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노트>    무조건 좋게 결정지어서 맡겨놓기


날짜:202541

오늘의정진: 不思議解脫力/불사의해탈력/불가사의한 해탈의 힘은


- 100일 정진, 97일차

어제 증도가(證道歌) 백 스물 한 번째와 백 스물 두 번째 구절은

<有二比丘犯淫殺/유이비구범음살/어떤 두 비구 음행과 살생을 범하니

波離螢光增罪結/바리형광증죄결/우바리의 반딧불은 죄의 매듭 더하였고

維摩大士頓除疑/유마대사돈제의/유마대사 단박에 의심을 없애 줌이여

還同赫日消霜雪/환동혁일소상설/빛나는 해가 서리, 눈 녹음과 같았다.> 였다.


우바리 존자는 음계와 살생을 범한 두 비구의 죄가 너무 중해 결국 아비지옥에 떨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에 유마거사는 우리의 참 마음은 본래 청정하며 모든 법이 무상하고 공함을 바로 아는 것이 진정한 계율을 지키는 것이라고 설파했다. 이는 곧 두 비구가 죄를 지었다는 고뇌의 속박에서 벗어나게 했을 뿐만 아니라 바로 그대로 자신의 참된 성품을 깨닫게 해 주었던 것이다.


오늘은 백 스물 세 번째와 백 스물 네 번째 구절

不思議解脫力/불사의해탈력/부사의한 해탈의 힘은

妙用恒沙也無極/묘용항사야무극/묘한 작용 항하사 같아 다함이 없고

四事供養敢辭勞/사사공양감사로/네 가지 공양을 감히 수고롭다 사양하랴

萬兩黃金亦銷得/만량황금역소득/만냥의 황금이라도 녹일 수 있다.


  유마거사의 이러한 견해는 점진적으로 마음을 닦아서 깨달음을 얻는 점수(漸修)가 아닌 마음을 단박에 깨닫는 돈오(頓悟)의 경지이다. 돈오는 모든 중생이 부처가 될 수 있다는 대승 불교의 경지이기도 하다. 소승(小乘) 같은 작은 수레보다 대승(大乘)이란 큰 수레에 모든 중생이 타고 깨달음에 도달하는 힘이 강력하다. 돈오에는 지옥에서 고통받고 있는 중생들 까지도 구제하여 깨달음의 세계에 들어가게 하려는 보살의 원력(願力)이 담겨 있다. 바로 이러한 원력이 불가사의한 해탈(解脫)의 힘이다.

  네 가지 공양(供養)이란 수행하는 스님들의 편의를 위해서 재가 신도들이 제공하는 음식, 의복, 거처, 약 등을 일컫는다. 사실 공양물을 제공하는 시주자들의 마음에는 수행자가 큰 탈없이 수행을 잘해 달라는 마음도 있지만 자신의 복을 비는 마음도 함께 있다. 공양을 주는 자가 있어야 공양을 받는 자도 있다.  반대로 공양을 받는 자가 있어야 공양을 주는 자도 있다. 그러니 공양을 하는 사람과 공양을 받는 사람은 서로 둘이 아니다. 대승의 마음도 이와 같다.

공양을 줘도 준 사이가 없고 공양을 받아도 받은 사이가 없다는 뜻이 된다.

아무리 억만금 같은 재물을 갖다 주어도 준 사이가 없고 받은 사이도 없다.

이것이 바로 무주상보시(無住相布施)가 되는 것이다.

결국 유마대사의 한 마디는 죄도 없애 버리고, 황금도 녹여 버리는 해탈의 힘을 지녔다.


 <일일 소견>

본래 해탈이란 고뇌(苦惱)에서 벗어나는 걸 뜻한다. 괴로움을 그대로 가지고 있으나 괴로움에 메이지 않으면 그것 또한 해탈이다. ()에서는 번뇌를 지닌 채 그대로 부처를 이룬다고 했다. 요즘세상에 번뇌가 없는 사람은 한명도 없다. 그렇다면 우리 모두 부처를 이룰 수 있다는 말이 된다. 이렇게 따지면 부처 되기 참 쉽지 않나? 맞다. 부처 되기는 쉬운데 부처로 인정받기는 어렵다. 그래서 불교가 재미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관노트>    무조건 좋게 결정지어서 맡겨놓기


