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를 품은 미술관 - 예술가들이 바라본 하늘과 천문학 이야기
파스칼 드튀랑 지음, 김희라 옮김 / 미술문화 / 202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4점  ★★★★  A-





우주는 무한한 도화지다. 사람들은 까만 도화지에 알록달록한 상상력을 마음껏 수놓았. 바빌로니아 지역에 살았던 칼데아 사람(Chaldean)은 밤의 화가들이었다. 그들은 누워서 별 하나하나 눈 맞춤했다별빛을 듬뿍 받은 화가들의 눈이 초롱초롱 빛난다. 밤의 화가들은 별을 그러모아서 여러 가지 동물을 그려 넣었다. 별들을 연결해서 만든 동물 그림은 별자리가 되었다. 밤의 이야기꾼들은 별자리에 어울릴만한 신화를 만들었다. 신화를 믿는 사람들은 밤하늘에 위대한 영웅들의 모습을 새겼다.


붓을 든 화가들은 한 폭의 캔버스에 우주를 담으려는 야망을 품었다. 대부분 화가는 우주를 몰랐다. 하지만 잘 모를수록 우주의 모습은 더 잘 그려진다. 화가들은 상상력을 동원해서 자신만의 별과 우주를 만든다. 그림을 그릴 줄 아는 천문학자들은 최대한 정확하게 별과 행성을 그린다. 거대한 도화지였던 우주는 그림이 되었다코스모스(cosmos, 우주)는 예술가들의 상상력을 먹으면서 자라난다.


우주를 품은 미술관: 예술가들이 바라본 하늘과 천문학 이야기멀티버스(multiverse) 화보. 과학에서 말하는 다중우주(多重宇宙)는 실험으로 검증되지 않았다. 저 멀리 어딘가에 있을 또 다른 우주들을 직접 볼 수 없다그러나 고대부터 현대까지 동서양 예술가들이 그린 다중우주는 감상할 수 있다미술관에 코스모스(우주)가 울긋불긋 만개한다책의 저자는 문학 교수다. 저자는 그림 작품들을 설명할 때 우주와 행성을 소재로 한 문학 작품들을 인용한다시인과 소설가들도 우주에서 영감을 찾았다.








예술가들이 상상한 멀티버스는 시대별로 다르다중세인들의 우주는 신의 피조물이다. 태양은 예수의 신성함을, 달은 성모 마리아의 순결함을 상징한다. 성직자와 교부 철학자들은 성경 구절에 부합하는 우주를 좋아했다. 중세 예술가들은 성경을 펼쳐서 우주를 찾았다








실험과 관측을 중시하는 천문학자들이 등장하면서부터 중세 우주론의 한계가 드러났다. 코페르니쿠스(Copernicus)갈릴레이(Galileo Galilei)태양이 우주의 중심이라고 주장했다. 천문학자들이 이용한 망원경은 우주를 좀 더 정확하게 들여다볼 수 있는 카메라 옵스큐라(Camera Obscura, 화가들이 풍경을 그릴 때 사용한 카메라의 조상)









낭만주의자의 우주는 우울하고 암울하다낭만주의 예술가들이 묘사한 석양은 태양의 뜨거운 생기가 점점 사라지고 있는 하늘이다. 희미한 석양은 힘이 없다. 인간처럼 우주 또한 쇠퇴하고 언젠가 죽음을 맞이한다.


거인 같은 망원경과 우주를 홀로 떠도는 인공위성 덕분에 우리는 우주와 행성의 실제 모습을 볼 수 있다. 고대에 살았던 밤의 화가들은 토끼가 살고 있는 달을 상상하면서 그렸다. 과학의 혜택을 받고 사는 현대인들은 스마트폰 카메라로 선명한 달 사진을 찍을 수 있다그래도 예술가들은 여전히 우주를 상상한다. 우주를 정확하게 아는 과학은 우주를 자유롭게 상상하는 예술을 죽이지 못한다








예술로 피어난 코스모스는 영원하다.









<별의 먼지로 만들어진 cyrus가 만든 주석과 정오표>







* 106




 

 아폴리네르시집 알코올(1913)에서 과감하게 목이 잘린 태양이라 표현함으로써 태양의 언어를 혁신했다. [1]



[1] 목이 잘린 태양이라는 시구가 나오는 시는 알코올에서 첫 번째로 실린 변두리. “목이 잘린 태양은 이 시의 마지막 구절이다. (기욤 아폴리네르, 황현산 옮김, 알코올, 열린책들, 2010)






* 145




 

아르튀르 랭보, <태양과 육체>, 시집, 1870 [주2]

 


[주2랭보가 처음으로 발표한 시집지옥에서 보낸 한철이다. 1873년에 발표되었다. 이 시집이 나오기 전에 랭보는 잡지를 통해 시를 발표했다. 1870년에 랭보의 이름이 실린 시집은 나오지 않았다. <태양과 육체>1870년에 쓴 시다.



[우리말로 번역된 <태양과 육체>가 실린 랭보의 시 선집]

 

* 최완길 옮김, 지옥에서 보낸 한철(북피아, 2006, 절판)


* 한대균 옮김, 나의 방랑(문학과지성사, 2014)



폴 베를렌(Paul Verlaine)은 랭보의 연인이다. 우리말로 번역된 베를렌의 시 선집은 그리 많지 않으며 절판되었다. 베를렌의 시 <하얀 달> 전문을 볼 수 있는 번역본 베를렌 시선(윤세홍 옮김, 지만지, 2013)이 유일하다.






* 159~160








 

 에마뉘엘 레비나스는 소련의 우주 비행사 유리 가가린의 놀라운 업적을 칭송했다레비나스는 가가린이 한 시간 만에 인간이 모든 지평선을 넘어 존재했음을 보여준 첫 번째 사람이고 우주에서는 그를 둘러싼 모든 게 하늘이었다고 말했다[주3]



[주3출처는 레비나스(Emmanuel Levinas)의 에세이 Heidegger, Gagarin and Us(하이데거가가린 그리고 우리, 1961)이 글은 <Difficult Freedom: Essays on Judaism>(1963)에 수록되었다.



















[주4]


* 186

토성의 위성 수: 82

 

* 206

목성의 위성 수: 79

 

* 218

천왕성의 위성 수: 27

 

* 220

해왕성의 위성 수: 14



[주4토성, 목성, 천왕성, 해왕성의 위성 수가 정확하지 않다. 토성은 태양계 중 가장 많은 위성을 가진 행성이다. 국제천문연맹(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IAU)이 인정한 토성의 위성 수는 274. 목성의 위성 수는 95, 천왕성의 위성 수는 28, 해왕성의 위성 수는 16.

