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망 좋은 [책]방
EP. 7
대구두류도서관 → 영 우동 → 담담책방 → 카페 스몰토크
2021년 1월 22일 금요일, 흐리지만 춥지 않은 날씨
‘영 우동’의 ‘영’은 무슨 뜻일까. 망자의 넋을 뜻하는 ‘영(靈)’은 분명히 아닐 테고, 숫자 ‘0’도 아닐 것이다. 영 우동은 이월드 정문 건너편―‘강남닭칼국수’와 ‘송정초밥’ 사이로 난 작은 골목 안―에 있는 작은 중식당이다. 이곳에 가면 중식뿐만 아니라 곧 후술할 떡볶이와 김밥, 라면, 돈가스 등도 맛볼 수 있다.

식당은 작고 오래됐다. 외관은 허름해 보여도 가격이 싸고 적지 않은 양의 음식을 먹을 수 있어 사람들의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오전 11시부터 식당의 문이 열린다. 오후 3~5시는 휴식 시간이며 저녁 8시에 식당의 문이 닫힌다. 영업 종료 30분 전까지 음식을 주문할 수 있다.
나는 10시 57분에 식당에 들어갔다. 내가 식당의 첫 손님이었다. 식당지기 부부는 음식 재료를 준비하고 있었다. 음식을 주문하지 않았는데 사모님은 “(음식) 만드는 데 오래 걸릴 수 있어요”라고 말했다. 나는 “괜찮아요. 천천히 하세요”라고 말했다.


사람들은 식당에 오면 음식이 나올 때까지 기다리면서 휴대폰을 만지작거린다. 영 우동에 가서 주문한 음식을 기다린다면 10분 만이라도 휴대폰을 들여다보지 말 것을 권한다. 가만히 앉아 있지 말고, 자리에 일어나 가게 전체를 둘러보자. 그러면 한쪽 유리벽에 붙여진 손글씨가 보일 것이다. 아마도 식당지기 부부 중 한 분이 직접 쓴 것으로 보인다. 종이에 시와 명언들이 빼곡히 적혀 있다. 그중에 프랑스의 철학자 사르트르(Sartre)의 명언이 눈에 띈다. “B(Birth)와 D(Death) 사이의 C(Choice)가 인생이다.”
계산대 밑에 책들이 꽂혀 있다. 사르트르의 책은 보이지 않았다. 그 대신에 알베르 카뮈(Albert Camus)의 《이방인. 페스트》(혜원출판사)는 있었다. 한때 친했으나 끝내 갈라서버린 실존주의 문학의 두 거장을 중식당에서 만날 줄이야.
내가 주문한 음식은 볶음밥과 ‘스페셜 떡볶이’다. 내가 이 음식들을 주문하자 사모님은 ‘혼자서?’라고 말했다. 스페셜 떡볶이는 두 사람이 먹을 수 있는 양이다. 떡볶이에 납작 만두와 라면 사리도 들어가 있다.
음식을 기다릴 때 식당지기 아저씨의 칼질 소리에 귀 기울여 보라. 그분이 천천히 칼질하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칼질 소리가 아주 정직하다. 또각또각. 규칙적인 소리는 사람의 마음을 편안하게 해준다. 대부분 중식당에 가면 요리사들은 아주 빠른 속도로 칼질을 한다. 따다닥. 식당에 온 손님과 전화나 배달 앱으로 주문한 손님들의 음식을 빨리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영 우동의 식당지기 부부는 음식을 천천히 만든다. 인내심이 부족하거나 시간적 여유가 없는 사람에게 영 우동에 가는 것을 추천하지 않는다. 식당에서 주문한 음식을 먹으려면 적어도 30분은 기다려야 한다.

볶음밥만 먹으면 배가 안 찰 것 같아서 반찬(!)으로 스페셜 떡볶이를 같이 주문했다. 내 선택이 옳았다. 민경 장군이 이런 말을 했었지. “고민될 땐 그냥 둘 다 시켜라.”


떡볶이의 고추장 소스는 맵지 않고, 매콤하다. 볶음밥의 자장 소스가 부족해서 나는 숟가락으로 떡볶이 소스를 퍼서 밥에 비볐다. 백반 한 그릇 더 주문하고 싶었을 정도로 떡볶이 소스가 내 입맛에 맞았다. 싱거운 계란탕은 기름진 음식 때문에 불만이 가득한 위장을 달래준다.

나는 두류도서관에 자주 가는 편이다. 그런데 이제야 영 우동의 존재를 알았다. 확실히 나 같은 ‘책 바보’는 정말 바보다. 영 우동은 그저 오래되고 작은 노포가 아니다. 그곳에 다른 식당에서 볼 수 없는 ‘느림의 미학(味學)’이 있다. 천천히 만들어진 음식에 나오는 평범하면서도 담박한 맛과 손글씨에 묻어 난 올곧은 지성은 ‘영 우동’만의 매력이다. 내 생각에 ‘영 우동’의 ‘영’은 식당에 온 손님들을 기분 좋아지게 만드는 밝은 기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