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도나 사회과학도들을 만난다면 꼭 한번 묻고 싶다. 작년 12월에 타계한 미국의 생물학자 에드워드 O. 윌슨(Edward O. Wilson)의 학문적 업적을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내 질문에 그 사람들은 어떤 반응을 보일까. 아마도 인간의 행동이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다는 윌슨의 견해, 즉 유전자 결정론(또는 생물학적 결정론)에 불편한 기색을 드러낼 것이다. 유전자 결정론은 여성의 신체적 · 정신적 열등함을 뒷받침하는 데 사용된다. 윌슨은 1975년에 사회생물학을 발표하여 진화론의 시각에서 인간의 사회적 행동을 분석했다. 그의 책에 반영된 유전자 결정론은 환경과 양육이 인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절대적으로 보는 환경 결정론이 대세였던 당시 사회과학계를 분노로 들끓게 했다. 실제로 윌슨은 유전자가 성차를 결정한다고 주장했으며 앞으로도 여성은 남성보다 뒤떨어질 거라고 예상했다. 생물학자와 페미니스트들은 그의 발언을 비판했다윌슨이 같이 하버드 대학교에 근무하고 있던 생물학자인 스티븐 제이 굴드(Stephen Jay Gould)리처드 르원틴(Richard C. Lewontin)대중을 위한 과학이라는 단체를 만들어 윌슨과 사회생물학을 공개적으로 비난하는 활동을 전개했다. 여기에 마르크스주의자와 좌파들까지 합세하면서 윌슨은 수세에 몰렸다. 그들은 윌슨이 성차별주의를 노골적으로 옹호한 보수 우파라고 비난했다. 심지어 윌슨이 있는 어디든 따라가서 항의 시위를 벌였다. 시위자들은 심포지엄에서 연설을 시작하려는 윌슨에 다가가 물을 뿌리기도 했다.

















* 스티븐 제이 굴드 다윈 이후(사이언스북스, 2009)

* 스티븐 제이 굴드 인간에 대한 오해(사회평론, 2003)

 















* 리처드 르원틴, 스티븐 로즈, 레온 J. 카민 우리 유전자 안에 없다: 생물학. 이념. 인간의 본성(한울아카데미, 2009)

 

* [품절] 리처드 르원틴 DNA 독트린: 이데올로기서의 생물학(궁리, 2001)





여전히 많은 사람은 유전자 결정론의 문제점을 지적한다. 그들이 보는 유전자 결정론은 과학이 아니라 성, 인종, 장애인 차별을 정당화하는 이데올로기. 유전자 결정론과 관련이 있는 사회생물학과 진화심리학은 남성의 여성 지배를 신체적 차이에 근거한 자연의 질서로 본다. 굴드는 자신의 책 다윈 이후(Ever Since Darwin, 1977)인간에 대한 오해(The Mismeasure of Man, 1981)에서 불평등한 사회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이데올로기가 된 유전자 결정론을 비판하는 견해를 여러 차례 강조했다. 르원틴은 굴드보다 한층 더 혹독하게 유전자 결정론을 비판한 학자다. 그가 쓴 우리 유전자 안에 없다(Not in Our Genes: Biology, Ideology and Human Nature, 1984)DNA 독트린(Biology as Ideology: The Doctrine of DNA, 1991)은 사회생물학과 유전자 결정론을 요목조목 비판한 책이다이 네 권의 책은 유전자 결정론이 불편하지만, 조리 있게 반박하지 못하는 독자에게 힘이 되어 준다.


