 

(출처: 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Planetary Satellite Discovery Circumstances’, https://ssd.jpl.nasa.gov/sats/discovery.html)







* 215





에베레스트산 8,844m [주5]


 

 


[주5] 에베레스트산의 높이 측량은 1849년부터 시작되었다. 중국, 인도, 미국이 산의 높이를 측정했는데, 측량법이 달라서 높이가 다르게 나왔다. 1954(또는 1955) 인도가 측정해서 확인된 산의 높이는 해발 8,848m였다. 처음으로 인정된 에베레스트산 높이 값이다


2005년 중국이 측정했을 때는 약간 줄어든 8844.43m가 나왔다. 8,844m는 바위 위에 쌓인 눈을 제외한 상태에서 측정된 높이 값이다


1999년에 미국은 GPS로 측정해서 확인된 산의 높이가 8,850m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미국의 측량 결과는 공식적으로 인정받지 못했고, 일반적으로 알려진 공식 높이는 해발 8,848m


에베레스트산은 지각 변동의 영향을 받으면 높아진다. 2015년 히말라야에 지진이 발생하고 5년이 지나서 중국과 네팔이 공동 측량을 착수했고, 1m 높아진 8,848.86m로 확인되었다.


(출처: <세계 최고봉 에베레스트 실측해 보니 1m가량 높아졌다>, 연합뉴스, 2020128일 입력,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2067863?sid=104)






* 259




 


 혜성의 꼬리와 사람의 머리카락이 비슷하므로 혜성은 여성의 이미지와 강력하게 동일시된다. 예를 들어 프루스트는 꽃다운 소녀들의 행렬이 바다를 향하는 것을 반짝이는 혜성처럼 둑을 따라나아간다고 표현했[주6]

 


[주6] 저자가 인용한 문장은 마르셀 프루스트(Marcel Proust)의 대하소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2꽃핀 소녀들의 그늘에서(1919) 2고장의 이름 : 고장에 나온다프루스트 특유의 길고 늘어진 문장의 첫 부분에 해당한다.



 방파제를 따라 빛나는 혜성처럼 앞으로 나아가던 그 무리 안쪽에서 소녀들은 주위 군중이 자기들과는 다른 인종인 듯, 또 그들의 고통 역시 자기들 마음속에 어떤 유대감도 불러일으킬 수 없다고 판단한 듯 군중을 바라보지 않는 것 같았고, 나사가 풀린 기계처럼 보행자들을 피하는 수고도 할 필요 없다는 듯, 멈춰 선 사람들에게도 길을 비키도록 강요했으며, 기껏해야 그 존재를 인정하지 않고 접촉도 꺼리는 어느 겁 많은 또는 분노한 노신사가 허둥대거나 우스꽝스러운 모습으로 도망이라도 치면, 자기들끼리 서로 바라보며 웃음을 터뜨렸다.

 

(김화영 옮김,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4: 꽃핀 소녀들의 그늘에서 2중에서, 255, 민음사)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돌이 2025-09-08 11: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책도 흥미롭지만 책의 오류를 잡아내는 cyrus님의 수고와 능력이 항상 경이롭습니다.

cyrus 2025-09-10 06:51   좋아요 1 | URL
책을 읽다가 궁금한 내용이나 무언가 의심스러운 내용이 보이면 그냥 지나치지 않는 편이에요. ^^;;

서니데이 2025-09-09 21: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위의 댓글 쓰신 분과 같은 생각입니다.
책을 읽으면서 오타가 있거나 오류가 있을 때도 있지만, 그냥 지나가게 되거든요.^^
지난 월요일에 개기월식이 있어서인지, 우주와 행성의 이야기가 좋네요.
cyrus님 잘 읽었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cyrus 2025-09-10 06:53   좋아요 0 | URL
알고 있어서 오류를 잘 잡아낸다기보다는 모르는 것이 많아서 오류를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요. 오류를 확인하면서 제가 몰랐다거나 잘못 알고 있었던 사실을 알게 되거든요. ^^
 




<읽어서 세계 문학 속으로>(줄여서 세속’) 8월의 책국내 작가가 쓴 추리소설이다. 그리고 베스트셀러. 모임 날은 오늘 저녁이다. 아주 유명한 소설이라서 그런가? 현재까지 모임 참석 인원은 나를 포함한 아홉 명이다. 모임에 처음 오는 분은 한 명이다. 이 정도면 제법 많은 편이다.

















[<읽어서 세계 문학 + 향기의 미스터리 속으로> 2025년 8월의 책]

정해연 홍학의 자리》 (엘릭시르, 2021)




모임 선정 도서는 정해연홍학의 자리. 이 책을 추천한 세속 독자(모임 정회원)’추리소설 마니아 향기이다









지금처럼 무더웠던 작년 7월과 8월에 향기 님은 대구 책방 <일글책>에서 추리 문학 전문 독서 모임 <향기의 토요 미스터리 극장>을 진행했다선정 도서는 에드거 앨런 포(Edgar Allan Poe)의 단편 소설 선집이었다향기 님은 노트 형태로 된 독서 모임 자료를 직접 만들었다포를 매우 좋아한 나는 향기 님이 만든 독서 모임에 빠짐없이 참석했다


















[<향기의 토요 미스터리 극장> 첫 번째 선정 도서, 20247~8]

* [절판] 에드거 앨런 포, 황소연 옮김 에드거 앨런 포 단편선(윌북, 2022)


[<읽어서 세계 문학 속으로> 2024년 7월의 세계 문학]

에도가와 란포김소연 옮김 에도가와 란포》 (손안의 책, 2021)




<향기의 토요 미스터리 극장>이 시작된 7월에 <세속> 두 번째 모임이 진행되었다. 당시 <세속> 7월의 책은 에도가와 란포(江戸川 乱歩)의 단편 선집이었다. 에도가와 란포는 일본 근대 추리 문학을 풍성하게 만든 작가. 에도가와 란포는 에드거 앨런 포의 이름을 따서 만든 필명이다. 그래서 나는 두 번째 독서 모임에 장르문학 마니아들만 아는 란포의 소설을 과감하게 골랐다. 장르문학에 생소한 독자들을 배려하지 못한 선택이었다. 예상했듯이 <세속> 7월 모임에 세 명이 참석했다. , 향기, 정현정. 두 분은 <세속> 첫 번째 모임에 참석한 정회원이다.

















