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토요일에 syo님을 처음으로 만났습니다. 만나기 전부터 약속 장소는 어디가 좋을지 고민했습니다. 저는 밖에 혼자서 돌아다니는 것을 좋아해요. 제가 항상 가는 곳이 어디겠습니까? 서점, 헌책방, 도서관이죠. 커피를 즐기지 않아서 그 흔한 프랜차이즈 커피 전문점이라든가 카페를 가지 않아요. 사람들이 자주 가는 음식점이나 식당에도 관심이 없어요. 무슨 재미로 사냐고요? 내가 좋으면 그만이죠. 물론 이런 아싸(‘아웃싸이더’의 줄임말)스러운 성격이 때때로 저를 곤란하게 만듭니다. 제가 먼저 상대방에게 만나자고 제안하기 전에는 만나서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소를 먼저 골라야 해요. 그래야 첫 만남에 대한 부담감을 덜어낼 수 있어요. 이렇다보니 제가 먼저 상대방에게 선뜻 만나자고 제안하는 성격은 아니에요.

 

그래도 syo님은 책을 좋아하는 분이라서 저와 코드가 어느 정도 맞을 거로 짐작했고, 약속 장소는 카페 ‘스몰토크’로 정했습니다. 대구에 이곳만큼 편안하게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장소가 또 있을까요? 주말에 스몰토크가 문 여는 시간은 오후 2~3시 이후입니다. 카페 개장 시간은 바리스타인 사장님 마음입니다. 그러므로 주말에 스몰토크에 가실 땐 언제 문을 여는지 반드시 전화로 사장님에게 문의하셔야 합니다. 다행히 지난주 토요일은 바리스타 사장님이 출근하는 날이라서 오랜만에 그분이 직접 만든 ‘고오급 커피’를 마실 수 있었습니다. 바리스타 사장님은 커피에 대해서 열정적으로 공부했을 정도로 맛있는 커피를 만드는 일에 관심이 많습니다. 저는 ‘케냐 AA’ 두 잔을 주문했습니다. 사실은 제가 이 커피를 고른 게 아니고요, 바리스타 사장님이 추천해준 커피입니다. ‘바리스타가 자신 있게 추천하는 커피’는 저 같이 커피의 맛을 모르는 사람들도 반하는 ‘맛있는 커피’입니다.

 

이미 syo님의 후기를 보신 분들이 많이 있을 것입니다. syo님은 거의 정확하게 우리의 대화를 잘 정리하셨어요. 정말로 후기 속 대화의 구성 비율은 ‘사실 95 대 과장 5’입니다. 저는 그 후기의 제목을 정한다면 ‘syo가 끄집어낸 cyrus의 속엣말’[주]이라고 하고 싶습니다. 제가 알라딘 서재에 활동하면서 마음속에 품었던 감정과 생각, 그리고 궁금증들이 많았는데요, 온라인 공간에서 털어놓지 못했던 속엣말을 꺼냈습니다. 그 날에 터져 나온 속엣말은 지극히 감정적인데다가 논리적이지 못한 점이 있어요. 그냥 한쪽 귀로 흘러들어도 될 말이죠. 하지만 syo님은 그런 제 말을 유심히 들어주고, 공감해주었습니다. 그래서 시간 가는 줄도 모른 채 수다를 떨었어요.

 

 

 

 

 

 

 

 

 

 

 

 

 

 

 

 

 

 

 

 

 

 

 

 

 

 

 

 

 

 

 

 

 

 

* 나쓰메 소세키 《나쓰메 소세키 단편소설 전집》 (현인, 2018년)

* 나쓰메 소세키 《런던 소식》 (하늘연못, 2010년)

* 나쓰메 소세키 《회상》 (하늘연못, 2010년)

* [품절] 나쓰메 소세키 《몽십야》 (하늘연못, 2004년)

 

 

 

 

 

 

 

 

 

 

 

 

 

 

 

 

* 나쓰메 소세키 《나는 고양이로소이다》 (현암사, 2013년)

* 나쓰메 소세키 《도련님》 (현암사, 2013년)

* 나쓰메 소세키 《산시로》 (현암사, 2014년)

 

 

 

 

 

 

 

 

 

 

 

 

 

 

 

 

 

 

 

* 나쓰메 소세키 《그 후》 (현암사, 2014년)

* 나쓰메 소세키 《그 후》 (민음사, 2003년)

 

 

 