* 데버라 캐머런 페미니즘(신사책방, 2022)


* 앤 커, 톰 셰익스피어 장애와 유전자 정치: 우생학에서 인간게놈프로젝트까지(그린비, 2021)


* 마리 루티 나는 과학이 말하는 성차별이 불편합니다: 진화심리학이 퍼뜨리는 젠더 불평등(동녘사이언스, 2017) 





사회의 불평등한 구조를 개선하려는 페미니스트와 마르크스주의자는 진화심리학과 유전자 결정론을 반대한다심리학자 마리 루티(Mari Ruti)나는 과학이 말하는 성차별이 불편합니다는 여성에 대한 고정관념을 부추기는 진화심리학 이론이 과학적 사실인 것처럼 생산되는 현실을 비판한다페미니스트 언어학자 데버라 캐머런(Deborah Cameron)페미니즘에서 생물학적 결정론이 여성 지배 사회가 존재하지 않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근거로 사용된다고 주장한다. 생물학적 결정론에 따르면 남성은 여성보다 몸집이 크며 체력이 좋고, 공격성이 있어서 사회와 여성을 지배할 수 있다. 장애학도 생물학적 결정론을 비판하는 학문이다장애와 유전자 정치는 이름만 바뀌면서 여전히 우리 사회를 지배하는 우생학의 실체를 보여준다. 우생학은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확산시켰고, 장애인을 사회에서 배제하는 정책들이 만들어졌다. 사회생물학은 1970년대에 등장한 신우생학이다.


유전자 결정론과 진화심리학에 대한 대중의 불신이 깊어지면서 환경 결정론은 본성 대 양육논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 오랜 논쟁이 양육 가설을 지지하는 환경 결정론자의 일방적인 승리로 종결되었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다이제는 둘 중 하나를 선택해서 지지해야 하는 이분법적 구분을 거부해야 한다. 더 나은 쪽은 없다. 유전과 환경의 상호작용이 인간의 행동에 영향을 준다.


















* 에드워드 O. 윌슨 인간 본성에 대하여(사이언스북스, 2011)

* 에드워드 O. 윌슨 자연주의자(사이언스북스, 1996)





유전자 결정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사실과 전혀 다른 편견을 낳는다. 그 편견의 예가 진화론자는 유전자 결정론을 지지한다든가 윌슨 같은 사회생물학자들을 성차별주의자이자 우파라고 속단하는 일이다그러나 유전자 결정론을 지지하는 진화심리학자들은 환경의 영향을 무시하지 않는다. 그들은 인간의 행동이 유전적 요인과 환경과 상호 반응하면서 바뀔 수 있다고 주장한다


윌슨은 사회생물학출간 이후에 펴낸 인간 본성에 대하여에서 인간은 신에 의해 창조되는 것이 아니라 유전자의 우연(genetic chance)과 환경의 필연(environmental necessity)에 의해 창조되는 것이라고 밝혔다.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 둘 다 인간 행동에 필수적이라는 윌슨의 견해는 책에 또다시 나온다. 개인은 자신의 환경, 특히 문화적 환경과 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된다(43).” 윌슨의 자서전 자연주의자는 사회생물학 논쟁의 소용돌이 한가운데를 지나오면서 느낀 생물학자의 솔직한 심정을 확인할 수 있는 책이다. 이 책에서 윌슨은 사회생물학이 정치적인 동기가 반영된 학문이라고 비난받은 것에 반박했는데, 자신은 이데올로기에 관심이 없다고 밝혔다.


유전자 결정론이 우파의 정치적인 강령과 손을 잡는 것에 우려하는 과학도와 사회과학도의 반응은 충분히 이해된다. 하지만 인간 행동의 본질을 설명할 때 무조건 양육이 옳다고 주장하는 것과 유전자 결정론자를 성차별주의자’, ‘반페미니스트’, 나쁜 과학을 신봉하는 세력으로 몰아세우는 비난은 독단적인 태도다


















* [e-Book] 스켑틱 Vol. 4: 과학을 사유하다(바다출판사, 2015)

* [e-Book] 스켑틱 Vol. 16: 길러진 본능인가 타고난 학습인가(바다출판사, 2018)

 



 

과학 잡지 스켑틱4의 특집 기사 제목은 진화하는 진화심리학이다. 진화심리학이 인간 본성에 관한 최신 연구 결과를 받아들이면서 지식의 범위를 어떻게 확장해나가는지 확인할 수 있다. 진화심리학이 어떤 학문인지 파악했으면 본성과 양육’을 주제로 한 특집 기사가 실린 스켑틱16를 읽으면 된다.