* 미스테리아 편집부 미스테리아 58(엘릭시르, 2025)




나는 추리 문학의 매력을 잘 아는 향기 님을 믿고, 장르문학 마니아가 아닌 독자들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추리소설을 읽어 보기로 했다. 때마침 지난 달에 미스터리 전문 격월간지 《미스테리아》58호가 나왔다. 









2003년부터 2023년까지 출간된 ‘35권의 한국 미스터리 추천작이라는 글이 실려 있다2021년에 출간된 세 권의 추천작 중 한 권이 홍학의 자리.

 



여기서, 잠깐만!




독서 모임 선정 도서를 소개하는 글을 보면서 이상한 점을 느꼈는가? 세계 문학 전문 독서 모임에 국내 작가의 추리소설을 읽는 것이 어색할 수 있다. <세속> 모임의 정체성을 생각한다면 외국 작가의 추리소설을 읽어야 한다.


내가 독서 모임 도서를 선정한 것에 조금이라도 이상하다고 느낀 사람이라면 이렇게 말할 것이다. “국내 작가의 책을 고를 거면 세계 문학 전문이라는 이름은 있으나 마나네요. 차라리 국내 작가의 문학 작품도 읽는 독서 모임을 진행해 보시는 게 어떤가요? 그러면 모임 참석자들을 더 모을 수 있어요.”


독서 모임의 정체성을 바꿀 생각은 추호도 없다. 독서 모임의 정체성을 180도 바꾸지 않고도, 약간의 변화를 줄 수 있다. <세속> 선정 도서가 국내 작가가 쓴 책이라면, 이 책의 분위기가 비슷하거나 같이 읽을 수 있는 외국 작가의 책을 소개하면 된다따라서 세계 문학 전문 독서 모임에 국내 작가의 문학 작품을 선정한 것은 전혀 이상한 일이 아니다.


홍학의 자리는 첫 장면부터 범인이 나온다. 이제 막 이야기에 몰입하기 시작한 독자는 범인을 알고 있다. 형사들은 범인을 찾기 위해 여러 방식으로 수사를 벌인다. 범인을 아는 독자는 형사들이 범인을 어떻게 찾는지 궁금해한다기존의 추리소설들은 범인을 찾는 과정’을 보여주는 이야기로 전개된다. 결말에 범인이 공개된다. 홍학의 자리는 일반적인 추리소설과 다르게 범인의 범행이 어떻게 발각되는지를 보여준다이러한 형식의 추리소설을 도치 서술 추리소설(inverted mystery)’이라고 한다도치(倒置)’는 순서를 바꾼다는 뜻의 단어다.


잠깐 스치듯이 묘사되었지만, 홍학의 자리를 유심히 본 독자라면 법의학에서 다룰 법한 과학 수사를 기억할 것이다. 사람의 걸음걸이로 범인을 가려내는 법보행 분석(273), 물에 빠져 죽은 시체 속에 있는 플랑크톤 분석하기(311).




















* [절판] 리처드 오스틴 프리먼, 원은주 옮김 붉은 엄지손가락 지문(시공사, 2011)


* 리처드 오스틴 프리먼, 이경아 옮김 오시리스의 눈(엘릭시르, 2013)


* 리처드 오스틴 프리먼, 김종휘 옮김 노래하는 백골(동서문화사, 2004)




도치 서술 추리소설을 처음으로 쓴 작가는 리처드 오스틴 프리먼(Richard Austin Freeman)이다. 영국 런던에서 태어난 프리먼의 원래 직업은 의사. 프리먼이 창조한 탐정 손다이크 박사(Dr. Thorndyke)’과학 수사 기법을 이용해 범인을 밝히는 법의학자의 원형이다.


붉은 엄지손가락 지문(The Red Thumb Mark, 1907)은 손다이크 박사가 처음으로 등장한 소설이다. 이 소설에서 손다이크 박사는 지문을 채취하여 감별하는 수사 방식을 도입하는데,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과학 수사 기법이었다. 비공인 기록이지만, 붉은 엄지손가락 지문이 발표되기 2년 전에 프리먼은 손다이크 박사가 나오는 단편 <31, New Inn>를 썼다. 이 단편 소설을 장편으로 개작한 작품이 1912년에 발표된 <The Mystery of 31, New Inn>(31 여인숙의 수수께끼)[주1]이다.


단편집 노래하는 백골(The Singing Bone, 1912)에 실린 오스카 브러트스키 사건(The Case of Oscar Brodski)은 도치 서술 추리소설 형식과 손다이크 박사의 과학 수사 모두 볼 수 있는 작품이다. 프리먼의 새로운 시도는 좋았으나 그때 당시 독자들은 범인을 찾는 추리소설을 선호했다1910년대 영국 추리 문학의 대세는 프리먼과 같은 의사 출신의 작가 아서 코난 도일(Arthur Conan Doyle)이 쓴 셜록 홈스(Sherlock Holmes)’ 시리즈였다.




















* 조지 오웰, 강문순 옮김 책 대 담배(민음사, 2020)

 

* [절판] 조지 오웰, 하윤숙 옮김 모든 예술은 프로파간다다: 조지 오웰 평론집 (이론과실천, 2013)

 

* 조지 오웰, 박경서 옮김 코끼리를 쏘다(실천문학사, 2003)




문학에 조예가 깊은 조지 오웰(George Orwell)은 의외로 추리소설을 좋아했다. 그는 최고 수준(명작)은 아니지만, 그래도 묻히기 아까운 작품들을 소개한 글을 썼는데, 제목은 <good bad book>이다지금까지 우리말로 번역된 제목은 세 개다. 좋으면서 나쁜 책(코끼리를 쏘다》, 실천문학사)’, ‘좋은 대중소설(모든 예술은 프로파간다다)’, ‘훌륭하다고는 할 수 없지만 그런대로 괜찮은 책(책 대 담배)’


오웰은 이 글에서 문학적인 수준은 떨어져도 재미있어서 읽을 만한 작품으로 셜록 홈스 시리즈와 손다이크 박사 시리즈에 속한 프리먼의 소설 오시리스의 눈(The Eye of Osiris, 1911)노래하는 백골을 언급한다.