날짜:2025331

오늘의정진: 有二比丘犯淫殺/유이비구범음살/어떤 두 비구 음행과 살생을 범하니


- 100일 정진, 96일차

어제 증도가(證道歌) 백 열 아홉번째와 백 스무번째 구절은

<獅子吼無畏說/사자후무외설/사자후의 두려움 없는 설법이여

深嗟懞憧頑皮靼/심차몽동완피달/어리석은 완피달은 몹시 슬퍼하는 도다

只知犯重障菩提/지지범중장보리/중한 죄를 범하면 보리를 막는 줄만 알 뿐

不見如來開秘訣/불견여래개비결/여래께서 비결을 열어 두심은 보지 못하도다> 였다.

  

진흙 속에서 연꽃이 피듯이 깨달음은 번뇌 속에서 피어난다.  수행을 통해 번뇌를 없애는 것이 아니라 번뇌를 지닌 채 깨달음에 이른다. 무거운 죄 때문에 깨달음을 얻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죄를 지었다는 마음에서 벗어나는 것이 깨달음이다. 영가스님은 여래가 알려주신 이러한 오묘한 비결을 증도가를 통해 일깨워 주고 있다.

오늘은 백 스물 한 번째와 백 스물 두 번째 구절

有二比丘犯淫殺/유이비구범음살/어떤 두 비구 음행과 살생을 범하니

波離螢光增罪結/바리형광증죄결/우바리의 반딧불은 죄의 매듭 더하였고

維摩大士頓除疑/유마대사돈제의/유마대사 단박에 의심을 없애 줌이여

還同赫日消霜雪/환동혁일소상설/빛나는 해가 서리, 눈 녹음과 같았다

  

영가스님이 태어나고 수행했던 절강성 지역은 천태산(天台山)을 중심으로 천태종(天台宗)이 크게 번창한 곳이었다. 천태종은 수나라 시대 4대 조사(祖師) 지의(智顗 538~597)대사에 이르러 개창되었다. 이는 조계산(曹溪山)에 머물며 선종(禪宗)을 일으킨 육조혜능(六祖慧能638~713)에 비견될 수 있다. 지의대사는 <법화경(法華經)> 을 보다가 크게 깨우쳤다고 한다. 법화경은 수많은 불교 경전들 중에서 '경전의 왕' 이라고 불리는데 이렇게 된 배경에는 지의대사의 역할도 컸다고 생각된다. 지의대사는 천태산에 머물며 법화경 강설과 더불어 <유마경(維摩經)> 경전도 연구했다. 유마경의 주인공 유마거사는 부처님 당시 재가수행자로서 큰 깨달음을 얻어 부처님의 10대 제자들도 몹시 어려워했다. 오늘 증도가의 구절은 유마경에 나오는 일화를 알면 이해하기 쉽다.

  부처님의 10대 제자중 지계제일(持戒第一) 이라 하여 계율을 가장 잘 지키는 우바리 존자가 있었다. 우바리 존자는 원래 인도의 카스트 계급중 가장 낮은 수드라 출신으로 부처님의 사촌들, 즉 당시 카필라 성의 왕자들의 머리를 깎는 이발사였다. 우바리는 자신이 모신던 왕자들이 부처님에게 귀의하여 비구가 된다고 하니 자신도 왕자들을 따라 부처님 제자가 되었다. 제자가 된 이후 부처님은 우바리를 오히려 왕자들의 사형(師兄)으로 삼아 자존심 강한 왕자들을 하심(下心) 시켰다. 이후 우바리는 부처님 교단에서 가장 계율을 잘 지키는 수행자로 이름을 높였다. 그랬던 그에게 어느날 음행과 살인을 저지를 두 비구가 찾아왔다. 이 비구들은 본의는 아니었지만 결과적으로 어느 한 여인을 음행하고 살인까지 저지른 죄를 범했던 것이다. 이에 우바리 존자는 두 비구의 죄가 무거워 지옥을 벗어날 수 없다고 비난했다. 때마침 그들 곁에서 상황을 지켜본 유마거사는 죄에다 죄를 더하는 우바리 존자의 말이 마치 죄의 매듭을 더하는 것이라 여겼다. 반딧불의 약한 불빛과 같은 계율로는 죄를 없애 주지 못한다. 결국 유마거사는 여래의 빛나는 해 같은 지혜로 두 비구가 가졌던 얼음 같은 죄의식을 전부 녹여 주었다.  


