는 그런 바람이....있어요.^^

강쥐님, 강쥐님은 늘 cool해용. 부질 없어도 연애질할 땐 좋쟎아요.ㅋㅋ

moonnight님, 맞아요, 저도 예전엔 눈물을 흘리면서 봤었어요. 둘이 도망쳤다면...아마도 그런 가슴 저미는 사랑은 일상이 되지 않았을까....


kleinsusun 2005-08-22 18: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3,948,110,328,829 개의 다양한 감정.....헉, 드팀전님,이거....설마...외우신거예요?

날개님, 3년을 같이 살았다면 그들의 사랑도 일상이 되지 않았을까요? 3년이면..약간의 권태기도 왔을법한...ㅋㅋ

2005-08-23 12:30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