 








 













* G. K. 체스터턴, 홍희정 옮김 결백(북하우스, 2002, 브라운 신부 전집 1)

 

* G. K. 체스터턴, 봉명화 옮김 지혜(북하우스, 2002, 브라운 신부 전집 2)

 

* G. K. 체스터턴, 장유미 옮김 의심(북하우스, 2002, 브라운 신부 전집 3)

 

* G. K. 체스터턴, 김은정 옮김 비밀(북하우스, 2002, 브라운 신부 전집 4)

 

* G. K. 체스터턴, 이수현 옮김 스캔들(북하우스, 2002, 브라운 신부 전집 5)




‘good bad book’이라는 표현을 처음 쓴 사람은 영국의 추리소설 작가 G. K. 체스터턴(G. K. Chesterton)이다그의 대표작은 가톨릭 성직자가 탐정으로 나오는 브라운 신부(Father Brown)’ 시리즈손다이크 박사가 법의학 탐정이라면 브라운 신부는 범죄심리학 탐정이다. 그는 자신을 범인으로 가정한 뒤에 범인의 감정 및 심리 상태를 이해하려고 한다.


















[<읽어서 세계 문학 속으로> 2025년 9월의 세계 문학]

* 조지 오웰, 이한중 옮김 나는 왜 쓰는가(한겨레출판, 2025, 개정 증보판)





문학적으로 뛰어난 작가들도 오웰의 펜 끝에 달린 비판의 날을 피하지 못한다. 오웰은 동료 작가들의 정치적 성향과 정치적 행보에 문제가 있으면 직설적으로 비판한다. <세속> 9월의 책인 오웰의 에세이 선집 나는 왜 쓰는가민족주의 비망록이라는 글이 실려 있다. 오웰은 이 글에서 자신만의 기준을 내세워 민족주의자들의 유형을 분류하고, 이들의 문제점을 지적한다.


오웰은 체스터턴을 상당히 재능 있는 작가로 치켜세운다. 그러나 현실 이해력과 도덕적 감각이 떨어질 정도로 민족주의적 충심이 너무 큰 게 문제라고 주장한다. 오웰이 꼬집은 체스터턴의 문제점가톨릭이 다른 종교보다 우월하다는 종교적 견해(정치적 가톨릭주의)무솔리니(Benito Mussolini)를 찬양할 정도로 국외의 파시스트적 정세에 무지한 태도.

















조지 오웰정철 · 홍지영 함께 옮김 《손 가는 대로: 조지 오웰 시사 에세이》 (빈서재, 2025)




오웰은 트리뷴(Tribune)이라는 일간지에 칼럼을 게재한 칼럼니스트였다. 칼럼 제목은 ‘As I please(나 좋을 대로, 손 가는 대로)’이다. 오웰은 신문 칼럼에서도 가톨릭의 우월성을 입증하려는 체스터턴을 비판했는데, 또 한편으로는 부자와 권력자를 용감하게 비판한 체스터턴을 두둔하는 입장을 내비쳤다.

















* G. K. 체스터턴, 안현주 옮김 못생긴 것들에 대한 옹호(북스피어, 2015)




체스터턴도 오웰처럼 사회 문제에 관심이 많은 작가였다. 종교뿐만 아니라 문학과 사회를 주제로 한 비평을 많이 썼다. 오웰과 체스터턴이 활동했던 20세기 초 영국에 우생학을 지지한 지식인과 작가들이 상당히 많았다. 체스터턴은 우생학을 비판한 지식인 중 한 사람이다. 그의 에세이 선집 못생긴 것들에 대한 옹호에 수록된 범죄형 머리통』(A Criminal Head, 1910년)은 머리의 형태로 범죄자의 기질을 파악할 수 있다는 우생학을 비판한 글이다.


오웰은 반유대주의를 비판한 글도 여러 편 썼다반유대적인 견해를 드러낸 작가들의 실명을 거론하면서 비판했다프리먼과 관련해서 우리나라에 잘 알려지지 않은 ‘꺼림칙한 진실이 있다. 그의 추리소설에 반영된 반유대주의. 프리먼은 우생학도 지지했는데, 1921년에 <Social Decay and Regeneration>(사회와 피폐와 재건)이라는 우생학 저서[주2]를 썼다. 우리나라에 번역되지 않은 손다이크 박사 시리즈가 많은데이 중 몇몇 작품을 보면 작가의 반유대적인 성향을 확인할 수 있다프리먼의 반유대주의를 비판할 때 거론되는 작품이 <Pontifex, Son and Thorndyke>(1931)이다이 소설에 나오는 악당들은 유대인이다하지만 프리먼의 반유대주의에 대한 반론도 있다프리먼의 후기 작품들은 유대인을 긍정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과연 오웰은 프리먼의 반유대주의를 알고 있었을까? 오웰이라면 좋으면서도 나쁜 작가를 어떻게 평가했을지 궁금하다.





[1] 국내에 번역되지 않은 작품. 노래하는 백골작품 해설(364)에 언급된 제목을 참조했다.

 

[2] 번역되지 않은 책이라서(주제와 내용을 생각하면 절대로 나오면 안 되는 책이다‥…) 정식 제목이 없다노래하는 백골작품 해설(365)을 참조했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스피 2025-08-29 15:3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cyrus님의 미스터리 소설에 대한 놀라운 지식과 식견에 감탄을 금할 길이 없네요.앞으로 좋은 미스터리 작품을 자주 소개해 주시길 바랍니다.

cyrus 2025-09-08 06:40   좋아요 0 | URL
카스피님과 향기님, 그리고 제가 아는 추리소설 마니아 몇몇 분들과 비교하면 저는 초급반입니다 ㅎㅎㅎ 안 읽은 추리소설들이 너무 많아요

꼬마요정 2025-08-29 16:4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오~ 너무 좋은 정보들입니다. 고맙습니다.^^
흥미로운 소설들이 많네요. 정해연은 요즘 인기 많은 작가 중 한 명이죠 ㅎㅎ 에도가와 란포는 기담집 하나 읽었는데 재밌었어요. 명탐정 코난에서 코난이 에도가와 코난인데 에도가와 란포에서 따왔다길래 궁금했거든요. 소년탐정 김전일은 맨날 할아버지의 이름을 걸고라고 외치는데 그 할아버지가 긴다이치 코스케더라구요. 근데 저는 긴다이치 코스케는 그닥 재미가...ㅠㅠ

체스터턴의 브라운 시리즈는 책은 저는 별로 재미가 없더라구요. 근데 BBC에서 드라마로 방영한 건 재밌게 봤어요. 조지 오웰은 정말 대단한 사람이군요. cyrus 님 글 보면서 많은 걸 배워갑니다. 도치 서술 추리소설이 예전부터 있던 방식이군요. 리처드 오스틴 프리먼의 손다이크 박사는 궁금해하지 않는 게 좋겠습니다. 좋으면서도 나쁜 작가... 오묘합니다.