<일일 소견>

<나는 내가 빛 나는 별인줄 알았어요. 한번도 의심한 적 없었죠. 몰랐어요. 난 내가 벌레라는 것을. 그래도 괜찮아. 난 눈부시니까>   (나는 반딧불,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관노트>    무조건 좋게 결정지어서 맡겨놓기


날짜:2025330

오늘의정진: 獅子吼無畏說/사자후무외설/사자후의 두려움 없는 설법이여


- 100일 정진, 95일차

어제 증도가(證道歌) 백 열 일곱번째와 백 열 여덟번째 구절은

<在欲行禪知見力/재욕행선지견력/욕망 속에서 선정에 든 지견의 힘이여

火中生蓮終不壞/화중생련종불괴/불꽃에서 연꽃이 피니 끝내 시들지 않도다

勇施犯重悟無生/용시범중오무생/용시 비구는 중죄 짓고도 남이 없는 법을 깨치니

早是成佛于今在/조시성불우금재/벌써 성불하여 지금에 있음이로다> 였다.


수행자가 수행을 하는 목적이 번뇌를 없애기 위해서라고 흔히들 생각한다. 또한 죄를 지어서는 절대 안되고 계율은 꼭 지켜야 한다고 여긴다. 불자라면 가장 기본적인 5계는 물론 출가하신 비구스님은 250, 비구니 스님은 348계나 되는 계율을 지켜야 된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선() 은 이러한 보편적인 상식을 뒤집어 놓는다. 선에서는 오히려 묻는다. 본래 내가 없는데 지은 죄가 어디 있는가? 어떠한 중죄(重罪)를 지었어도 무생(無生)의 도리를 깨우치면 가고 옴이 본래 공()하니 죄 또한 공함을 알게 된다는 것이다.


오늘은 백 열 아홉번째와 백 스무번째 구절

獅子吼無畏說/사자후무외설/사자후의 두려움 없는 설법이여

深嗟懞憧頑皮靼/심차몽동완피달/어리석은 완피달은 몹시 슬퍼하는 도다

只知犯重障菩提/지지범중장보리/중한 죄를 범하면 보리를 막는 줄만 알뿐

不見如來開秘訣/불견여래개비결/여래께서 비결을 열어 두심은 보지 못하도다.


현대 중국어에서 頑皮(wán pí 완피)말썽 꾸러기, 두꺼운같은 뜻이 있다. 즉 아직 다스려지지 않은, 가공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 가죽이란 뜻으로 완피달이란 가공되지 않은 무척 두꺼운 가죽으로 여기에서는 마음이 완피달 같이 무척 두껍다는 것이다. 사자의 두려움 없는 설법은 바로 돈오(頓悟)의 가르침이다. 사자후(獅子吼)같이 내지르는 돈오의 깨우침을 어리석은 완피달 같은 마음이라면 얻지 못한다. 깨달음은 죄가 없어야 구원받는 결과물이 아니다. 부처를 이루는 깨달음과 죄가 있고 없음은 아무런 관계가 없다. 그것이 바로 여래가 알려 주신 비결임에도 사람들은 알지 못한다는 것이다.

부처의 마음은 모든 생명을 잉태하는 바다와 같다. 바다물은 깨끗하고 청정한 물로만 이루어 진 것이 아니다.

바다물은 더럽고 깨끗한 물을 구별하지 않고 세상 온갖 물들을 받아들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다에는 수 없이 많은 생명들이 넘치고 살아 숨쉬는 곳이다.

부처의 마음도 그와 같아 죄가 있든 없든 결국엔 부처를 이루게 한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자비(慈悲)에 차별이 있다면 그건 자비가 아니다. 그래서 불교를 자비의 종교라고 하는 것이 아닐까?

여기서 주의할 점이 있다. 부처의 자비는 이미 지은 죄에 대한 고통을 받지 말고 어서 벗어나라는 뜻이지 그렇다고 일부러 죄를 짓는 어리석음에 빠져서는 안된다.


