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궤도 - 2024 부커상 수상작
서맨사 하비 지음, 송예슬 옮김 / 서해문집 / 2025년 6월
평점 :
가족과 친구를 떠나 지구 상공 250마일 위를 선회하고 있는 우주정거장에서 반년을 넘게 유영해야 한다면, 당신은 그 기회를 기꺼이 받아들일까? 실제 이런 질문을 이 <궤도>의 작가 서맨사 하비는 받았고 놀랍게도 작가 자신은 단호하게 아니라고 이야기한다. 나도 당연히 아니다. 무엇보다 그 모든 불편을 감수하고 온갖 사고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면서까지 굳이 가고 싶지 않다.
그런 우리들에게 이 이야기는 여섯 우주비행사들을 통해 생생한 우주 유영 간접 체험의 기회를 준다.
아무래도 여러 단계의 각종 선발 과정과 몇 년에 걸친 훈련을 거친 이 여섯 명의 다양한 국적의 우주비행사들은 그런 의미에서 일단 대단히 용감한 사람들이다. 그렇다고 그들이 이 지구상에서 우리가 겪는 슬픔, 기쁨, 집착, 상실을 모른다는 것은 아니다. 어쩌면 더 강렬하게 그런 감정들을 느끼고 인식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그 안에 전부 있다. 이 몇 사람에게도 응축된 인류는 더는 종잡을 수 없이 이질적이고 멀리 떨어져 있는 종이 아니다. 가깝고 붙잡을 수 있는 존재다.
-pp.37
우주 정거장에서의 단 하루는 "창백하고 푸른 점"인 우리 지구의 열여섯 번의 일출과 일몰을 조망하는 일과다. 이 지상에서의 모든 일들은 사소하고 덧없다. 무한과 영원을 이야기하는 것은 아니다. 작가는 미국인, 일본인, 영국인, 이탈리아인, 러시아인 우주 비행사 각자의 시선과 관점을 통과한 지상에서의 개개인의 전사들을 간단하고 건조하게 서술한다. 대단한 서사나 인생 사연 대신 각자가 이 푸른 점에 두고 온 자신의 과거, 현재, 어쩌면 미래까지를 더 넓고 긴 시선으로 줌아웃한다.
이 지구에서 우리가 욕망하고 분투하고 싸우고 집착하는 것들이 얼마나 사소하고 덧없는 것인지, 바깥에서 보면 그 경계조차도 흐릿한 국경을 가지고 서로 죽고 죽이는 일들이 얼마나 어리석은 폭력인지 읽는 이들은 절로 깨닫게 된다.
이곳에서 우리 삶은 더없이 사소하지만 동시에 중대하다고, 되풀이되지만 동시에 유례가 없다고 당장이라도 일어나 말할 것만 같다. 우리 존재의 의미는 크지만 동시의 무의미하다. 인류 위업의 정점에 도달하고 보니 그것이 얼마나 미미한지를 깨닫게 되고, 아무것도 아니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존재가 이를 깨닫는 것이야말로 최고의 위업임을 비로소 이해한다.
-pp.212
이 이야기는 하나의 드라마틱한 소설이라기보다는 욕망과 폭력과 파괴로 들끓는 뜨거운 지구 바깥으로 나가 그 모든 것을 조망하게 되는 하나의 계기적 읽기라고 할 수 있다. 타인이 강요하는 관점, 타인이 설정해 놓은 욕망의 기준에 끌려가는 삶, 폭력과 경계가 모호한 애정에 지칠 때 우리가 기꺼이 우주 정거장으로 가고 싶어하는 자가 되기는 어려우니 우리 대신 그곳에 간 여섯 명의 우주비행사의 깨달음을 작가의 응축된 아름다운 언어로 대신 듣는 빛나는 여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