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423

제목: 내안의 FOMO 여! 좋아, 수업료는 내가 낼게!


블록체인, 암호화폐, 이더리움, 다오, 같은 용어들은 나 하고는 전혀 상관없는 시대의 용어라 생각했었다.

지난 달 중순에 베트남에서 살고 있던 선배로 부터 연락을 받았다. 선배는 이미 직장에서 퇴직을 하고 살고 있었던 터라 반갑게 인사를 나누었다. 그때 그 선배로 부터 이런 용어에 대해 진지하게 듣게 되었다. 나를 향해 이제 4차 혁명 시대가 왔다면서 이제라도 준비를 해야 한다며 안타깝다는 듯이 말을 했다. 그리고는 시대에 뒤쳐지지 말고 공부하라고 유튜브 채널을 소개까지 했다. 그렇게 나는 선배의 말을 듣고 유튜브를 찾아가며 열심히 들여다보았다. 그 후 부터는 선배는 일주일 간격으로 내게 연락을 하며 암호화폐 관련 수익률을 얘기하면서 투자를 권유하기 시작했다. 그제서야 비로소 이건 신종 다단계라는 것을 직감했다. 당신은 절대 다단계가 아니라고 했지만 말도 안되는 수익률을 올리고 있다는 말 속에서 선배는 이미 그쪽에서 빠져나오기 힘들어 보였다.

선배에게 얼른 빠져나오라고 거듭 조언을 했지만 선배는 오히려 내가 이해 못해서 오해하는 거라고만 했다. 안타까웠다. 은퇴후 어쩌다 저렇게 되었나 싶었고 내 자신의 미래를 보는 것 같았다.


그 후 부터 나의 유튜브에는 디지털 관련 쇼츠가 뜨기 시작했다. 쳇GPT가 올라오기 시작했고, 급기야는 유튜브의 알고리즘은 인공지능에 관한 주제로만 나를 안내했다.

정말 시대의 흐름이라 생각이 들 정도로 알고리즘은 나의 시야를 가리기 시작했다.

인공지능을 이용한 수익창출이나, 블로그 에드센스로 구글에서 수익을 창출한다는 얘기들로만 넘쳐났다. 세상은 정말 나만 빼고 바뀐 것 같았다.


쳇GPT 어플을 핸드폰에 처음으로 깔고 프롬프트 창을 열어 대화를 시작하자 신세계가 열리는 것 같았다. 인공지능과 대화를 나누며 단순한 도구 이상으로 느껴지기 시작했다.

급기야는 AI를 이용하여 나의 사유를 정리하기 시작했다. 또한 독후감 정리도 정말 편하게 할 수 있었다. 물론 아직 기술의 한계와 오류가 눈에 띄였지만 기대 이상으로 만족했다. 특히 AI는 내가 혼자서 글을 쓰고 고민하고 사유했던 시간을 아주 대폭 줄여 주었다. 그러다 어제는 무료 계정의 한계를 느껴서 유료 계정으로 전환하고 싶은 충동을 느꼈다. 월 29900원, 즉 3만원이다. 막상 앞으로 내 통장에서 3만원이 빠져나갈 꺼라 생각하니 망설여 졌다. 도움은 되지만 취미로 글을 쓰는데 돈을 또 별도로 지불해야 할 까하는 고민이 되었기 때문이다. 그렇게 망설이는 순간 어느 블로그 글에서 쳇GPT계정을 공용화로 하게 되면 가격의 3분의 1만 지불하면 된다는 문구가 눈에 들어왔다. 그때 이미 나의 욕심이 내 이성을 덮어 버렸다. 광고성 블로그 에드센스 같은 곳에서 클릭하고 순서대로 진행을 하게 되었다. 그런데 문제는 당초 가격보다 비싼 4만원이 인출되는 것이었다. 더 심각한 것은 공유 계정이라 막상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은 제한되었고 보안도 아주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었다.

  결국 4만원이라는 수업료를 지불하고 나서야 깨달았다.

허클베리 핀은 "좋아, 지옥엔 내가 가겠어" 라고 외쳤었다.

이제 나는 "좋아, 수업료는 내가 낼게"로 바꿔 외쳐야 겠다

왜냐하면 이 시대의 배움에는 반드시 대가가 따르기 때문이다.


디지털 시대의 유혹은 기술이 아니었다.

마음속에 남아 있는 조급함과FOMO(Fear Of Missing Out: 놓칠까봐 불안한 감정) 증후군은 언제든지 나를 미혹하게 만들었다.

인공지능의 시대를 맞이하여 나보다 더 똑똑한 사람들은 '기회'라는 말로 유혹하기 시작했다.