 

syo님은 대화를 나누면서 책에 대한 얘기를 안 했다고 하는데, 분명히 우리는 잠깐이나마 책 이야기를 했습니다. 제가 요즘 읽고 있는 책은 일본 작가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의 소설입니다. 이번 달 ‘우주지감’ 독서모임을 위해서 소세키의 소설을 읽어야 해요. 독서모임 선정 도서는 《그 후》라는 제목의 소설입니다. 소세키의 문학 세계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그 후》 한 권만 읽어선 안 된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소세키의 작품들을 발표 연도순으로 읽으려고 하는데, 한 달 만에 읽기는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소세키의 작품들을 다 찾아 읽어본 syo님에게 조언을 구했어요. “소세키를 (짧은 기간 안에) 제대로 알려면 어느 작품부터 읽으면 좋을까요?”라고 말이죠. syo님은 소세키의 단편소설들, 소세키의 초기 문학 대표작인 《나는 고양이로소이다》《도련님》, 《그 후》 이전에 나온 소설 《산시로》 순으로 읽어보라고 말했습니다. 이렇게 읽으면 소세키가 초기 문학과 중기 문학(《산시로》, 《그 후》)에 드러난 표현 방식의 뚜렷한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다고 합니다.

 

 

 

 

 

 

 

 

 

 

 

 

 

 

 

 

 

 

* 강상중 《강상중과 함께 읽는 나쓰메 소세키》 (AK커뮤니케이션즈, 2016년)

* 강상중 《고민하는 힘》 (사계절, 2009년)

 

 

 

 

 

 

 

 

 

 

 

 

 

 

 

 

* 오쿠이즈미 히카루 《가뿐하게 읽는 나쓰메 소세키》 (현암사, 2016년)

* 도가와 신스케 《나쓰메 소세키 평전》 (AK커뮤니케이션즈, 2018년)

 

 

 

그리고 소세키의 소설과 같이 읽어볼 수 있는 책으로 《강상중과 함께 읽는 나쓰메 소세키》 (AK커뮤니케이션즈)《가뿐하게 읽는 나쓰메 소세키》(현암사)를 추천했습니다. 20대에 읽은 《고민하는 힘》(사계절)에 소세키의 작품을 논한 내용이 있는데, 오랜만에 펼쳐봐야겠습니다. syo님은 ‘피해야 할 책’으로 《나쓰메 소세키 평전》(AK커뮤니케이션즈)을 언급했습니다. syo님의 말에 따르면 평전이 상당히 지루하다네요.

 

스몰토크에서 세 시간 정도 수다를 나누고, 저녁을 먹기 위해 스몰토크 근처에 있는 ‘투찬스’라는 일본 라멘 식당에 갔습니다. ‘투찬스’는 스몰토크와 함께 ‘대구 페미니즘 북클럽’ 레드스타킹과 아주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장소입니다. 여기도 제2의 레드스타킹 아지트입니다. 식당 사장님은 레드스타킹 멤버로 활동했고, 수제 맥주와 다큐멘터리를 좋아하는 분입니다. 사장님은 친동생과 함께 식당을 운영하는데요, 동생은 일본 라멘을 잘 만듭니다. 그래서 ‘투찬스’에 가면 정말 제대로 된 일본 라멘과 수제 맥주를 함께 맛 볼 수 있습니다. 그 날 저녁은 syo님이 샀습니다. 이곳에서 같이 식사를 하게 될 줄은 생각도 못했습니다. 저녁을 다 먹고 난 후 그냥 헤어지는 게 너무 아쉬워서 커피숍에 가서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그렇게 토요일 오후를 즐겁게 보냈습니다. 밤 10시가 돼서야 집에 도착했어요.

 

저랑 취향이 비슷한 분을 만나는 건 신기하면서도 즐거운 일입니다. 저는 책이라는 공통의 관심사를 가진 지인이 많지 않거든요. 작년에 독서모임 활동을 하게 되면서 여러 사람들을 더 많이 알게 됐습니다. 올해는 어떠한 만남이 이루어질지 기대됩니다.

 

 

 

[주] 고종석, 황인숙 《황인숙이 끄집어낸 고종석의 속엣말》 (삼인, 2018)

 

 

 


댓글(37) 먼댓글(0) 좋아요(4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알벨루치 2019-01-08 12:1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마음이 맞는 사람과 하루를 멋지게 보내셨네요 ^^ 알라딘의 화제꺼리입니다 ㅎㅎ

카알벨루치 2019-01-08 13:00   좋아요 0 | URL
그럼 거장하고 거목으로 합시다!

카알벨루치 2019-01-08 13:01   좋아요 0 | URL
근데 난 여기에 댓글을 달았네! 혼자 놀구 있네요 완전 노안왔나 ㅜㅜ

syo 2019-01-08 13:25   좋아요 0 | URL
귀여우심.....

