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슬픈 카페의 노래 ㅣ 열림원 이삭줍기 12
카슨 매컬러스 지음, 장영희 옮김 / 열림원 / 2005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랑은 정말.....잔인하다.
사랑은 정말.....아프다.
사랑은 정말.....마음대로 안 된다.
사랑은 정말.....예측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사랑을 하는 것과 사랑을 받는 것은 다르다.
<슬픈 카페의 노래>를 읽고 생각난 사랑에 대한 짧은 생각들이다.
힘든 사랑에 치여서 울고 있는 친구에게 이렇게 말하는 여자를 본 적이 있다.
" 왜 그런 사람을 사랑한 거야?
나라면 그런 사람은 처음부터 사랑하지 않았을 꺼야."
누구를 사랑하는 게 그렇게 마음대로 되나?
무슨 신입사원 뽑는 것처럼 자격조건 따지고, 커트라인 있고, 1~3차 면접에 프리젠테이션, 신체검사까지 해서 사랑할 사람을 선택하는 것도 아닌데....
내게 관심을 보이는 조건 좋은 남자를 덜컥 사랑할 수 있는 것도 아닌데...
그렇게 쉬우면 사랑이란 게 그 많은 소설과 영화와 노래와 신문사회면을 뒤덮는 온갖 치정사건의 주인공이 될 수는 없겠지...
<슬픈 카페의 노래>는 소통되지 않는 사랑을 하는 세 외로운 영혼의 이야기다.
미스 아멜리, 꼽추 라이먼, 마빈 메이시.
이 세 명은 한번도 서로가 서로를 사랑해 본 적이 없다.
한 명은 다른 한 명을 갑갑할 정도로 일방적으로 사랑하고,
그 사랑을 받는 사람은 의기양양해 하고 거만해 하며,
자신을 사랑하는 사람을 미워하고 혐오한다.
자신에게 퍼부어 지는 사랑을 견디지 못한다.
방탄 조끼를 입고 총알을 피하는 것처럼,
쏟아지는 사랑으로부터 자신을 지키려 온갖 난폭한 짓을 한다.
우선 사랑이란 두 사람의 공동 경험이다.그러나 여기서 공동 경험이라 함은 두 사람이 같은 경험을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사랑을 주는 사람과 사랑을 받는 사람이 있지만,두 사람은 완전히 별개의 세계에 속한다.사랑을 받는 사람은 사랑을 주는 사람 마음속에 오랜 시간에 걸쳐 조용히 쌓여 온 사랑을 일깨우는 역할을 하는 것에 불과한 경우가 많다.사랑을 주는 사람들은 모두 본능적으로 이 사실을 알고 있다.그는 자신의 사랑이 고독한 것임을 영혼 깊숙이 느낀다.(p49)
"사랑을 일깨우는 역할"
매력적이라 불리는,
타인의 마음을 흔들어 놓는,
상대방을 반하게 만드는 사람들은
"사랑을 일깨우는 역할"을 한다.
잘생기고 멋진 남자들만 이런 역할을 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이쁘고 섹시한 여자들만 이런 역할을 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젊고 매력적인 사람들만 이런 역할을 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아주 이상하고 기이한 사람도 누군가의 마음에 사랑을 불 지를 수 있다......... 사랑 받는 사람은 배신자일 수도 있고 머리에 기름이 잔뜩 끼거나 고약한 버릇을 갖고 있는 사람일 수도 있다.사랑을 주는 사람도 분명히 이런 사실들을 알고 있지만,이는 그의 사랑이 점점 커져 가는데 추호도 영향을 주지 못한다.........
선한 사람이 폭력적이면서도 천한 사랑을 자극할 수도 있고,의미 없는 말만 지껄이는 미치광이도 누군가의 영혼 속에 부드럽고 순수한 목가를 깨울지도 모른다.그래서 어떤 사랑이든지 그 가치나 질은 오로지 사랑하는 사람 자신만이 결정할 수 있다.(p51)
그렇다.
어떤 사랑이든지 그 선택은 "사랑하는 사람"에게 달려 있다.
"사랑하는 사람"의 사랑이
언제, 누구에 의해서 일깨워 지는지,
어떻게 화학 작용이 일어나는지는
너무도 많은 변수에 의해 달라지기에
누구나 다른 사랑을 한다.
그러기에 다른 사람의 사랑을 보고 비웃는 것은,
신문 사회면의 치정사건을 보고 "싸이코" 또는 "또라이"라고 욕하는 것은
그리 잘하는 일이라고 할 수 없다.
사람들은 대부분 사랑 받는다는 사실을 마음속으로 힘들고 불편하게 느낀다.사랑 받는 사람은 사랑하는 사람을 두려워하고 증오하게 되는데,충분히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
사랑하는 사람은 자기의 연인을 속속들이 파헤쳐 알려고 들기 때문이다.사랑하는 이는 아무리 고통을 수반할지라도 자신이 사랑하는 사람과 가능한 한 모든 관계를 맺기를 갈망한다.
(p51)
마빈 메이시로 부터 일방적인 사랑을 받는 미스 아멜리,
미스 아멜리로 부터 한 없이 헌신적인 사랑을 받는 꼽추 라이먼,
꼽추 라이먼으로 부터 신과 같이 받들어지는 마빈 메이시.
이들은 모두 자신을 사랑하는 사람을 두려워하고 증오한다.
그들의 폭력은 돌고 돈다.
섬뜩하다.그리고...아프다.
아.....
시소를 타는 것처럼
나를 사랑하는 사람을 나도 그만큼만 딱 사랑할 수 있다면....
그러나... 사랑이란 것이 그렇게 공평한 것이 아니기에
여기 저기에 아픔이 떠돌아 다닌다.
사랑하는 사람과 사랑 받는 사람의 각기 다른 세계를
이처럼 처절하게 그려낸 소설은 드물다.
꼽추 라이먼을 하염 없이 기다리는 미스 아멜리의
촛점 없는 시선을 떠올리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