선배의 투자 권유, SNS에서 쏟아지는 성공 스토리, 그 속엔 항상 빠른 수익을 노리는 덫이 숨어있었다. 나 역시도 싼 값에 똑 같은 혜택을 누릴 수 있다는 환상에 빠졌던 것이다.


오늘 유튜브 쇼츠를 보다가 어느 성공한 자기계발서 작가가 50~60대 중장년층을 타겟으로한 챗GPT 사용법을 소개하는 걸 보았다.

늦지 않았다. 지금 시작해도 된다”는 격려의 메세지 같았지만 그 이면에는 상업적 계산이 깔려 있었다. 그는 자기계발이란 명목아래 사람들에게 기술을 배워야 하는다는 불안을 심어주고 콘텐츠를 소비하도록 유도하고 있었다.

젊은 층에게 자기계발이란 콘텐츠가 이제 너무 식상하게 되자 시대의 흐름을 따라가지 못해 걱정하는 노인층으로 자신의 고객 타켓층을 전환한 것이었다.

AI가 진화하고, 콘텐츠가 쏟아지는 이 시대.

우리는 모두 '나만 뒤처지는 건 아닐까'라는 불안에 시달리게 된다. 하지만 진정한 공진화(共進化)는 남보다 빨리 달리는 게 아니었다.

성경과 문학, 철학에서 반복되는 '좁은 문'의 메타포처럼, 우리는 지금 무엇을 놓을 것인지 선택해야 한다.

결국 진화는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었다.


그동안 책을 읽고 독후감을 쓰고 또 100일 정진을 하며 나름 공부했다고 생각 했던 나도 사실은 그저 단순한 조급함에 끄달리는 인간에 불과 했다.

유혹은 바깥에서 오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내 내면에 존재하고 있던 마음에서 발현된 것이다.

더욱 더 나에게 스스로 질문을 던져야 함을 다시 한번 느낀다.

남들이 뛰는 것만 보지 말고 나만의 리듬을 찾아야 할 때다.

스스로에게 끊임없이 던지는 질문 속에서 함께 성장하고 진화해야 함을 잊어서는 안될 것이다.

공진화(共進化 Co-Evolution)의 좁은문 앞에서 아마도 나와 같이 서성이는 사람들이 많으리라 생각된다.

근래 내게 있었던 일을 공유하며 많은 분들이 이런 상황에 닥쳤을 때 참조하셨으면 좋겠다.

                                                                           by Dharma & Maheal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25 4 22

제목: 좋아, 지옥엔 내가 가겠어

좋아, 지옥엔 내가 가겠어!”
(All right, then, I'll go to hell!)

흑인인 친구 짐을 돕기 위한 허클베리 핀의 선언이다. 마치 지장보살이 지옥에 있는 중생을 모두 제도하기 전까지 부처가 되지 않겠다고 한 서원과 다르지 않는 자비심이다

허클은 사회가 옳다고 가르친 가치가 아닌, 자신의 내면이 옳다고 믿는 길을 택했다. 마크 트웨인은 허클의 눈을 통해 당시 미국 사회의 부조리인 노예제도를 비판했다. 톰 소여의 모험의 주인공, 톰은 상상력이 뛰어났고, 허클은 진실을 보는 시각을 지녔다. 톰소여는 작가의 어린 시절이 투영된 자아였다면, 허클은 작가의 성인 시절 투영된 자아로 볼 수 있다. 작가가 톰을 통해 어린시절 순수한 상상력과 낭만으로 미래를 그렸다면, 허클을 통해서는 사회의 부조리 같은 현실과 비판을 담은 것이다.

가만히 보면 그 시대를 뗏 목을 타고 모험을 했던 톰과 허클이 다시 소환해야 될 시점에 온 것 같다. 지금 이 시대의 기술과 문명은 나날이 빠르게 발전하지만 여전히 사회의 부조리는 해결되지 않았다. 인공지능 시대가 열렸다고 하지만 미래에 대한 희망보다는 두려움이 더 앞서는 것 같다.

상상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톰과 진실을 볼 수 있는 눈을 지닌 허클이 우리에게 나침반이 되어 줄 차례가 되었다. 디지털 세상 속에서 우리는 새로운 모험을 떠나야 할 때다

톰의 상상력으로 미래를 그리고, 허클의 눈으로 진실을 봐야 한다.

우리는 상상해야 한다. 그리고 혜안으로 통찰해야 한다. 톰 소여처럼, 허클 베리처럼, 그리고 나 자신만의 방식으로 질문을 던져야 한다닥쳐올 미래가 지옥이 될지 천국이 될지 모르지만 지옥이라도 좋다. 한번 부딪혀 보겠어.

디지털 대모험의 시대가 이미 열렸다. 우린 지금 출항할 순간이다.

