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휴가 4일 째.
원고 세 꼭지를 더 썼다. 60% 달성!
모처럼 조조영화를 봤다. 그 말 많은 <디 워>를.
하도 시끌시끌하기에 궁금해서 봤다.
그래도 뭔가 있으니까 그렇게 인터넷이 <디 워> 얘기로 화끈거리겠지?
조조라 인당 4,000원에 카드 할인까지 받아 둘이서 5,000원에 봤다.
휴...다행이다! 제 값 내고 받으면 돈 아까워서 쓰러질 뻔 했다.
" <디 워>는 영화가 아니라 70년대 청계천에서 마침내 조립에 성공한
미국 토스터기 모방품에 가깝다는 점이다.
'헐리우드적 CG의 발전', '미국 대규모 개봉' 등 영화 개봉 전부터
<디 워>를 옹호하는 근거의 핵심축으로 등장한 이런 담론들과
박정희 시대에 수출 역군에 관한 자화자찬식 뉴스들 사이에는 아무런 차이가 없다."
논란이 된 이송희일 감독의 글을 처음 읽었을 때는 좀 심하다 싶었다.
뭐 이렇게까지야! 하며.
영화를 본 지금 이송희일 감독한테 술이라도 한 잔 사고 싶다.
(농담 아님. 이송희일 감독의 연락처를 아시는 분은 제보를 부탁 드려요!^^)
그 보다 <디 워>를 정확하게 표현할 수는 없다.
<디 워>는 영화라기 보다는
중소업체가 야근을 밥 먹듯이 하며 밤새 공장을 돌려 만든
수출을 위한 "제품" 같다.
심형래는 감독이라기 보다는 사장 같다.
영화 끝나고 사진과 함께 자막으로 보여 주는 심형래의 제작 후기에는
"우리 직원들"이라는 말이 반복된다.
"세계 최고"가 되겠다는 말도 나오는데
제조업체 공장들에 펄럭거리는 현수막에서 보던 말을
극장에서 보니 기분이 묘하다.
도대체 "세계 최고"의 뭐란 말인가?
CG? 매출액? 극장 점유율?
"세계 최고"의 영화란 없다. 있을 수가 없다.
아카데미상을 타도, 칸 그랑프리를 타도
"수상작"일 뿐이지 "세계 최고"는 아니다.
예술에 있어서 "세계 최고"란 존재하지 않는다. 공산품이면 몰라도.
심형래는 충무로가 자기를 인정해 주지 않는다고 항의할 필요가 없다.
충무로 대신 무역업계에서 인정과 지지를 받으면 된다.
요즘 수출 업체들은 쉬지 않고 오르는 해상운임 때문에 난리다.
물류비도 안 들고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영화, 제발 많이 수출하시라!
수출이 생업인 동종업계 종사자로서 심형래 사장님을 존경하고 지지한다.
허리우드 블록버스터들도 모두 결말이 뻔한 단순한 스토리라인을 갖고 있다.
하지만 인물들의 "갈등"과 "감정"이 입체적으로 표현된다.
<디 워>도 여의주 때문에 사랑하는 여자를 이무기한테 바쳐야 하는
남자의 갈등을 입체적으로 표현했다면
그토록 영화가 밋밋하지는 않았을 거다.
사랑하는 연인이 이무기한테 쫓겨 절벽에서 떨어져 죽고,
500년 후 환생해서도 사랑을 이루지 못하고 그 놈의 여의주 때문에
여자가 죽는다면 슬퍼야 되는 게 정상 아닌가?
충분히 감정을 우려낼 수 있는 스토리를 살려 내지 못했다.
이렇게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디 워>는 CG만 보라고! 정말 볼만한 CG라고!
그런데...영화를 보면서 영화 음악만 떼어 내서 들을 수 없는 것처럼
어떻게 CG만 보나?
어렸을 때부터 심형래를 좋아했는데,
고3때 심형래가 칙칙이로 나오는 <내일은 챔피언>을 보면서
넘 웃겨서 울기도 했는데(녹화 해 놓고 봤다),
무모한 도전을 하는 것 같은 심형래가 돈키호테처럼 멋져 보였는데
아....넘 실망이 크다.
다른 건 몰라도 수출, 세계최고 이런 말은 안 했으면 좋겠다.
스스로를 감독으로 생각한다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