 


















* 케빈 랠런드, 길리언 브라운 센스 앤 넌센스: 20세기를 뒤흔든 진화론의 핵심을 망라한 세계적 권위의 교과서(동아시아, 2014)

 

* [절판] 딜런 에번스 진화심리학(김영사, 2001)





센스 앤 넌센스진화심리학은 진화심리학의 한계를 설명하면서도 진화심리학에 대한 오해까지도 비판하는 책이다. 센스 앤 넌센스의 저자는 인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본성과 양육이라는 두 가지 개념으로 분해하려는 발상 자체가 난센스라고 말한다. 저자의 표현에 따르면 인간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라는 재료가 섞어져서 만들어진 케이크와 같다. 그래도 유전자 결정론과 진화심리학이 불편하게 여기는 사람들은 인간이라는 케이크에 먹음직스러운 환경적 요인만 쏙 빼서 먹고 싶어 할 것이다. 하지만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을 정확하게 구분하는 일은 불가능하다. 본성과 양육, 어느 쪽이 옳은 건지 따지는 건 어리석다.



 

 


댓글(20) 먼댓글(0) 좋아요(3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란공 2022-04-16 10:48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굴드 책을 읽으면서 윌슨에 대해 비판하는 배경에는 어떤 이유가 있을까 항상 궁금했었습니다. cyrus님 덕분에 조금 이해가 되었어요.^^ 개개인의 다른 생각들이 중요하면서도 무언가에 비판적인 주장이 당론처럼 집단의 주장이 되어버리면 (그리고 전문가의 이름으로 강요되기 시작하면) 비판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빼앗아가기 쉬울 것 같습니다. 리처드 도킨즈 계열인 <개미와 공작>의 헬레나 크로닌이 굴드를 ‘사기꾼‘이라고 말하는 맥락도 뭔가 비슷한 이유가 있을까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나중에 가능하시다면 이 맥락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잘 읽었습니다.

cyrus 2022-05-01 17:46   좋아요 2 | URL
<개미와 공작>을 다시 읽어봐야겠어요. 리처드 도킨스와 윌슨은 유전적 결정론 지지자로 분류돼요. 물론 이들은 환경적인 요인도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그래서 도킨스 계열인 헬레나 크로닌이 도킨스와 윌슨을 혹독하게 비판한 굴드에 반감을 느낀 것 같습니다. ^^;;

초란공 2022-05-01 21:29   좋아요 0 | URL
아, 도킨스와 윌슨이 이런 관점에서 함께 묶일 수도 있군요!! 여기에 굴드나 르원틴의 관점을 이해하고 이들의 책을 읽으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blanca 2022-04-16 10:48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사이러스님의 의견에 동의합니다. 아이를 키울수록 본성과 양육 두 측면 어느 한 부분도 함부로 폄하할 것이 못된다는 생각을 강렬하게 하게 됩니다. 마지막 문장에 정말 공감합니다. <스켑틱> 16호 읽어볼게요.

cyrus 2022-05-01 17:49   좋아요 1 | URL
육아가 양육의 동의어에 가깝게 느껴서 그런지 육아에 영향을 주는 유전자적 요인에 거부감을 느끼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아요. ^^;;

이하라 2022-04-16 11:26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태생적인 것과 환경적인 것 중 하나만 인간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게 아닐텐데 한측만 강조하는 경향이 아직까지 이어지는 게 더 신기합니다. 과학과 사회에 대한 책들은 참 깊은 감상을 불러오는 것 같습니다. 이런 깊은 사유가 가능하도록 저도 다양한 장르의 독서를 해야겠다는 깨우침이 드네요.

cyrus 2022-05-01 17:51   좋아요 2 | URL
이제는 ‘본성 대 양육’이 아닌 ‘본성과 양육’으로 표현이 대체되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

파이버 2022-04-16 12:33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선천적인 것도 후천적인 것도 둘다 중요하죠... 가끔 문제를 겪는 아이들을 키우시는 부모님들이 양육방식에 대해 자책하시는 경우가 있는데 그럴 때 마음아파요...