(토요미스터리극장 하니까 왠지 괴담이나 기담 이야기 하셔야 할 것 같아요. 저 옛날에 저 프로그램 진짜 좋아했는데... 토요미스테리극장...)

cyrus 2025-09-08 06:45   좋아요 1 | URL
조지 오웰의 독서 편력이 생각보다 넓더라고요. 최근에 오웰의 에세이들을 다시 읽어보면서 느끼고 있어요.

안 그래도 여름이 완전히 지나가기 전에(이번 달이 여름의 끝자락이죠) 공포 문학 작품들을 읽고 리뷰를 쓰고 싶어요. 눈여겨 본 책들이 있는데 너무 많아서 그저 바라보기만 하고 있어요. ^^;;

stella.K 2025-08-29 20:5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그래. 체스터턴 작품은 좋은데 안 좋은 꼬리표가 있다고 하던데 바로 저거였구만.
그래도 정말 작품은 어떤지 궁금하다.
너는 몇개의 독서 클럽에 가입되어 있냐? 난 얼마 전부터 <그믐>에서 하는 독서토론에 들어가곤 하는데 요즘엔 좀 지치기도하더군. 그거 하니까 읽으려고 쌓아 논 책들을 더 못 읽겠어. ㅎㅎ
그래도 재미는 있어. ㅋㅋ

cyrus 2025-09-08 06:46   좋아요 1 | URL
이번 달에 독서 모임 날이 많아요. 이번 주 토요일과 일요일, 이틀 연속 모임 있어요. ^^;;
 





아폴리네르(Guillaume Apollinaire)1880826에 태어났다내 생일과 같다. 정확히 108년이 되는 날에 내가 태어났다.



















아폴리네르황현산 옮김 알코올》 (열린책들, 2010)

 

[절판] 아폴리네르성귀수 옮김 기욤 아폴리네르 시집내 사랑의 그림자》 (아티초크, 2015)



















* 아폴리네르, 황현산 옮김 사랑받지 못한 사내의 노래(민음사, 2016, 민음사 세계시인선 리뉴얼판 19)

 

* [절판] 아폴리네르, 송재영 옮김 미라보 다리(민음사, 1975, 구 민음사 세계시인선 5)

 



시인의 이름보다 그가 쓴 한 편의 시가 더 유명하다. 영영 돌아오지 않는 사랑이 센강(Seine River)의 물결처럼 흐르는 『미라보 다리』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진 시는 시인의 대표작이 된다. 그러나 유명한 작품만 대표작으로 칭송받는 것은 부당하다작가가 잘 쓴 작품이 대표작으로 인정받아야 한다.


잘 쓴 작품 속에 독자들을 끌어당기는 작가의 문학적 매력이 들어 있다. 잘 쓴 작품을 읽는 독자는 그 속에 살고 있는 작가를 만날 수 있다. 이것이 내가 생각하는 대표작의 조건이다미라보 다리는 아폴리네르의 대표작이 아니다미라보 다리에 가면 시인을 만날 수 없다. ‘밤이 와도 종이 울려도시인은 오지 않는다미라보 다리는 아폴리네르를 유명하게 해준 작품이다. 그러나 한 편의 시는 아폴리네르의 문학적 매력을 보여주지 못한다.


아폴리네르의 문학적 매력은 네 개의 단어로 요약할 수 있다. 자유, 회화, 환상, (). 아폴리네르는 기존 문법과 형식을 파괴한 자유시를 썼다. 구두점을 생략하거나 시 구절로 그림을 만들었다










시 구절을 자유롭게 배열하여 이미지로 형상화한 시상형 시(Calligram)’라고 한다. 아폴리네르의 상형 시는 텍스트와 이미지의 동시성을 보여준다.


아폴리네르는 화가들의 친구였다. 아폴리네르와 친하게 지낸 화가는 파블로 피카소(Pablo Picasso), 조르주 브라크(Georges Braque), 로베르 들로네(Robert Delaunay), 앙리 루소(Henri Rousseau) 등이 있다. 아폴리네르의 과거 연인이었던 마리 로랑생(Marie Laurencin)도 화가다.


















* 아폴리네르, 라울 뒤피 그림, 황현산 옮김 동물 시집(난다, 2023)

 

* 이소영 이것은 라울 뒤피에 관한 이야기(RHK, 2023)




화가들은 아폴리네르의 초상화를 그렸으며, 라울 뒤피(Raoul Dufy)는 아폴리네르의 동물 시집을 위한 목판화를 제작했다.









아폴리네르는 전통을 답습하지 않는 젊은 화가들을 지지했다. 그가 1913년에 쓴 미학적 명상: 입체주의 화가들(Les Peintres Cubistes, Méditations Esthétiques, 오병욱 옮김, 일지사, 1991년)은 입체주의 화가와 작품들을 처음으로 비평한 책이다이 책에서 아폴리네르가 주목한 피카소와 브라크는 20세기 초 현대 예술 운동 중 하나인 입체주의의 핵심 인물이다. 입체주의는 자연을 똑같이 모방하고, 유행을 따르는 미술을 거부한다. 입체주의 화가들은 자연의 형태를 해체하여 기하학적 형상(, 원통, 입방체)으로 다시 만든다.



















* 앙드레 브르통, 황현산 옮김 초현실주의 선언(미메시스, 2012)





아폴리네르의 자유로운 창조 정신은 그가 죽은 뒤에 등장한 초현실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다. 초현실주의를 처음으로 쓴 사람은 아폴리네르다. 초현실주의는 이성으로 파악하고,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현실을 전복한다. 초현실주의자들은 자유와 상상력의 힘을 믿는다.



















* [절판] 아폴리네르, 장혜영 옮김 티레시아스의 유방(연극과인간, 2004)

 

* 로트레아몽, 황현산 옮김 말도로르의 노래(문학동네, 2018)



아폴리네르는 희곡 티레시아스의 유방서문인간은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초현실주의를 실천한다고 썼다. 초현실주의적 창조의 원천은 우연이다. 초현실주의자들은 서로 관련이 없는 물건들이 우연히 만나면 새로운 예술이 완성된다고 생각했다




해부대 위에서의 재봉틀과 우산의 우연한 만남처럼 아름답다.