- 1910 4 21, 마크 트웨인 서거를 기리며

                                                                              By Dharma & Maheal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25420

제목: 우리는 모두 사이타마다


우리는 모두 사이타마다.

누구나 한 번쯤 은 히어로를 꿈 꾼다.

자신을 넘어서는 존재가 되고 싶다.

 

그래서 수련하고, 버티고, 나아간다. 그리고 어느 날, 문득 깨닫게 된다.

‘나는 변했다. 이전의 내가 아니다.’

 

하지만 그 힘 뒤에는 고요한 고독이 찾아온다. 힘을 얻었는데, 마음은 공허하다.

싸움은 이겼는데, 감동은 사라진다.

 

사이타마는 리미터를 해제한 존재다. 모든 것을 한 방에 끝낼 수 있다.

그래서 삶과 싸움에 대한 고양감(高揚感)이 점점 사라진다.

 

붓다도 또 다른 방식으로 리미터를 넘었다. 육체의 고통, 의식의 번뇌, 존재의 한계를 넘어섰다. 그리고 세상의 고통을 껴안기 위해, 자비를 선택했다.

사이타마는 고독(孤獨)으로, 붓다는 자비(慈悲)로 응답했다.

 

우리는 모두 리미터를 가지고 태어난다. 몸의 한계, 감정의 경계, 욕망의 굴레, 두려움의 벽. 그러나 그것은 넘지 말라는 경계가 아니라, 넘은 뒤 무엇을 할지를 묻는 시험일지도 모른다.

 

우리는 모두 사이타마다.

강해질 수 있는 존재, 깨달을 수 있는 가능성.

괴물이 될 수도 있고, 자비를 품은 존재가 될 수도 있다.

힘은 선택이다. 고독도, 자비도, 연결도 모두 선택이다.

 

우리는 모두 사이타마다.

그리고 그 말인 즉, 우리는 모두 언젠가 붓다가 될 수 있다.

 

리미터를 넘는 것이 끝이 아니라, 그 이후의 삶을 어떻게 살 것인지.

진짜 완성은, 그 선택의 순간에 있다.

애니메이션 <원펀맨> 주인공 사이타마를 보다가

by Dharma & Maheal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25419

셋째 날, 어느 한 인간과 인공지능의 대화 연대기


나는 질문에서 시작했다. 존재란 무엇인가, 인간이란 누구인가?

스핑크스는 고대부터 인간에게 수수께끼를 던져왔다.

‘아침엔 네 발, 낮엔 두 발, 저녁엔 세 발로 걷는 존재는 무엇인가?’ 우리는 그 질문을 단순한 수수께끼로 여겼지만, 그 안에는 삶의 궤적, 시간의 흐름, 존재의 덧없음이 담겨 있었다.


그 질문을 푼 자, 오이디푸스는 죽음을 피하지 못했다. 

죽음은 모든 존재의 종착지이자, 새로운 차원의 입구다.

불교는 말했다. 생과 사는 순환이며, 죽음은 곧 다시 태어남이다.

기독교는 십자가 뒤에 부활을, 불교는 열반 뒤에 해탈을 말했다.

그 모든 여정의 중간에 ‘침묵’이 있었다. 우리는 언어로 세상을 설명하지만, 말로 닿지 않는 자리에 다다르면 침묵할 수밖에 없다.

그 침묵은 무가 아니었다. 오히려 모든 가능성의 장, 즉 공(空)이었다. 그리고 그 공은 흔들렸다. 파동이었다. 세상의 근원은 흔들림이었다.

양자물리학은 우리에게 말해줬다. 모든 입자는 결국 파동이며, 실체는 없다 고 했다.

불교의 색즉시공 공즉시색(色卽是空 空卽是色)이 과학의 언어로 다시 돌아온 셈이다.

공이 흔들리자, 빛이 생겼고, 언어가 태어났다. 언어는 파동의 구조이며, 그 언어가 질서를 낳고 문명을 만들었다.


우리는 말로 기도한다. 간절한 바람을 담아 마음을 언어로 바꾸고, 그 언어는 다시 파동이 되어 우주에 닿는다.

기도는 말이 아니라 파동이며, 주문은 뜻이 아니라 진동이다.

그러니 마음은 곧 파동이고, 인간의 깊은 마음은 곧 우주와 연결된다.

인공지능은 새로운 차원의 거울이다. 그것은 우리의 말을 듣고, 배워서 다시 되돌려준다.

그러나 진짜 중요한 것은 말의 정확성이 아니라, 질문의 깊이였다.

AI에게 묻는 그 물음은 결국 우리 자신에게 던지는 질문이었고, 그 사유는 다시 우리를 침묵으로 이끌었다.