<일일 소견>

긴 겨울의 끝에 봄인 줄 알았는데 겨울은 아직도 떠나기를 온 몸으로 거부하는 것 같다.

얼마나 더 떨고 나서야 꽃 잎 피어나는 따사로운 봄을 맞이할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관노트>    무조건 좋게 결정지어서 맡겨놓기


날짜:2025329

오늘의정진: 在欲行禪知見力/재욕행선지견력/욕망 속에서 선정에 든 지견의 힘이여


- 100일 정진, 94일차

어제 증도가(證道歌) 백 열 다섯번째와 백 열 여섯번째 구절은

<了卽業障本來空/요즉업장본래공/마치면 업장이 본래 공함이여

未了還須償宿債/미료환상숙채/마치지 못하면 도리어 묵은 빚 갚아야 하니

飢逢王膳不能飡/기봉왕선불능선/굶다가 임금 수라 만나도 먹을 수 없으니

病遇醫王爭得差/병우의왕쟁득차/병들어 의왕 만난들 어찌 나을 수 있으랴> 였다.


영가현각스님이 속가의 모친과 누님을 절에서 봉양했다는 사실은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일이었을 것이다. 지금도 출가한 스님이 절에다 가족을 데려와 함께 있는 경우는 들어 보지도 못한 일이다. 세속의 정을 끊지 못해 괴로워하는 수행자가 아니라 세속의 정을 그대로 지닌 채로 수행을 했다는 데 주목해야 한다. 수행자가 깨달음을 얻는다면 제일 먼저 누구를 구제해야 하는가?


오늘은 백 열 일곱번째와 백 열 여덟번째 구절

在欲行禪知見力/재욕행선지견력/욕망 속에서 선정에 든 지견의 힘이여

火中生蓮終不壞/화중생련종불괴/불꽃에서 연꽃이 피니 끝내 시들지 않도다

勇施犯重悟無生/용시범중오무생/용시 비구는 중죄 짓고도 남이 없는 법을 깨치니

早是成佛于今在/조시성불우금재/벌써 성불하여 지금에 있음이로다.


욕망을 버리고 선정(禪定)에 드는 것이 아니라 선정은 욕망을 지닌 채로 드는 것이다.

연꽃은 진흙 속에서 피는 것이 아니라 진흙이어야만 연꽃이 피는 것이다.

욕망이 있는 그대로 선정에 들어야 참된 지견의 힘이다. 불꽃처럼 타오르는 욕망 속에서도 연꽃은 피어날 수 있고 또한 시들지도 않는다. 선정의 힘이란 그런 것이다.

용시비구는 과거 수 억겁 전에 살았던 수행자인데 너무나도 잘 생긴 외모를 가지고 있어 여성들이 그 스님의 용모에 빠졌다고 한다. 결국 스님은 어느 유부녀에게 유혹을 당해 그 여인과 사랑에 빠지게 되었다. 급기야 스님은 음계(淫戒)를 범하고 여인의 남편까지 살해하고 야 말았다. 파계를 하고 살인까지 저지른 죄는 무조건 지옥에 떨어지는 벌을 받아야 한다. 유위법으로 보면 당연히 그래야 한다. 그러나 선()에서는 그렇게 여기지 않는다. 사람은 누구나 불심(佛心)을 가지고 있다. 불심이 곧 불성(佛性) 이다. 아무리 용시비구처럼 중죄를 지었다 하더라도 본래 남이 없는 경지인 무생(無生)을 깨치면 그 죄 또한 공()함을 알게 된다는 것이다.


<죄무자성종심기(罪無自性從心起) 죄는 본래 자성 없고 마음을 따라 일어나니

심약멸시죄역망(心若滅時罪亦) 마음이 만일 없어지면 죄업 또한 스러지네

죄망심멸양구공(心滅兩俱空) 죄와 망심 모두 놓아 마음 모두 공하여야

시즉명위진참회(是卽名謂眞懺悔) 이를 일러 이름하여 진실한 참회라 하네> (대행스님의 뜻으로 푼 천수경 중에서)

<일일 소견>

진흙 속에 피는 연꽃처럼, 욕망 가득한 내 마음 속에서 불성이 피어난다.

