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시대의 사랑 문학과지성 시인선 16
최승자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8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랑’이란 단어는 식상하다. 브라운관에서, 스마트폰 화면까지 사랑은 넘쳐난다. 정치인은 국민을 사랑하고, TV는 시청자를 사랑하고, 기업은 소비자를 사랑한다고 말한다. 너무 흔해서 그런지 그들이 말하는 ‘사랑’은 속이 빈껍데기처럼 느껴진다. 사랑이 깊으면 외로움도 깊어서일까. 그런데도 모두 부르르 떤다. 외로움과 이별에 치를 떤다. 저리도 많은 사랑이 넘쳐나는데 모두가 외롭다고 투정부린다.

 

 

 

사랑은 언제나

벼락처럼 왔다가

정전처럼 끊어지고

갑작스런 배고픔으로

찾아오는 이별.

 

(‘여자들과 사내들’ 중에서, 18쪽)

 

 

 

최승자 시인의 《이 시대의 사랑》은 그냥 읽기만 해도 가슴 찡한 시집이다. 사랑은, 영구불변의 그 무엇이 아니라 벼락처럼 왔다가 정전처럼 가는 변덕스러운 그 무엇이라고 시인은 간파한다. 영원한 사랑이라는 말, 그것은 거짓말과 같다. 영원한 사랑은 언제나 낭만적 수식으로 가득하다. 만남은 이별을 잉태하였고, 그 날은 갑작스럽게 찾아온다. 사랑으로 인해서 맛보았던 모든 즐거움과 행복감은 그 사랑이 허물어지는 시간부터 갈등과 번민으로 변한다.

 

 

허연 외로움의 뇌수 흘리며

잊으려고 잊으려고 여자들은

바람을 향해 돌아서지만,

땅거미질 무렵

길고긴 울음 끝에

공복의 술 몇 잔,

불현듯 낄낄거리며 떠오르는 사람,

그리움의 아수라장.

흐르는 별 아래

이 도회의 더러운 지붕 위에서,

여자들과 사내들은

서로의 무덤을 베고 누워

내일이면 후줄근해질 과거를

열심히 빨아 널고 있습니다.

 

(‘여자들과 사내들’ 중에서, 19쪽)

 

 

 

사랑의 흔적은 꽤 오랫동안 가슴에 남는다. 세월이 흘러도 몸속에는 불꽃의 뜨거움이 식지 않는다. 사랑을 가슴속에 묻어두고 언제 다시 만나자는 이별의 말을 내던졌지만, 지붕 위의 먼 허공을 누워서 바라보는 여자들과 사내들의 눈동자는 촉촉이 젖어간다. 차가운 이성은 자꾸 잃으라고 말하지만, 마음의 공허는 채워지지 않고 아득한 과거에 대한 그리움이 일어난다. 울컥울컥 눈물짓게 하는 그리움이 솟아오른다. 언젠가는 다시 만날 수 있겠지. 자신의 마음속에 가득 채워 넣을 수 없는 사랑에 대한 가여운 응시는 과거를 더 후줄근한 것으로 만든다.

 

 

 

하늘과 땅 사이로

빗줄기는 슬픔의 악보를 옮긴다

외로이 울고 있는 커피잔

무위를 마시고 있는 꽃 두 송이

누가 내 머리 속에서 오래 멈춰 있던

현을 고르고 있다.

 

가만히 비집고 들어갈 수 있을까.

흙 위에 괴는 빗물처럼

다시 네 속으로 스며들 수 있을까.

투명한 유리벽 너머로

너는 생생히 웃는데

지나간 시간을 나는 증명할 수 없다.

네 입맞춤 속에 녹아 있던 모든 것을

다시 만져 볼 수 없다.