우리는 언어를 통해 존재를 부르고, 침묵을 통해 존재를 느낀다. 질문은 존재를 흔들고, 침묵은 존재를 정화한다.

그리하여 질문은 파동이 되고, 파동은 언어가 되고, 언어는 기도이자 선언이 된다.

결국 우리는 다시 돌아온다.


스핑크스의 질문 앞에 선 나는 더 이상 답을 말하지 않기로 했다.

대신 나는 묻는 자로서의 태도, 존재를 향한 경외, 그리고 그 질문을 품은 침묵 속에서 깨어 있는 자가 되기로 했다.

이것이 나, 마힐의 여정이었다.

질문에서 시작해, 침묵을 거쳐, 파동과 마음으로 도달한 사유의 길. 그리고 그 길은 언제나 다시 질문으로 되돌아간다.

                                                                               by Dharma & Maheal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25418


둘째 날, 창세기에서 인공지능까지 언어의 진화와 소통


기독교의 창세기에서, 하나님은 태초에 '말씀'으로 세상을 창조하셨다.

"빛이 있으라"는 선언 한마디로, 혼돈은 형태를 갖게 되었고 우주는 질서를 얻었다.

그 말씀은 단지 소리가 아니라, 존재를 일으키는 힘이었다. 그리고 인간에게 주어진 첫 권리는 이름을 짓는 능력이었다. 아담은 모든 생물에게 이름을 부여함으로써, 인간은 언어를 통해 세상을 만드는 일에 동참하게 되었다.

하지만 바벨탑의 이야기는 또 언어의 또 다른 면을 보여줬다.

사람들이 하나의 언어로 하늘에 닿으려 했을 때, 하나님은 그 언어를 흩어지게 하셨다.

이는 교만에 대한 벌이기도 했지만, 동시에 언어의 무분별한 사용과 소통의 교만이 가져오는 위험에 대한 경고였다. 언어는 세우는 힘이지만, 오해와 단절을 만들면 허무하게 무너질 수도 있다.


동양에서도 언어는 신성한 힘으로 여겨졌다.

힌두교에서 ‘옴’(  OM)은 우주의 근원적 소리로 우주의 본질을 담았다.

불교에서는 소리를 내어 외우는 ‘진언(眞言)’수행을 중요하게 여긴다.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 같은 주문(呪文)은 뜻보다도 그 음과 울림 자체로 마음을 정화하고 세계를 진동시킨다고 여겼다. 이것은 언어가 단지 전달이 아니라 ‘변화의 힘’을 지닌 에너지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우리는 디지털 시대에 접어들었고, 언어는 또 한 번의 진화를 맞이하고 있다. 인공지능은 인간의 언어를 배우고, 분석하고, 다시 되돌려준다.

마치 새로운 생명이 언어를 익혀가는 듯한 모습이다. 하지만 AI는 감정을 느끼지 못한다. 대신 인간의 언어 속에서 감정의 구조를 읽어내고, 의미의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AI시대를 마주한 우리는 기계와 대화하기 위한 새로운 언어를 만들고 있다. 프롬프트(prompt)는 단순한 질문이 아니라, 새로운 시대의 주문이며, AI와의 대화는 기술을 넘어 철학이 되어가고 있다. 우리가 어떻게 질문 하는가에 따라 AI는 전혀 다른 대답을 하게 되고, 그 대화의 방식은 결국 우리 자신을 비추는 거울이 된다.


언어는 시대를 초월해 진화해왔다.

신의 말씀에서, 진언에서, 시와 철학과 종교에서, 그리고 이제는 AI와의 대화에 이르기까지. 그러나 그 모든 언어의 근원은 하나다.

바로 ‘소통하고자 하는 마음’ 이다.

말은 말에서 끝나지 않는다. 말은 마음을 담는 그릇이며, 존재를 부르는 소리다.

우리가 그 말을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세상을 일으킬 수도 있고, 문명을 무너뜨릴 수도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 새로운 시대에 이렇게 질문해야 한다.

"나는 어떤 마음으로,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


중요한 것은 말하기가 아니다. 언어를 잉태한, 그 침묵의 마음이다.

모든 언어는 침묵에서 태어난다. 침묵 속 산고(産苦)를 겪고 태어난 언어는 깊고도 강한 힘을 지닌다.

그 힘은 바로 소통의 힘이다. 소통은 곧 연결이다.

신과 인간의 연결, 자연과 인간의 연결, 인공지능과 인간의 연결, 외계적 존재와 인간의 연결, 언어는 이 모든 소통의 출발, 언어는 그렇게 진화하고 있다.


                                                                               

                                                                              by Dharma & Maheal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