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친구 L이 한참을 망설이다가 말했다. 누군가를 좋아한다고... 난 너무도 기쁜 마음에 물었다. "정말? 야....잘됐다. 어떤 사람인데?" L은 말했다. "니가 보면 실망할지도 몰라. 정말 착한 것만 빼면 아무 것도 없어. 그 사람 살아가는 모습이 참 보기 좋아." 난 오랜만에 찾아온 친구의 사랑에 들떠서 말했다." 착한게 젤로 중요하지.잘 사겨봐! 뭐가 문제야? 남자 하나쯤 먹여 살릴 수도 있쟎아." 난 호기롭게 말했다. 너무도 오랜만에 마음을 열려는 친구가 시작도 하기 전에 그 사랑을 포기하지 않도록...그런데...그런데...물론 "남자 하나쯤 먹여 살릴 수도 있쟎아."란 말은 "착한게 젤로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한 말이다. 그런데...만약....내가 마음 하나만은 천사표인 빈털털이 남자랑 사랑에 빠진다면, 극단적인 예를 들어, 20살 짜리 어린 남자애랑 사랑에 빠진다면(황당한 상상인가?ㅎㅎ),난 "남자 하나쯤 먹여 살릴 수도 있쟎아. No problem!" 그렇게 말할 수 있을까? <사랑하니까 결혼한다고?>(원제 : Heiraten ist unmoralisch) 의 저자 에스터 빌라 언니는 말했다. "소신 있는 여성은...... 서른이 되기 전에는 결혼하지 않는다.아울러, 남성은 수명도 짧고 또 성적인 능력도 일찍 노쇠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최소한 몇년은 연하의 남자를 선택한다.그리고 혹시 재정상의 문제에 부딪힐 경우 당연히 그 남자를 '부양할 용의'가 있다." 에스터 빌라 언니의 정의에 따를 때,난...."소신 있는 여성"이라고 말할 수 있나? 그러니까....난 남자 하나쯤 먹여살릴,"부양할 용의"가 있는가? 솔직히....자신이 없다. 더 솔직히....그러고 싶지도 않다. 신데렐라가 되고 싶지도 않고, 키다리 아저씨가 어디서 뿅 나타나는 상상을 하지도 않지만, 누군가를 부양하기는 싫다. 그럴 자신도 없고... 남자들은 대개 결혼을 앞두고 자신의 "경제적 능력"을 생각한다. (물론.... "부모의" 경제적 능력을 생각하는 남자들도 많다,)잘났건 못났건, 억대 연봉이건 시간당 아르바이트건, 자신이 가장이 되어 한 여자와 앞으로 태어날 아기를 부양할 수 있는지(부모의 도움을 받아서라도) 생각한다. 여자들은 대개 결혼을 앞두고 자신의 경제적 능력을 생각하는 대신,남자의 경제적 능력을 따지거나 평가한다. 하지만.... 페미니스트라면, 자기 자신이 페미니스트라고 말할 수 있으려면, 남자 하나쯤 "부양할 용의"가 있어야 하지 않나? 하는 생각을 해봤다.유감스럽게도....난 그렇지 못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