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간신히 대학에 갔지만 넉넉한 형편은 아니어서 언제나 아르바이트를 해야 했다. 과외 아니면 논술 첨삭 같은 비교적 편한 일이었지만, 거의 쉬지 않았으므로 몸이 고된 날이 많았다. 그렇게 해서 번 돈이 한달에 30만원 남짓. IMF 때라 그나마 일거리가 있는 데 감사해야 했는데, 부잣집 딸들이 많은 학교에서 같은 과 애들이 "야 너 옷 예쁘다 어디서 샀어?" "학교 앞에서 30만원 주고 맞췄어." "와, 너 돈이 어디 있어서?" "엄마 카드 슬쩍 했지, 깔깔" 하는 소리를 들으면 주눅이 들었다. (대학 때 친구중에 아직도 만나는 애들은 한 명도 없다.) 아직도 나한테는 "큰돈"의 첫 단위가 30만원이다.
늦은 밤까지 종로 3가에서 두 탕을 마치고 집으로 오는 길, 버스가 광화문 앞에서 유턴해 세종문화회관 앞을 지날 때, 이제 막 공연을 보고 나온 사람들이 환희에 찬 얼굴로 쏟아져 나오는 걸 보기도 했다. 그리고 버스 맨뒷자리에 앉아서 나는 왠지 서러워 찔끔찔끔 울었다. 취직하면 나 공연은 실컷 볼 거야. 그때 그런 결심을 했다. 비록 취직한 다음에도 한동안 넉넉하지 못해 원을 다 풀진 못했지만, 지금도 비싼 공연을 볼 때면 그때의 내가 떠올라서 마음이 몽글몽글해진다.
*

지난 금요일엔 기돈 크레머 할아버지와 그의 젊은 친구들의 연주회에 갔다. 음반으로 만나면서 꽤 오래 팬심을 키워왔던 터라, 크으은맘 먹고 두번째로 비싼 자리를 골랐다. 60년동안 바이올린과 한몸이 되어 산 거장의 연주는 꽉 막힌 내 귀에도 엄청난 감동을 주었다. 연주를 쉬는 동안에도, 아무 소리가 나지 않는 순간에도 청중을 사로잡는 카리스마. 긴장된 적막을 찢으며 예민한 음을 짚어내는 결단력. 얼굴이 벌게지도록 온몸을 사용해 연주하는 집중력. 태어나서 처음으로 기립박수를 했다. (아, 이럴 때 기립박수를 하는 거구나!) 그런데 오늘 아침 라디오에서 얼핏 들으니, 서구 어딘가에서는 수입이 얼만지가 아니라 "스스로 즐기는 운동이 있는지, 다룰 줄 아는 악기가 있는지, 나만의 요리가 있는지, 공적인 집회에 의연히 참가하는지" 등으로 스스로 중산층인지 여부를 따진다고 한다. 나는 악기를 다룰 줄 모르지만, 이만하면 중산층인 것 같다. 기돈 크레머 할아버지의 연주를 찾아가고, 기립박수를 했다. 늦은밤 53번 버스 맨뒷자리에 쪼그리고 앉아 훌쩍이는 스무살이던 내가.
*

(▲ "할아버지 안녕하세요?"라고, 어린이들이 먼저 와서 인사했다지. 너네 이 할아버지가 누군지는 아는 거냐!)
오늘은 문재인 펀드가 개시된 날이다. 나는 추천인 란에 노무현이라 썼다 지우고 문재인이라고 적었다. 그를 보고 하는 투자니까. 금액을 고민하다가 나의 대학시절 한달 수입을 써 냈다. 중산층임을 자처하면서 지금 한달 월급을 내지는 못하는 내가 부끄럽지만, 한때는 지금의 한달 월급보다 더더 절실했던 "큰돈"을 그에게 보냈다. 앞으로도 내가 계속 중산층으로 살 수 있을까? 그런 생각을 하다가, 어쨌든 우리는 당신을 잃지 않을 거예요, 속으로 그렇게 말해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