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89년 프랑스 혁명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남녀 3명의 사랑이야기를 다룬 <혁명가의 연인>은 24년 전 소피 마르소의 모습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도 반가운 영화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이 혁명의 진행과정에 참여한 두 청년이 시민권이나 자유, 평등과 같은 대의에 의한 것이 아니라 사랑때문이었다는 감독의 시선은 무척 솔직해보인다.

 

영화의 내용은 이렇다. 어릴적 형제같이 지냈던 세 남녀가 프랑스혁명 당시 뿔뿔히 흩어진다. 오렐은 미국으로, 타르깽은 파리로, 셀린느(소피 마르소)는 고향에 남아 대부인 백작의 글라이더 작업을 돕는다. 4년이 지나 공화주의자로 변신한 타르깽은 고향에 돌아와 군대를 징집하고 공화정 정치를 펼치고자 한다. 그리고 셀린느에게 아이들 교육을 맡긴다. 원래 셀린느는 오렐을 좋아하며 긴 세월을 기다리고 있었다. 이때 마침 오렐도 고향으로 돌아오고, 셀린느와 타르깽의 관계를 오해한다. 그래서 공화정과 반대인 왕정파에 몸을 담는다. 하지만 이내 혁명으로 야기된 전쟁의 참혹함에 고개를 돌리고 셀린느의 변치않는 사랑을 확인하며 함께 탈출을 시도한다. 타르깽은 셀린느를 차지하고자 연적 오렐을 죽이고자 했으나 오히려 셀린느의 총에 맞아 사망하고 만다.

 

영화 속에서 타르깽은 시민의 보편적 권리와 자유를 내세우며 무단정치를 펼치는데 이는 셀린느에 대한 가질 수 없는 사랑때문이었으며, 오렐이 잠시 왕정파에 몸담았던 것 또한 사랑의 배신이 준 아픔을 복수하고자 함이었다. 혁명이라는 이름하에 이루어진 전쟁의 밑바탕엔 사랑과 배신, 복수라는 감정이 들끓고 있었던 것이다. 감독의 이런 시선은 마치 제1차 세계대전의 원인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페르디난트 대공이 탄 자동차가 길을 잘못 들었기 때문이라는 마크 뷰캐넌의 <세상은 생각보다 단순하다>처럼 명쾌해 보인다. 그리고 일견 이런 시선이 거대 담론들보다 피부에 와닿기도 하다. 역사라는 거대한 물결밑엔 무수히 많은 사람들의 개인적 감정과 감정들이 물고기처럼 부단히 헤엄치고 있지 않았겠는가. 그것을 인정하는 시선이 솔직해 마음에 와 닿는다는 이야기다.

 

한편 영화속에서 오렐이 혁명으로 피폐해진 고향 풍경을 보면서 "웃고 떠드는 시대는 가고 근엄한 연설가의 시대가 온 것인가"며 한탄하는 장면이 나온다. 물론 웃고 떠드는 시대는 귀족 계층의 몇몇 소수만이 누렸던 특권이었을 테지만, 아무래도 이 말이 가슴에 비수를 꽂는듯 아프게 다가온다. 우리는 세상을 바꾸겠다며, 또는 세상이 바뀌기를 바라며 근엄한 연설가처럼만 살아가고 있는 것은 아닌가 둘러보게 된 것이다.

 

웃고 떠드는 시대는 진정 가버렸을까. 혁명의 시대엔 웃고 떠드는 것이 마땅치 않은 일일까. 오늘 하루하루가 웃고 떠드는 시대가 되기를 바라는 것, 이것이 진짜 혁명의 길이어야 하지 않을까. 아니 꼭 구태여 혁명이라는 말도 필요없다. 그저 하루하루가 웃고 떠드는 시대가 되었으면 좋겠다. 무슨무슨 푸어로 시름받는 세상이 살만한 세상으로 바뀌는 그 과정의 길에서도 엄숙함보단 웃고 떠들 수 있는 명쾌함이 함께 갈 수 있다면 좋겠다. 그래서 이번 대선이 축제의 장이 될 수 있기를 바라는 것이 과한 욕심이 아니길 기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단풍이 고운 시절이다. 산으로 산으로 사람들의 발길이 이어진다. 하지만 단풍이 산에만 있는건 아니다. 회색도시 곳곳에도 색의 향연이 펼쳐지고 있다. 다만 빠른 발걸음 속에서 휙~ 하니 스쳐 지나가기 일쑤이지만.

 

한강변 어느 아파트 담벼락을 기어오르던 담쟁이잎에도 단풍이 들었다. 같은 뿌리에서 나왔지만 색이 드는 속도는 천차만별이다. 아직 푸른빛을 유지하는 것에서부터 검붉은 색까지. 그런데 정작 이 아파트에 살고 있는 대다수 사람들은 이 아름다운 장면을 구경하지 못했을 것이다. 이 담벼락은 출입구와 반대편에 있기 때문이다. 평소 드나들던 길이 아닌 곳을 굳이 수고를 들여 돌아보지 않는한 담장 안의 사람들은 결코 볼 수 없는 풍경인 셈이다. 자신이 살고 있는 곳이면서도 자신은 보지 못하는 아름다운 풍경을 갖고 있는 것이다.