 


(로트레아몽, 말도로르의 노래》 「여섯 번째 노래중에서, 황현산 옮김, 248)



로트레아몽(Lautréamont)의 산문 시 말도로르의 노래에 나오는 이 문장은 초현실주의를 상징하는 캐치프레이즈다.






 

 











* [절판] 아폴리네르, 성귀수 옮김 이교도 회사(문학수첩, 1999)




이교도 회사초현실주의적 소설집이다.소설가 아폴리네르를 본격적으로 알린 작품이다. 이교도 회사1910년 공쿠르상 최종 후보작에 오를 정도로 대중의 주목을 받았지만, 몇몇 비평가는 아폴리네르의 이야기가 보들레르(Charles Baudelaire), 에드거 앨런 포(Edgar Allan Poe), E. T. A. 호프만(E. T. A. Hoffmann)의 소설과 유사하다고 지적했다.


















* [절판] 아폴리네르, 성귀수 옮김 일만 일천 번의 채찍질(문학수첩, 1999)

 

* D. A. F. 드 사드, 성귀수 옮김 사드 전집 1: 사제와 죽어가는 자의 대화(워크룸프레스, 2014)



무명작가 시절 아폴리네르는 은행에 일하면서 틈틈이 글을 쓴다. 하지만 은행 업무만으로 생계를 유지하기 어려웠다. 아폴리네르는 먹고 살기 위해 신문과 잡지에 실리는 기사를 썼다. 궁핍한 생활은 아폴리네르의 창작 활동을 방해했다. 무명의 매문가 아폴리네르는 익명으로 포르노 소설을 썼다. 그가 쓴 포르노 소설이 일만 일천 번의 채찍질어린 돈주앙의 무용담이다. 그는 또 과거에 출간된 포르노 소설들을 발굴하여 자신이 직접 주석을 붙인 선집을 만들기도 했다. 아폴리네르는 오랫동안 잊힌 포르노 작가를 긍정적으로 재평가했는데, 그 작가가 바로 사드 후작으로 알려진 마르키 드 사드(Marquis de Sade)사드의 작품을 해설한 아폴리네르의 글 신성한 후작사드 전집첫 번째 책 사제와 죽어가는 자의 대화에 수록되어 있다1차 세계 대전에 포병으로 참전한 아폴리네르는 참호에 몸을 숨기면서 시를 썼다. 당시 사귀었던 루(Lou)라는 별칭의 여성에게 보낸 시는 에로틱한 연애 시.






 

 



 










* 황현산 황현산 전위와 고전: 프랑스 상징주의 시 강의(수류산방, 2021)


* 황현산 아폴리네르: 알코올의 시 세계(건국대학교출판부, 1996)




미라보 다리만 아는 독자는 아폴리네르를 서정 시인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너무도 비좁은 수식어 서정 시인은 입체적이면서도 전위적인 아폴리네르의 문학적 매력에 어울리지 않는다. 아폴리네르는 자유’, ‘회화’, ‘환상’, ‘과 관련된 생각의 조각들을 모아 모아서 자신만의 문학을 완성했다. 아폴리네르의 문학은 ‘넉넉한 콜라주(Collage)’.








 

아폴리네르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은 황현산 선생은 현대 전위 작가와 미술가들에 영향을 준 아폴리네르를 이렇게 평가한다. 아폴리네르는 자식이 참 많다.” (황현산 전위와 고전: 프랑스 상징주의 시 강의, 407) 전 세계의 자식들을 키워 낸 아폴리네르의 문학적 매력은 참 많다.

 

아폴리네르의 수많은 자식 중 한 사람인 황현산 선생은 201888일에 별세했다. 내게 8월은 아폴리네르와 황현산을 다시 보게 만드는 달이다.








이제 곧 이제 곧 8월이 가리라.

아폴리네르와 황현산을 다시 보게 되리라.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스피 2025-08-26 22:1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생일 축하드립니다^^

cyrus 2025-08-28 21:01   좋아요 0 | URL
감사합니다. ^^
 
황현산 전위와 고전 : 프랑스 상징주의 시 강의 아주까리 수첩 3
황현산 지음 / 수류산방.중심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4점  ★★★★  A-





고전 도서로 채워진 집은 편안하다. 아주 오래전에 나온 고전은 여러 번 읽어도 여전히 흥미롭다. 그래서 고전은 독자들의 사랑을 듬뿍 받는다. 고전의 매력에 푹 빠진 독자들은 고전의 집을 자주 찾는다. 이곳에 모인 독자들은 고전을 함께 읽으며 각자의 감상과 해석을 마음껏 표현한다.


고전의 집은 튼튼하고 오래 간다. 누구나 살 수 있는 최적의 공간이다. 그러나 너무 튼튼하고 하도 오래돼서 문제다. 고전들만 꽂혀 있는 서재는 밀폐되어 있다. 밀폐된 서재는 생각의 성장을 방해하는 책들의 웅덩이. 이 웅덩이에 갇힌 독자들은 늘 똑같은 생각을 재차 얘기하면서 살아간다. 생각이 늙어버린 독자들은 고전을 비판하는 해석을 지나치게 두려워하거나 경계한다. 고전의 장점을 철저히 보호하려는 독자들은 고전의 집을 지키는 파수꾼이다. 그들은 고전을 파괴하는 책이 고전의 집에 들어오는 것을 막는다. 그리고 집 밖으로 나가지 않아서 생소한 주제나 분야의 책들을 멀리한다겉은 멀쩡하지만, 내부는 케케묵은 고전의 집은 고집(固執)이 센 고집()’이다.


고전을 색다르게 읽는 행위는 전위적이다. 전위적인 읽기는 고전의 명성을 깎아내리는 일이 아니다. 고전을 다른 방식으로 건드리는 일이다전위대처럼 책을 읽는 독자는 기존에 나온 해석을 답습하지 않고, 이를 과감히 비판한다. 


