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연휴는 철학 책에 달라붙어 읽으면서 지내고 있다. 지난달부터 철학 책을 읽기 시작했다. 이달과 그다음 달에 철학 책을 읽는 모임 일정이 잡혔다. 철학 책 모임 전부 주말에 진행된다. 이미 지난주 토요일에 철학 책 독서 모임에 참석했다. 이번 주 일요일 오후에 철학 책 독서 모임이 있다.

[카페 스몰토크 철학 공부 모임 <니체와 레비나스> 지정 도서]
* Bettina Bergo · Jill Stauffer 엮음, <Nietzsche and Levinas: “After the Death of a Certain God”> (Columbia Univ Pr, 2008년)
지난주 토요일에 시작된 철학 책 독서 모임 이름은 ‘니체와 레비나스(Nietzsche and Levinas)’다. 모임 이름은 지정 도서 제목이기도 하다. <니체와 레비나스>는 국내에 번역되지 않은 책이다. 영문으로 된 원서를 읽는 것이 아니라 우리말로 번역된 것을 읽는다. AI 번역기로 한 것이라서 어색한 문장이 있지만, 그래도 읽을 만하다.
* [품절] 프리드리히 니체, 안성찬 · 홍사현 함께 옮김, 《즐거운 학문. 메시나에서의 전원시. 유고(1881년 봄-1882년 여름》 (책세상, 2005년)
* 프리드리히 니체, 박찬국 옮김,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모든 사람을 위한, 그리고 어느 누구를 위한 것도 아닌 책》 (아카넷, 2025년)
[카페 스몰토크 <니체 읽기> 모임 지정 도서 (2022년)]
* 프리드리히 니체, 김인순 옮김,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열린책들, 2015년)
* 프리드리히 니체, 박찬국 옮김, 《안티크리스트》 (아카넷, 2013년)
* [품절] 프리드리히 니체, 백승영 옮김, 《바그너의 경우. 우상의 황혼. 안티크리스트. 이 사람을 보라. 디오니소스 송가. 니체 대 바그너》 (책세상, 2005년)
책의 부제는 ‘어떤 신의 죽음 이후(After the Death of a Certain God)’다. ‘신의 죽음’은 니체 철학의 핵심 용어다. 오랫동안 서양을 지탱해 온 철학의 두 기둥을 무너뜨리는 선언이다. 철학의 두 기둥은 고대 그리스 철학부터 시작된 형이상학적 이상주의와 그리스도교의 초월적인 신을 뜻한다. 철학의 두 기둥을 부여잡은 인간은 관념론을 쫓아다녔고, 자유와 욕망을 부정했다. 그들은 정신적으로 타락한 죄인이 되고 싶지 않다. 철학의 두 기둥 앞에 서서 자신들이 지켜야 할 도덕과 기독교 교리를 반복적으로 새겼다. 니체는 ‘신’을 죽이려고 철학의 두 기둥을 향해 망치를 휘둘렀다. 철학의 두 기둥에 해방된 인간은 자신의 삶을 긍정하며 스스로 삶의 의미를 만들 줄 안다.

<니체와 레비나스> 첫 번째 시간은 레비나스 철학이 등장하기 전의 철학사를 되돌아보는 강연으로 시작했다. 강연자는 과거에 니체와 미셸 푸코(Michel Foucault) 철학 독서 모임을 진행했던 카페 스몰토크의 주인장 ‘김 사장’님이다.
* 플라톤, 강철웅 옮김, 《소크라테스의 변명》 (아카넷, 2020년)
* 플라톤, 이기백 옮김, 《크리톤》 (아카넷, 2020년)
니체가 등장하기 전에 활동한 철학자들은 윤리적으로 살아가는 방식에 관심을 가졌다. 소크라테스(Socrates)는 덕에 관하여 논하는 삶이야말로 인간으로 살아가면서 가장 훌륭한 일이라고 했다(플라톤, 《소크라테스의 변명》 38a). 플라톤(Plato)의 대화편 《크리톤》에 묘사된 소크라테스는 사형 판결을 받은 이후 감옥에서 죽음을 기다린다. 대화 상대자 크리톤(Crito)은 소크라테스에게 탈옥을 권유한다. 그러나 소크라테스는 죽음을 피하려고 자신이 지금까지 지켜온 ‘원칙(logos)’을 내다 버릴 수 없다면서 거부한다(플라톤, 《크리톤》 46b). 원칙을 존중하고, 원칙을 지키면서 살아가는 일은 윤리적인 삶이다.