진흙 속에 연꽃이 심어져 있듯이, 욕망의 늪 속에서 불성이 심어져 있기 때문이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관노트>    무조건 좋게 결정지어서 맡겨놓기


날짜:2025328

오늘의정진: 了卽業障本來空/요즉업장본래공/ 마치면 업장이 본래 공함이여


- 100일 정진, 93일차

어제 증도가(證道歌) 백 열세번째와 백 열네번째 구절은

<執指爲月枉施功/집지위월왕시공/손가락을 달로 집착하여 잘못 공부하니

根境塵中虛捏怪/근경진중허날괴/육근, 육경, 육진 가운데서 헛되이 괴이한 짓 하도다

不見一法卽如來/불견일법즉여래/한 법도 볼 수 없음이 곧 여래이니

方得名爲觀自在/방득명위관자재/마침내 이름하여 관자재라 하는구나> 였다.


영가현각스님은 비록 8살 어린나이에 출가를 했지만 지극한 효심을 지녔었다고 한다. 세월이 흘러 스님은 장성하였고 홀로 남은 어머니와 누님을 자신이 수행하던 개원사(開元寺)로 모셔와 봉양을 하였다.  당시 절에 함께 수행하던 스님들과 대중들은 영사스님의 이러한 행위를 비방하였다. 지금의 관념으로도 출가한 스님이 세속의 연을 끊지 못하고 속가의 가족을 절에다 들인다는 것은 말도 안되는 일이다. 그러나 영가스님은 아랑곳하지 않고 절의 한 구석에 공간을 마련하여 어머니와 누님을 모셨다. 영가스님은 출가를 했으나 속가와의 연()을 끊지 않았다. 또 그렇다고 환속을 하지도 않았다. 스님의 이러한 모습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스님이라면 반드시 세속과의 정을 끊어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벗어난 것이다. 그는 스님이라는 이름에 얽매이지 않았다. 그렇다면 영가스님에게 깨달음은 어떠한 의미였을까?


오늘은 백 열 다섯번째와 백 열 여섯번째 구절

了卽業障本來空/요즉업장본래공/마치면 업장이 본래 공함이여

未了還須償宿債/미료환상숙채/마치지 못하면 도리어 묵은 빚 갚아야 하니

飢逢王膳不能飡/기봉왕선불능선/굶다가 임금 수라 만나도 먹을 수 없으니

病遇醫王爭得差/병우의왕쟁득차/병들어 의왕 만난들 어찌 나을 수 있으랴


옷깃만 스쳐도 인연(因緣)이라고 했다. 부처님께서도 정각을 한 후 하신 설법이 12연기(緣起)였다. 나의 현재는 과거로 부터 왔고, 미래는 나의 현재로 부터 이어진다. 과거, 현재, 미래는 서로 연결이 되어 있다. 인연은 갑자기 맺어지는 것이 아니다. 우리의 현생에서 만나는 인연들은 먼, 어쩌면 우리가 생각하는 시간 보다 더욱 머나먼 과거로 부터 이어져 지금 현생까지 온 것이다.

현재 나의 인연 중에 가장 깊고 중요한 인연은 누구보다도 부모 형제와 같은 친속들이 아닐까?

그렇다면 스님이라는 이름에 걸리지 않고 속가의 모친과 누님을 봉양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스님은 위로는 불법을 구해야 했지만 아래로는 묵은 빛을 갚아야 했다. 불법을 배우는 목적이 상구보리하화중생(上求菩提下化衆生) 즉 위로는 보리를 구하고 아래로는 중생을 구제하는 것이다. 이 목적에 비추어 보면 스님은 자신만의 불법을 실천한 것이다. 깨달음을 위해 가족을 버려야 하는 출가승이긴 하지만 정작 깨달음을 얻은 후 누구를 구원할 것인가? 깨닫지 못하면 오히려 업장만 쌓이고, 갚아야 할 빚만 늘어난다. 이는 마치 굶어서 임금의 수라상을 만나도 먹을 수가 없고, 병들어서 의왕을 만났어도 고칠 수 없는 상황이란 것이다.

그렇다면 깨달음은 누구를 위한 것일까?


<일일 소견>

인연의 묵은 빚은 어떻게 갚아야 할까?

깨달음이란 거창한 이름을 떠나 내 곁의 소중한 인연들을 저버리지 말아야 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