전위와 고전: 프랑스 상징주의 시 강의황현산 선생의 마지막 프랑스 시문학 강의를 채록하여 정리한 책이다. 고인이 된 선생을 대신해서 쓴 서문은 서로 만나지 못하게 만든 전위와 고전의 관계를 다시 생각하게 만든다



 ‘전위는 고전의 반대말이 아니다. 그들은 고전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고전의 껍데기를 뒤집어쓴 가짜를 부정하는 자들이다. 시공을 초월해 고전이 내장해 온 정수에 가 닿지 못하는 예술, 그 숨겨진 것을 찾으려는 모험심을 자극하지 못하는 예술, 그런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의식을 망각시키는 예술을 부정한다


(일러두기를 위한 서문중에서, 11)



쌩쌩한 전위는 얌전한 고전과 잘 어울리는 단어다전위는 쉽게 말하면 다르게 본다는 뜻이다전위적인 읽기는 늙은 고전을 좀 더 젊게 만든다하지만 고전을 깊이 읽지 않으면서 고전이라는 껍데기만 뒤집어쓴 독자와 전문가들은 다르게 보기를 부정적으로 생각한다그들의 흑색선전은 성공했다. 고전 파수꾼은 고전을 잘 아는 전문가 또는 작가로 변신했다. 고전에 대한 독자들의 관심이 높아지자, 출판사들은 초판본 표지를 씌운 고전들을 대량으로 만들었다








황현산 선생의 전공은 기욤 아폴리네르(Guillaume Apollinaire). 아폴리네르는 초현실주의 예술가들에게 영향을 준 시인이다. 황 선생은 보들레르(Charles Baudelaire)를 프랑스 근대 시문학의 시작점으로 설정하여 보들레르 이후의 시문학이 두 개의 계열로 나누어 발전했다고 말한다. 하나는 베를렌(Paul Verlaine)과 랭보(Arthur Rimbaud), 아폴리네르로 이어진 초현실주의 계열이다이 시인들은 개인의 감정을 있는 그대로 표현했으며 논리와 규칙적인 문법에 얽매이지 않는 시구를 썼다반면 주지주의 계열에 속한 말라르메(Stéphane Mallarmé)와 발레리(Paul Valery)이성의 힘을 믿었고, 단어 하나를 쓸 때도 논리적으로 생각하면서 썼다. 그래서 주지주의 계열의 시를 읽으면 마치 철학자가 쓴 시처럼 느껴진다.


초현실주의 계열의 시 문학은 전위, 주지주의 계열의 시 문학은 고전에 가깝다. 물론 주지주의 계열의 시인들 또한 전통적인 시작(詩作)법을 따르지 않고, 새로운 시작법을 시도했으나 초현실주의 계열의 시인들은 주지주의 계열보다 좀 더 과감하게 시를 썼다. 대부분 문학 연구자와 비평가들은 주지주의 시인들을 높이 평가한다. 왜냐하면 시인이 시구에 숨겨 놓은 의미들을 읽을 수 있고, 설령 못 찾는다 하더라도 연구자와 비평가는 그럴듯한 해석을 제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초현실주의 계열의 시는 연구자와 비평가를 당혹스럽게 한다.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 갈피를 잡을 수 없기 때문이다. 여러 번 읽어도 이해할 수 없는 시는 작품성이 떨어진 작품으로 취급받았다. 결국 주지주의 문학을 옹호하는 비평가들이 많아지면, 그들이 소개한 문학에 동조하는 문인들이 등장한다. 황 선생은 우리나라 해방 전후에 국내 영문학자들이 불문학 작품들을 번역하면서부터 주지주의 계열이 문단을 지배했다고 말한다초현실주의 계열 시인들의 작품은 독자들에게 덜 알려진 편이며 항상 난해함이라는 꼬리표가 달려 있다.


고전에 대한 해석은 자주 반복되면 신선하지 않다. 그래도 독자들은 이미 누군가가 주장한 해석에 의존한다. 그들은 고전을 제대로 이해했다고 착각한다. 이렇듯 모든 사람이 인정한 해석도 고전 껍데기로 들어가면 틀릴 수 없는 정답이 된다. 시험 점수를 잘 받기 위해 문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은 틀릴 수 없는 정답을 외운다. 이들은 문학을 자유롭게 감상할 여유가 없다. 학교에서 외운(배운) 문학을 전위적으로 생각하는 힘이 부족하다.


황 선생은 상징주의 시인들의 다양한 매력을 가리는 진부한 고전적인 해석에 문제를 제기한다. 랭보는 전통에 반항한 천재 시인또는 현실과 동떨어진 세계를 묘사한 상징주의 시인으로 알려져 있다. 생전에 랭보 전집 번역 작업을 진행했던 황 선생은 랭보의 문학이 사실주의에 더 가깝다고 주장한다. 랭보는 첫 시집 지옥에서 보낸 한철을 발표한 후에 시 쓰기를 그만두었고, 세계 이곳저곳 떠도는 노동자로 살아간다. 황 선생은 먹고 사는 현실적인 문제에 더 관심 있는 랭보를 주목한다.


고전 작품이 훌륭하다고 해도 전위적으로 읽지 않으면 칙칙한 고전 껍데기를 깨부수지 못한다. 고전 껍데기를 열심히 핥는 독자는 고전의 여러 가지 맛을 모른다고전의 여러 가지 맛을 모르고 살아왔음을 스스로 인식한 독자는 전위적인 독서를 한다. 전위적인 독자는 자신의 머릿속에 남아 있는 고전 껍데기를 버리고, 고전 알맹이를 자유롭게 검토한다. 황 선생은 자신의 트위터에 자유롭게 검토할 지성이 없으면, 제가 잘났다고 뽐내는 일밖에는 다른 일이 불가능하다라는 글을 남겼다.[주1] 고전을 자유롭게 생각할 힘이 없는 독자는 텅텅 빈 고전 껍데기를 요란하게 흔든다. 요란한 독자는 자기가 잘났다고 뽐낸다.






[1] 2015111일 트윗. 황현산, 내가 모르는 것이 참 많다: 2014-2018 황현산의 트위터(난다, 2019), 110.








<전위대처럼 책을 읽는 cyrus의 주석과 정오표>





* 21






보를레르 보들레르






* 28





몰트케(Helmuth von Moltke, 1848~1916) [2]




[2] 몰트케의 생몰 연도가 잘못 적혀 있다. 독일의 군인 헬무트 폰 몰트케는 두 명이다. 보불 전쟁에 승리한 프로이센 군의 참모총장 몰트케는 1800년에 태어나 1891년에 세상을 떠났다. 그와 이름이 같은 조카 헬무트 폰 몰트케(1848~1916)는 제1차 세계 대전의 독일 제국 군을 지휘했다두 몰트케를 구분하기 위해 보불 전쟁에 참전한 몰트케를 () 몰트케,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조카를 () 몰트케로 표기한다.