cyrus 2022-05-01 17:54   좋아요 3 | URL
사회가 양육의 중요성을 너무 강조하면 양육이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한 능력으로 인식하게 돼요. 이러면 주변 사람은 부모의 양육 문제에 지나치게 관심을 가지게 되고, 참견하게 됩니다. 이런 주변의 압박감이 부모를 힘들게 하죠. ^^;;

미미 2022-04-16 13:0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사이러스님 덕분에 더 폭넓은 독서를 해야겠다는 필요성을 느낍니다.^^* 고맙습니다

cyrus 2022-05-01 17:58   좋아요 1 | URL
알라딘 서재에 다양한 분야의 책을 두루 읽는 분들이 많아요. ^^

건수하 2022-04-16 13:58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저는 과학을 공부하긴 했는데 윌슨의 책은 통섭만 읽다가 말아서 윌슨의 업적에 대햐서는 뭐라 말하기 어렵네요. 그 분의 제자 최재천 교수는 존경할만한 분이라 생각합니다.

환경과 양육 두 가지 다 영향이 있다는 사실은 막연히 다들 알고 있겠지만 그 중에서도 무엇이 얼마나 영향을 준다-에서 입장이 다르지 않을까 합니다. 그 무엇, 얼마나가 과학이 추구하는 바이고요. 그 무엇-얼마나를 자세히 설명하다보면 그 분야를 전공한 과학자들 외에는 모두가 알고 싶지 않아진다는게 과학이 대중들에게 오해받고 거리를 두게 되는 이유인 것 같아요. 과학자들도 좀더 대중에게 친절하게 설명해야할 것 같고 학교에서의 과학교육이 과거의 이론을 중심으로 하기보다 현재의 이슈와도 관련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cyrus 2022-05-01 18:00   좋아요 3 | URL
저도 수하님의 말씀에 동의합니다. 과학 교과서가 만들어지는 과정은 잘 모르겠지만, 과학 교과서에 새로운 지식이 추가되기까지 꽤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 같아요. ^^;;

mini74 2022-04-16 20:0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최근에 읽었던 책이랑 연결돼서 무지 유익하게 읽었어요 책 몇몇 권은 관심도 가고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

cyrus 2022-05-01 18:02   좋아요 2 | URL
사회생물학과 관련된 책이 더 있는데 내용이 길어져서 언급하지 못했어요. 그 책들을 읽고, 사회생물학에 대한 글 한 편 더 써볼 생각이에요. ^^

감은빛 2022-04-21 17: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환경단체 신입활동가였던 시절에 사회생물학 석사과정 대학원생들과 공부모임을 짧게 한 적이 있었어요.
제대로 공부했던 것은 절대 아니고 살짝 맛본 수준이라고도 말하지 못할 정도이지만,
당시에도 이 학문에 대한 거부감이 컸던 것은 기억나요.
잘 정리해주신 이 글 덕분에 더 잘 이해할 수 있어서 좋네요.
고맙습니다! ^^

cyrus 2022-05-01 18:06   좋아요 1 | URL
저 역시 사회생물학의 기초적인 내용만 이해한 상태라서 더 공부해야 해요. ^^

Angela 2022-04-23 00:4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nature vs nurture 에 대한 논의는 항상 있는것같아요~

cyrus 2022-05-01 18:10   좋아요 2 | URL
‘대(vs)’라는 표현을 쓰고 싶지 않아요. ‘본성 대 양육’이라는 표현을 자주 쓰면 사람들은 본성과 양육이 절대로 섞이지 않은 물과 기름 같은 관계로 이해하게 돼요. ^^;;

gmrtkadbs 2022-11-25 00: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와...이렇게 생물학관련 해박하신 독자는 처음 뵈요. 혹시 리처드도킨스의 확장된표현형 리뷰 쓰신거 있으실까요? 제가 이기적 유전자 읽고 리처드 도킨스가 확장된표현형부터 보라고 해서 봤다가 제 레벨이 아니라 된통 혼났거든요ㅜ cyrus님은 어떻게 보셨는지 궁금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