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 책을 사게 되면 어이없는 실수를 저지르기도 한다. 예전에 샀던 책이 책장에 꽂힌 줄 모르고, 그와 비슷한 책을 산 적이 있다. 그리고 예전에 산 책의 표지만 다르고, 내용이 비슷한 것인 줄 모르고 사버리는 일도 있었다. 읽지도 않고, 책을 사들이는 습관 때문에 이런 실수를 한다. 루 살로메의 책이 구하기 어려워서 고민할 필요 없이 사들였는데 신중하지 못한 선택이었다.
루 안드레아스 살로메는 니체, 릴케, 프로이트 등 당대 천재들의 운명을 관통한 전설적인 여인이다. 그녀는 이들과 차례대로 만나면서 학문적으로도 깊은 영향을 주고받았다. 루가 21세 때 니체를 만났다. 그때 니체의 나이는 마흔을 바라보고 있었다. 니체는 그녀에게 두 번이나 청혼했다가 거절당한다. 다행인지 불행인지 당시 루의 연인이었던 파울 레와 니체는 셋이 이상한 동거를 하게 된다. 루는 지성을 나누는 관계와 육체를 나누는 관계를 확실히 구분 지었다. 기묘한 삼각 동거는 루의 결혼으로 끝난다. 루는 언어학자 안드레아스와 결혼한다. 레는 실연의 아픔을 못 이겨 투신자살로 생을 마감한다. 니체도 이후 약 10년간 정신착란 상태로 삶을 마감한다.
1885년, 루는 자신의 첫 소설 <Im Kampf um Gott>를 발표하여 비평가들로부터 극찬을 받았다. 원제를 직역하면 ‘신을 얻기 위한 투쟁’으로 읽어야 하지만, 국내에서는 ‘선택된 자들의 소망’, ‘우리는 어디에서 어디로 가는가’로 소개되었다. 신앙(종교)과 이성 사이에서 갈등하는 주인공이 성장하면서 깨닫는 과정을 그린 이야기다.
루가 레와 니체를 만나고 있었을 때 이 소설을 쓰기 시작했는데, 니체의 인상이 느껴지는 문구가 많이 보인다. 그래서 니체가 루의 소설에 영향을 받아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썼다고 주장하는 연구가도 있다. 니체는 진리, 선, 신들이 이 세계를 부정하기 위해 고안해낸 창작물에 불과하다고 말한다. 그는 차라투스트라를 내세워서 선과 악 사이에서 끊임없이 투쟁하는 인간의 자유 의지를 추구했다. 루의 소설에 나오는 주인공 역시 기독교의 신을 부정하고 스스로 치열하게 투쟁하는 영혼이다. 루는 소설 중간에 삽입된 시 『고뇌에 부친다』에서 자기극복의 고통과 기쁨을 통해 자유정신과 육체의 통일을 이루는 인간을 바람직한 미래의 인간상으로 제시한다.
너는 정신의 힘을 시험하기 위해 찾아오는 것이다.
너와의 투쟁으로 가장 위대한 사람들은 더 위대해진다.
그것은 목표를 향한 외줄기 길의 투쟁인 것이다.
그런 것이기에 우리에게 운명과 기쁨으로서
오직 하나뿐인 그 고뇌, 참된 위대함이 주어진다면
그때면 우리들은 정면으로 그것과 투쟁할 뿐.
그렇다, 생사를 걸고 그것과 투쟁할 따름이다.
(『고뇌에 부친다』 중에서, 《우리는 어디에서 어디로 가는가》 114~115쪽)
《선택된 자들의 소망》은 <Im Kampf um Gott>와 니체, 릴케, 프로이트에 대한 그녀의 글, 그리고 아포리즘을 엮은 책이다. 아마도 이 책에 있는 글 일부가 H.F. 페터즈의 《나의 누이여 나의 신부여》에서 참고한 것으로 보인다. 산호출판사에서 나온 《선택된 자들의 소망》의 초판 출간 연도는 1993년이며, 2000년에 투영출판사에서 재출간되었다. 두 권 다 비슷한 번역본이다. 2년 전 헌책방에서 《선택된 자들의 소망》을 샀고, 최근에 알라딘 중고매장에서 《우리는 어디에서 어디로 가는가》를 샀는데, 《선택된 자들의 소망》에 <Im Kampf um Gott>가 수록된 줄 몰랐다. 《선택된 자들의 소망》을 조금이라도 읽었다면 사지 않아도 될 책을 사지 않았다.
책만 보는 사람은 바보 소리 들으면 할 말이 없다. 15세기 독일의 법학자 제바스티안 브란트는 제대로 읽지도 않을 거면서 책을 사기만 하는 사람들을 ‘바보 배’ 첫 번째 탑승자로 선정했다.
제바스티안 브란트의 <Das Narrenschiff>(바보들의 배)는 중세 말기의 무질서와 혼란을 풍자한 책이다. 구텐베르크의 금속활자 고안에 힘입어 저자가 사망할 때까지 17판이 나올 정도로 인기를 누렸다. 배에 올라탄 바보들의 유형이 무려 100가지 넘는다. 그 중 첫 번째 등장하는 바보가 책만 읽는 바보다.
책은 항상 나의 믿음직한 핑계요,
책 속에 파묻히면 근심걱정은 끝일세.
가갸거겨도 모르는 처지지만
딴에 책을 무척 숭상한다네.
파리가 얼씬대면 얼른 쫓아내지.
사람들이 학문을 논할 때면,
“나도 집에 책 많다!”고 자랑하네.
책 속에 파묻혀서 산다니,
생각만 해도 마음이 흡족한걸.
(《바보 배》 22~23쪽)
바보들 모두 같은 복장을 하고 있다. 당나귀처럼 뾰족한 귀 양쪽 끝에 방울이 달린 광대의 모습이다. 과거에는 광대가 바보스럽고 어리석은 인물을 상징하는 존재였다. 바보는 똑똑한 사람의 뒤집힌 거울이다. 똑똑한 사람들은 바보들의 어리석은 행동을 보며 웃음을 터뜨리지만, 자신에게도 바보 같은 모습이 있음을 알아차리지 못한다. <Das Narrenschiff>의 삽화로 수록된 알브레히트 뒤러의 판화는 누구든 스스로 ‘바보’임을 알아차리게 하는 거울 같은 기능을 한다.
그래, 내가 바보라는 걸 안다. 그런데 책 읽는 것이 정말 재미있다. 누가 뭐래도 독서의 매력은 재미다. ‘간서치’ 이덕무는 책을 읽다가 막히는 부분의 의미를 깨닫는 순간, 혼자 바보처럼 웃었다고 한다. 책을 잘못 산 사실을 알게 되면 바보처럼 웃어본다.
나는 바보입니다. 나는 행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