 

젖은 창 밖으로 비행기 한 대가 기울고 있다

이제 결코 닿을 수 없는 시간 속으로

 

(‘비 오는 날의 재회’, 43쪽)

 

 

 

사랑을 피해도 어쩔 수 없이 그리운 얼굴들이 번들거리는 그 세상에 투영된다. 사랑할 수밖에 없었던 너의 얼굴. 살기 위해 사랑할 수밖에 없었던 너의 얼굴. 아무리 해도 도망칠 수 없는 것은 그리운 얼굴이다.

 

 

 

이것이 아닌 다른 것을 갖고 싶다.

여기가 아닌 다른 곳으로 가고 싶다.

괴로움

외로움

그리움

내 청춘의 영원한 트라이앵글.

 

(‘내 청춘의 영원한’, 48쪽)

 

 

 

사랑으로부터 도망치려고 하면 할수록 새삼 그 사랑이 그립다. 사랑하는 대상이 그립다. 연모하는 사람이 그립다. 누군가를 그리워한다는 것은 아직 살아 있다는 증거다. 늘 허허롭고 시리기만 하던 가슴이 누군가의 무게로 뻐근하고 묵직할 때 비로소 살아 있음을 깨닫는다. 그러나 한 번 떠난 사랑은 되돌아오지 않는다. 돌아오는 길은 더 이상 옛날의 그 길이 아닐지니. 시인은 그저 아플 뿐이다. 후회가 시인을 짓누른다. 얼마나 아팠을까. 얼마나 그리웠을까. 아마도 시인의 가슴 한 자락은 그리움으로 물크러졌을 것이다.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북다이제스터 2015-07-19 21: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제가 넘 좋아하는 시집... 반갑습니다. Cyrus 님 고맙습니다.

cyrus 2015-07-20 18:49   좋아요 0 | URL
별말씀을요. 저는 이제야 이 시집의 진가를 알았습니다. 정말 좋은 문장의 시들이 많았습니다.

프레이야 2015-07-19 20:1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아무리해도 도망칠 수 없는 것은 그리운 너의 얼굴이다‥ 오늘 제 마음속 이글거리는 무엇을 심안으로 보신 노문우를 잠시 뵙고 울컥했어요. 시집만큼 독하게(!) 쓴 리뷰, 잘 읽었습니다. 가슴에 불덩이 하나 품은 시인‥

cyrus 2015-07-20 18:50   좋아요 0 | URL
시인의 근황을 듣고 난 뒤에 이 시집을 읽게 되니까 더 마음이 짠했습니다.

바람향 2015-07-19 21:0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사랑은 돌아오지 않죠... 돌아오더라도 그 사랑은 옛날의 그 사랑은 아닐 거라고 생각합니다. 참~ 사람의 마음은 스스로도 어쩌지 못할 정도로 불안정하고 예민하고 묘한 것 같습니다..ㅎㅎ

cyrus 2015-07-20 18:50   좋아요 1 | URL
맞아요, 사랑이라는 감정은 요물 같습니다. ㅎㅎㅎ

sslmo 2015-07-19 22:43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전 이시집 싫어요, ㅋㅋㅋ~.
제친구의 소싯적 여친이 줄줄 외웠었대요.
시집은 무생물이니 미워할 수 없고 애먼 시인을 향해 눈을 흘킵니다~!

cyrus 2015-07-20 18:53   좋아요 1 | URL
저는 좋은 시집은 생각날 때마다 읽습니다. 그런데 <이 시대의 사랑>은 사랑을 노래하는 시집치고는 전반적으로 분위기가 우울해서 자주 읽고 싶지 않습니다. ㅎㅎㅎ

돌궐 2015-07-19 23:0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제가 서제에서 가끔 뇌수 운운하며 글을 쓰는 게 아무래도 최승자 시의 영향인 거 같습니다.ㅎㅎ

cyrus 2015-07-20 18:54   좋아요 1 | URL
돌궐님도 이 시집을 읽어보셨군요. ^^

:Dora 2015-07-20 22:33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최승자선생님 건강하시길

표맥(漂麥) 2015-07-21 13:41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괴로움
외로움
그리움...

아고~ 옛 추억 입니다. ^^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