카알벨루치 2019-01-08 14:03   좋아요 0 | URL
혼자 삽질할 뻔했는데 옆에서 거들어줘 다행 ^^역쉬 쇼님 짱!ㅋ

stella.K 2019-01-08 14:22   좋아요 0 | URL
카알님 흥분하셨닷!ㅋㅋㅋㅋ

카알벨루치 2019-01-08 14:27   좋아요 0 | URL
쇼님처럼 스텔라님 왜 이러셩? 댓글 달다 성격 배리긋네 ㅎㅎㅎㅎ글만 읽으셔요 댓글은 읽지마셈 ㅋㅋ

카알벨루치 2019-01-08 14:28   좋아요 0 | URL
그래도 알라딘에서 스텔라님과 쇼님 덕에 제가 앗싸로 아사될 뻔했는데 인싸가 됐음다 감솨함돠! 싸이러스님은 늘 과묵하시지만 박사님덕도 있습니당 ~ㅎㅎ

stella.K 2019-01-08 14:31   좋아요 0 | URL
헉, 저 한 거 없는데요...ㅋ

syo 2019-01-08 14:31   좋아요 0 | URL
귀여우심 * 2 ㅋㅋㅋㅋ

카알벨루치 2019-01-08 14:31   좋아요 1 | URL
명사들이 다 스로 시작하네 시루스, 스텔라, 소 그럼 난? 소칼?스칼? 다행이다 레삭매냐님 왔다 그냥 칼로 가야긋다 ㅋ

카알벨루치 2019-01-08 14:33   좋아요 0 | URL
제가 알라딘 스머프마을(? 주/아갈마님 댓글 참조...참고문헌 기억이...)에 5월에 들어올라고 얼마나 발버둥쳤는디요 다행히 살아남았심다 ㅋㅋㅋ

stella.K 2019-01-08 14:36   좋아요 0 | URL
ㅎㅎ 저도 한 자리 끼워주시는 겁니까?
고맙습니다. 카알님. 역시 이름은 잘 짓고 봐야하나 봐요.ㅎㅎ

syo 2019-01-08 12:2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뭐 신나게 잘 놀았죠. 다음 번에 만나면 그땐 가위바위보로 정하죠, 누가 대화록 쓸지. 녹취 및 메모는 반칙이구요ㅎㅎㅎㅎㅎㅎ

카알벨루치 2019-01-08 12:30   좋아요 0 | URL
대화록 쓴다니 축구클럽총무라 월례회 할때 오리고기먹으면서 폰으로 메모하는게 참참참...그래도 펜은 기억을 능가하는 도구이니 메모는 해야... 알라딘 두 거장이 만나니 역사이고 그 역사는 글로 기록되는게 좋을 듯 합니다요~ㅎㅎ 우리의 삶이 글이네요 정말!

syo 2019-01-08 12:35   좋아요 0 | URL
두 거장이라니요.... syo하고 동급 대접 받으면 사이러스님 진노하십니다. 한 거장과 한 거지로 정리하실까요? ㅎㅎㅎ

cyrus 2019-01-09 18:02   좋아요 0 | URL
To. syo // 우리가 얘기하는 것들은 알라딘 서재에 파문을 일으킬 수 있는 수위 높은 소재라서 후기 쓰면 정작 쓸 게 없을 것 같은데요... ㅎㅎㅎㅎ

To. 카알벨루치 // ‘거장’이라는 단어를 ‘거부’합니다. 저는 올해부터 ‘알라딘의 거북이’가 되려고 해요. 알라딘과 알라디너들을 거북하게 만드는 빌런이 될 겁니다! ^^

카알벨루치 2019-01-09 18:15   좋아요 1 | URL
거장과 거지 사이에 전치사가 빠졌네요 거장 in 거지 ㅋㅋㅋ 한글로는 “거장인거지~”이렇게 번역됨돠

카알벨루치 2019-01-09 18:17   좋아요 0 | URL
애정이 있기 때문에 거북한 소리도 할 수 있는 것이겄죠

2019-01-08 12:29   URL
비밀 댓글입니다.

cyrus 2019-01-09 18:05   좋아요 0 | URL
다음 만남의 장소는 ‘스몰토크’가 좋을 것 같습니다. 스몰토크 바로 건너편에 유료 주차장이 있지만, 이왕이면 운전하지 않고 편하게 오셨으면 해요. ^^

stella.K 2019-01-08 14: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거장과 거목의 랜드마크 찍었네.
누가 아냐? 나중에 두 사람이 만든 길을
투어하겠다는 사람들이 줄을 설지.ㅋㅋ
길 잘 만들어 두라구.
나도 언제고 대구 가면 투어해야지.
여기가 너와 syo님 댕겨간 곳이라고 사진 찍어둘지도 몰라.ㅎㅎ

cyrus 2019-01-09 18:06   좋아요 0 | URL
누가 아재 둘을 만나러 오겠어요? ㅎㅎㅎㅎㅎㅎㅎㅎ
저는 마음이 맞는 소수의 분들과 만나는 것에 만족해요. ^^

stella.K 2019-01-09 18:31   좋아요 0 | URL
ㅎㅎ 오버하는군.
만나러 간다는 게 아니라 그렇게 길을 만들어 놓으면
그대로 따라가 본다는 건디.