* 임마누엘 칸트, 백종현 옮김, 《윤리형이상학 정초》 (아카넷, 2018년, 개정 2판)
* 임마누엘 칸트, 김석수 · 김종국 옮김 《도덕형이상학 정초, 실천이성비판》 (한길사, 2019년)
* 임마누엘 칸트, 백종현 옮김, 《실천이성비판》 (아카넷, 2019년, 개정 2판)
그리스도교와 중세 기독교 철학은 금욕적인 윤리를 강조했다. 칸트(Immanuel Kant)가 지향하는 이성적인 인간은 자기 마음속에 있는 도덕 법칙을 지키면서 자율적으로 살아간다. 그 도덕 법칙은 행위의 결과와 목적에 상관없이 무조건 실행해야 하는 ‘정언 명령’이다.
* 에마누엘 레비나스, 강영안 · 강지하 함께 옮김, 《시간과 타자》 (문예출판사, 2024년)
* 에마누엘 레비나스, 김도형 · 문성원 · 손영창 함께 옮김, 《전체성과 무한: 외재성에 대한 에세이》 (그린비, 2018년)
* 에마누엘 레비나스, 서동욱 옮김, 《존재에서 존재자로》 (민음사, 2003년)
지금까지 언급된 철학자들(그리고 강연에 언급되었으나 이 글에서 언급되지 않은 철학자들)은 윤리적 삶을 살아가는 주체(개인)를 이타적 존재로 상정했다. 하지만 레비나스는 이들과 다르게 ‘타자를 위해 살아가는 이타적 존재’가 되자고 제안한다. 왜냐하면 윤리적 주체는 타자를 잘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개인은 자신의 시선과 관점으로 타인을 바라보기 때문에 주체와 타자는 동일한 존재가 된다. 아무리 개인이 이타적이라고 해도 타자의 고통을 헤아리지 못한다.
[카페 스몰토크 <에마뉘엘 레비나스 × 주디스 버틀러 읽기> 세 번째 지정 도서]
[대구 페미니즘 독서 모임 ‘레드스타킹’ 16번째 도서 (2019년)]
* 주디스 버틀러, 윤조원 옮김 《위태로운 삶: 애도의 힘과 폭력》 (필로소픽, 2018)
일요일에 있는 철학 모임도 정확히 일 년 전 카페 스몰토크에서 했던 <레비나스 읽기> 모임의 연장선이다. 그리고 레비나스와 주디스 버틀러(Judith Butler)를 겹쳐 읽는 모임이기도 하다. 일요일 모임은 총 5회로 구성되어 있다. 모임 진행자는 작년 여름에 <레비나스 읽기> 모임을 만든 창현 씨다. 창현 씨는 헤겔(Hegel), 칸트, 하이데거(Martin Heidegger), 라캉(Jacques Lacan) 등의 철학자들을 독학으로 공부했고, 학식이 깊은 분이다. 모임 참석자 중에 철학을 처음으로 공부하기 시작한 분들이 있다. 창현 씨는 이분들을 위해 지정 도서의 핵심 내용을 글로 요약해서 정리한다.
곧 다가오는 첫 번째 모임의 지정 도서는 작년에 완독한 《시간과 타자》다. 두 번째 지정 도서는 《존재에서 존재자로》, 마지막으로 11월과 12월에 진행될 예정인 모임 지정 도서는 주디스 버틀러의 《위태로운 삶》이다. 이 책은 예전에 페미니즘 독서 모임 <레드스타킹> 지정 도서로 만나서 읽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