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만 있으면 한국처럼 살기 편한 나라가 없지." 엄마는 무슨 근거에서인지 이렇게 말하곤 한다. 여권 두 권에 더 이상 도장 찍힐 자리가 없이구두 뒤축이 닳도록 이 나라 저 나라를 돌아 다니면서 이 말은 옳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엄마의 말은 이렇게 정정되어야 한다. "돈만 있으면 이 세상 어디를 가든 살기 불편한 나라가 없지."그렇다. 돈만 있으면 이 세상 어디를 가든 살기 불편한 나라가 없다. 돈만 있으면. 문제는 세상의 재화는 한정되어 있고, 돈을 욕망하는 사람은 넘쳐 난다는 것 뿐. 오늘 아침, 게이트가 세 개 밖에 없는 조그마한 HILVERSUM역에서 "세계의 끝과 하드보일드 원더랜드"가 아니라 이 세상 자본주의의 끝에 와 있다는 생각을 했다. 추적추적, 칙칙하게 비가 내리고 있었고, 날이 추운 건지 마음이 허한건지 사람들은 벌써 목도리를 두르고 있었고, 나는 자본주의의 최전선에 무당이 칼 위를 걷듯이 아슬아슬하게 서 있었다. 그 곳에는 "꽃 자동판매기"가 있었다. 서울 곳곳에 널린 무수한 편의점처럼 수많은 자판기를 봐왔다. 커피부터 컵라면, 생리대, 콘돔까지 안 파는 게 없다.그럼에도 불구하고 "꽃 자동판매기"는 처음 봤다. A,B는 10유로, C,D는 6.5유로. A에서 D까지 네 칸으로 나뉘어진 자판기에는 번호를 단 꽃들이 스스로의 아름다움을 뽐내며 회전하고 있었다. 난 촌스럽게 눈을 휘둥그렇게 뜨고 꽃들을 구경했다. 마침 오늘 미팅이 있었던 거래선의 구매 담당자 Sjoerd가 지난주에 아빠가 되었다고 자랑했던 게 생각났다.축하도 할 겸, 자판기의 성능도 시험할 겸 꽃을 사기로 했다. 어지럽게 돌아가는 자판기를 쳐다 보다 빨간 장미 한 다발을 선택했다. 번호는 A21. 오른손 검지로 A21을 꾹꾹 눌렀다. LCD창에 Euro10을 넣으라는 문장이 오락실의 "insert coin to continue" 처럼 툭 튀어 나왔다. 시키는 대로 10유로 한 장을 넣었다. 세탁기 돌아가는 것처럼 비~잉 소리가 나더니 캔 자판기에 콜라가 툭 떨어지듯이 장미꽃 한 다발이 떨어졌다. 냉장 보관한 싱싱한 장미꽃 다발에서 물이 뚝뚝 떨어졌다. 난 수고스럽게 장미 다발을 흔들어 물기를 털었다. 싱싱하다 못해 징그럽기까지 한 장미 다발을 들고 걸으면서 생각했다. 꽃도 자판기로 사다니... 정말 신기한 세상이구나! 동시에 번호표를 달고 홍등가 쇼윈도에 앉아 있는 여자들이 떠올라 어지러웠다. 뭐든 번호로 선택하는 세상! 돈으로도 얻을 수 없는 게 사람의 마음이라지만 정말 그런가.... 유치한 회의가 불쑥 튀어 올랐다. "회장님을 존경해요."라고 당당하게 인터뷰를 하고 늙다리 재벌회장이랑 결혼하는 여자 연예인들의 뇌를 뜯어 본다면, CF 하나 찍어도 몇 억씩 벌면서 애 딸린 이혼남 재벌 2세랑 결혼하는 언뜻 이해되지 않는 연자 연예인들의 뇌를 해부해 본다면,쓰레기 버리듯 자신의 일을 사전 통보 없이 때려 치고 결혼하는 여자 아나운서의 아름답고도 명석한 두뇌를 분석해 본다면, 어떤 결과가 나올까? 자판기에서 산 꽃을 선물하고피자헛에서 시킨 피자를 사이 좋게 나눠 먹고 들어오는 길에 자판기에서 뽑은 콘돔을 착용하고 사랑을 나눌 연인들이 떠올랐다. 아....내가 서 있는 곳은 어디인가? 자판기의 꽃들이 빙빙 돌아가듯 내가 서 있는 세상도 빙빙 돌아가고 있는 것 같다. 허접한 감상을 써 내려가며맥주를 두 잔 마셨더니 머리도 빙빙 돈다. 맴맴. 난 어디에 있는 걸까?When will I accept where I 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