 





* 195




 

 아무렇게나 말해 버림으로써, 계산하지 않음으로써 의미가 돋보이지 않고 노래만 남게 하는 방식으로 시를 만듦니다.



만듦니다. 만듭니다.






* 225




 

영국의 주지주의로 데이비드 흄, T. S. 엘리엇 등이 있다. [3]




[3] 20세기 영국 문학의 유파인 주지주의는 1차 세계대전 전후에 등장했다흄의 이름이 잘못 적혀 있다. 데이비드 흄(David Hume, 1711~1776)은 영국 경험론을 완성한 스코틀랜드 출신의 철학자. T. S. 엘리엇(T. S. Eliot)과 같은 시기에 활동한 영국의 주지주의자는 T. E. (T. E. Hulme, 1883~1917)이다.






* 398





 


아폴리네르가 태어난 날짜는 826일이다갓 태어난 아폴리네르의 세례명을 지어준 성당의 영세부에 적힌 아폴리네르의 출생 날짜는 825이다.








[참고 문헌]

 

* 아폴리네르, 황현산 옮김, 알코올(열린책들, 2010)

기욤 아폴리네르 연보337

 

* 황현산, 아폴리네르: 알코올의 시 세계(건국대학교출판부, 1996)

 

* 파스칼 피아, 황현산 옮김, 아뽈리네르(열화당, 1983)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스피 2025-08-26 01: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 이런 종류의 책들은 웬만한 내공이 아니면 좀처럼 읽을 엄두가 나지 않을 것 같습니다^^

cyrus 2025-08-26 14:38   좋아요 0 | URL
황현산 선생님도 프랑스어로 쓴 시를 읽고 연구하는데도 읽을 때마다 이해되지 않는 시 구절이 있고, 우리말로 번역하면 난감할 때가 있답니다. 시가 어려울수록 독자는 마음대로 생각하고, 느끼고, 해석할 수 있어요. ^^
 



정해연의 소설 홍학의 자리를 읽다가 옥에 티를 발견했다.
















[<읽어서 세계 문학 + 향기의 미스터리 속으로> 2025년 8월의 책]

* 정해연 홍학의 자리(엘릭시르, 2021)




* 242

 

 포르말린은 소독제, 살균제, 방부제에도 쓰이는 약품이지만 독성이 강해 희석하지 않으면 사용할 수 없다. 최소 30배에서 50배로 희석해 정작 들어가는 포르말린은 1%에 지나지 않는다. 과학실에서 흔히 표본을 만드는 데 쓴다고 알고 있지만 거기에도 다른 물질과 혼합하여 사용되고, 그렇게 만들어진 표본은 관리에 상당한 주의를 요한다. (중략) 포르말린은 1급 발암물질로 분류되어 있을 만큼 독성도 강하다. 그렇게 위험한 물질이기에 아무나 살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전언이다.

 



소설의 화자는 삼인칭 관찰자 시점으로 이야기하는 작가. 작가는 포르말린이 ‘1급 발암물질로 분류되어 있다고 하는데, 여기에 오류가 있다.


















* 사마키 다케오 · 잇시키 겐지 함께 씀, 원지원 옮김, 하루 한 권, 일상 속 화학 물질: 두 얼굴을 가진 우리 생활 속 다양한 물질들(드루, 2023)

 

* 김병민 거의 모든 물질의 화학: 화학 물질 세상에 대한 과학적 통찰(현암사, 2022)




발암물질은 으로 분류하지 않는다. 따라서 ‘1급 발암물질이라는 표현은 잘못되었다. 세계보건기구(WTO) 산하 국제암연구소(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는 실험과 역학 조사를 거쳐서 발암물질을 지정하고, 분류한다.


IARC 지정 발암물질은 5개 군(group)으로 나뉜다. 1, 2A, 2B, 3, 4이다. IARC는 인간을 대상으로 한 연구 및 조사 결과를 토대로 발암물질을 5개 군으로 분류한다


1군 발암물질(Carcinogenic to humans)확실히인체에 암을 일으키는 물질이. 2A(Probably carcinogenic to humans)암을 일으키는 것으로 추정되는물질이다. 2B(Possibly carcinogenic to humans)암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물질이다. 1, 2A, 2B군으로 분류되려면 발암성이 나타난다고 보는 증거가 충분히 있어야 한다


3(Unclassifiable as to carcinogenicity in humans)암을 일으킨다고 확신할 수 없는물질이다. , 발암물질로 보기 어렵다는 의미이다. 4(Probably not carcinogenic to humans)암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확실한증거가 있는 물질이다.








발암물질 분류를 으로 잘못 쓰면 화학물질을 막연히 두려워하는 화학물질 공포증(Chemiphobia)’이 커진다1군 발암물질이라 해서 가장 위험한 물질로 생각하기 쉬운데, 절대로 그렇지 않다. 5개 군은 위험성에 따른 등급을 뜻하지 않는다. IARC는 매번 발암물질이 암을 유발하는 메커니즘을 연구하는데,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5개 군 발암물질 목록을 다시 고친다. 4군 발암물질이 암을 일으키는 이례적인 현상이 발견된다면 반복 실험과 검증을 거쳐야 한다. 암을 유발하는 메커니즘과 관련된 증거가 확보되면 4군 발암물질은 1, 2A, 2B군으로 재조정될 수 있다.


포르말린은 폼알데하이드의 35~40%를 물에 녹여 만든 화학물질이다. 폼알데하이드는 새집증후군을 유발하는 독성 물질로 알려진 IARC 지정 1군 발암물질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스피 2025-08-19 20:5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뭐 일반적인 의미에서 소설가가 cyrus님처럼 화학이나 발암물질에 대해서 잘 알고 있지 않을 겁니다.그러면에서 정해연 작가가 1군 발암물질을 1급 발암물질로 오해할 수도 있지만 적어도 그정도 자료를 조사했다는 점은 칭찬해야 할 것 같습니다.
일본의 경우에도 작가의 성향에 따라서 누구나 다아는 유명 작가들의 경우도 메이지시대를 소설로 쓰면서 연필 한자루로만 메이지시대를 저술한 작가도 있지만 트럭 한대분의 조사 자료를 가지고 메이지시대를 서술한 작가가 있다고 하니까요.

cyrus 2025-08-24 19:57   좋아요 0 | URL
작가가 과학적 수사 기법을 언급한 대목이 흥미로웠어요. 카스피님이 말씀하셨듯이 작가가 소설을 쓰면서 많은 자료를 수집하고 참고했음을 알 수 있었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