근데 또 만나러 갈 수도 있지.
못 만날 건 뭐있냐? 다 알라딘 동창생인데.ㅎㅎ

cyrus 2019-01-09 18:34   좋아요 0 | URL
제가 자주 가는 스몰토크, 투찬스, 알라딘 서점, 헌책방, 대구중앙도서관이 모두 거의 한 구역에 있어요. 특히 중앙도서관은 syo님도 자주 가시는 곳이라서 주말에 운 좋으면 또 만날 수도 있어요. ^^

레삭매냐 2019-01-08 14: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왓 어 데이또~

cyrus 2019-01-09 18:11   좋아요 0 | URL
만나자마자 커피 마시고, 밥 먹고, 커피 마시고, 수다 떨고... 생각해보니 그 날 우리가 했던 일들이 소개팅 이후의 첫 데이트 같군요.. ㅎㅎㅎㅎ

곰곰생각하는발 2019-01-08 14: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알라딘 역대급 만남이군요. 술을 안 마시면서 몇 시간 동안 대화를 나눌 수 있다니...
기적이로군요..

cyrus 2019-01-09 18:13   좋아요 0 | URL
저는 술이 있든, 없든 대화 분위기가 즐거우면 오래 앉아 있을 수 있어요. ^^

목나무 2019-01-08 14: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니아니...그러니까 그날 스몰토크에서 끝난 것이 아니라 식사도 하고 또 커피숍에 가서 즐거운 대화를 나누신거로군요. ㅎㅎㅎ
아~~~~ 커피 마시며 몇 시간씩 대화하는 삼십대 남자들이라니... 그저 사랑스럽기만 합니다. ^^

cyrus 2019-01-09 18:15   좋아요 0 | URL
저와 syo님 나이 앞자리가 ‘2’였다면 설해목님의 호감에 정말 좋아했을 텐데, 30대가 돼서 ‘사랑스럽다’는 소리를 듣게 되니까 부끄럽네요. ^^;;

붕붕툐툐 2019-01-08 15: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syo님의 글을 읽고 cyrus님의 리뷰도 궁금했는데 이렇게 올려 주셨네요~ 두 분 다 너무너무 멋지심다^^

cyrus 2019-01-09 18:17   좋아요 0 | URL
syo님이 거의 정확하게 그 날의 상황들을 기록하셔서 제가 또 후기를 쓰지 않으면 안 될 것 같은 느낌이 들었어요. ^^;;

감은빛 2019-01-08 18: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쇼님의 글을 먼저 읽고 왔어요.
역시 두 분의 개성이 그대로 드러나는 맛있는 글들이네요. ^^

책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만남은 언제나 편안하고 즐겁지요.
또 다른 즐겁고 편안한 만남 이야기 기대할게요.

cyrus 2019-01-09 18:21   좋아요 0 | URL
‘맛있는 글’이라는 표현이 마음에 듭니다. 제가 주로 책 이야기만 쓰다 보니 이런 사람 이야기를 쓰는 일이 거의 없었어요. 그래서 감은빛님이 ‘맛았는 글’이라고 말씀해주시니 정말 기분 좋습니다. ^^

psyche 2019-01-09 14: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 두분이 드디어 만나셨군요! 이제야 만나시다니 앞으로 종종 만나시고 여기에도 후기를 쭉 올려주세요.
지난 여름 한국갔을때 부산출신 남자들이 잘생겼다고 부산을 가자던 딸이 요즘은 대구출신도 잘생겼다며 다음번에는 대구를 가자고하던데 진짜 갈까요? 가서 스몰토크 투찬스 투어하게요 ㅎㅎ

cyrus 2019-01-09 18:25   좋아요 0 | URL
기차 타고 대구역에 내리시면 스몰토크, 투찬스에 갈 수 있어요. 거리가 그렇게 멀지 않아요. 대구역에서 경상감영공원 쪽으로 가면 스몰토크, 투찬스를 발견할 수 있어요. 조금만 더 가면 알라딘 서점, 교보문고도 있어요. 이 구역이 번화가라서 먹고 놀기 좋은 곳이죠. 이곳을 기점으로 버스 타고 김광석 거리도 갈 수 있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