 

우리 마음도 그러할 것이다. 일상의 찌든 마음, 지지고 볶고 사는 과정에서 제 마음 속 아름다운 풍경을 놓치고 있을지 모른다. 그래서 사회 속 일탈이 아니라 마음 속 일탈이 필요하다. 내가 쳐놓은 마음의 울타리를 벗어나 보자는 것이다. 혹시 이런 아름다운 담쟁이잎이 그 울타리 너머에서 마음 속으로 오르려 애쓰고 있음을 알아챌지 모르니. 지금 이 순간 이런 아름다움이 있다는 것을 모르고 지나친다는 것은 얼마나 안타까운 일인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2-10-22 11:22   URL
비밀 댓글입니다.

하루살이 2012-10-23 21: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글을 통 못쓰다 겨우 짬을 내 쓰기 시작하니 옛적 친구(?)들의 인사가 너무 반갑습니다. 제 마음은 사막인줄 알았다가 최근에 비바람을 맞고서야 아름다운 풍경이 있다는걸 알아챘습니다. 그 아름다움을 볼 수 있는 마음의 일탈. 정말 필요해 보여요.
 

예전엔 미처 몰랐다. 가을꽃이 이렇게도 찬연하고 아름답다는 것을. 서정주 시인의 '국화 옆에서'가 그리도 절절한 울림이었음을.

 

겨울이 지나 봄이 오면 만물이 생동한다. 사람도 동물도 식물도 기지개를 펴고 햇빛을 만끽하기 시작한다. 따스함을 온몸으로 받아들인다. 그 약동의 기운에 꽃도 얼굴을 내민다. 봄꽃이 주는 화사함이다. 그런데 이 봄의 기운을 담담히 받아들이는 것들이 있다. 그리고 뜨거운 한여름도 견디어낸다. 마침내 가을, 찬바람이 불어오면 드디어 꽃을 피우기 시작한다.

 

기다림을 아는 꽃이다. 그 기다림이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모든게 "내거야"다. 아이는 마치 이 세상 전부가 자기 것인양 당당하게 "내거야"를 외친다. 다른 아이들 손에 들린 것이 마음에 든다면 주저없이 빼앗아 "내거야"라고 한다. 그렇기에 내거야 뒤에는 "아앙"이 따른다. 싸움이 일고, 실제적으로 자기 것이 아니기에 돌려주어야만 하는 상황에 눈물을 흘리고야 마는 것이다. 

 

아이들은 다 이런 시기를 겪는다고 한다. 어떤 아이들은 겪는듯 마는듯 지나가기도 하겠지만 열병처럼 지독하게 앓고(?) 가는 아이들도 있다. 하지만 점차 남의 것도 인정하고, 나의 것도 나눌 수 있는 마음을 배우게 된다.

 

그러나 어른이 된다고 해서 "내거야"의 시기를 다 지나보내는 것은 아니다. 특히 승자독식사회에선 경쟁에서 이기기만 하면 모든 것이 내것이 되니 그 욕망을 놓아버리는 것이 쉽지않다. 여기에서도 세살 버릇은 여든까지 가는 것이다. 하지만 기억해야 하지 않을까. "내거야" 뒤엔 "아앙"이 따랐다는 것을.   

 

정말 어른이 된다는 것은 내 것을 줄여나가는 일일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랑을 잃은 슬픔은 죽음에 이를만큼 고통스럽고, 사랑을 얻은 기쁨은 온 천하를 얻는듯 즐거워보인다. 영화나 드라마, 노래 속에서 말이다. 그래서 이런 사랑 앞에선 어느 누구라도 수퍼맨이 되는듯 착각에 빠지기 십상이다. 사랑하는 이를 위해선 하늘의 별이라도 딸 수 있고, 사랑하는 이가 곁에 있다면 세상에 못할 일은 없을 것만 같기에.

 

하지만 사랑에도 유효기간이 있다는 것이 과학자들의 설명이다. 물론 호르몬이라는 관점에서. 기껏해야 2년 반 정도의 시간, 우리는 콩깍지에 씌여  살아간다는 것이다. 그리고 호르몬이라는 묘약이 사라지면, 그때부터 우리는 소위 정이라는 가짜약을 만들어가면서 살아가는 것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렇게 가짜약을 제조하는 이때부터 비극은 시작된다. 사랑 대신 믿음이 자리를 잡고 서로를 이해하며 살아가는 과정 속에서 갈등도 함께 자라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소위 가짜약의 부작용이 나타나는 것이다.

 

사랑할 때는 기대라는 것을 접고 산다. 하염없이 퍼주고 싶은 마음으로 살아가기 때문이다. 내가 무엇을 해주었으니, 응당 그에 상응하는 무언가를 받겠다는 마음을 갖고 있었다면 그건 사랑이 아니다. 그건 유효기간이 지난 사랑이다. 그리고 바로 이런 마음 속에서 갈등은 시작된다. 힘들때 기대고 싶다는 마음, 나의 고통을 알아줬으면 하는 마음, 이런 류의 마음은 모든 것을 퍼줄 때의 마음이 아니다. 이젠 받고 싶은 마음이 움트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마음은 몹시도 모질어 조금이라도 충족시킬 수 없다면 분노가 솟아오른다. 사랑에서 분노로 그 행로가 바뀌는 것은 순식간이다.

 

그래서 사랑으로 인한, 아니 사랑이 끝나고 시작되는 갈등을 슬기롭게 넘기려면 기대를 내던져야 한다. 그저 상대방을 있는 그대로 인정해야 한다. 즉, 다시 시작하는 것이다. 사랑을 다시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으로서의 상대방이라는 시선으로 관계를 다시 시작해야 한다는 것이다.  기대를 버린다는 것은 욕망을 버린다는 것이다. 상대가 이래줬으면 하는 바로 그 욕망말이다. 그것이 새로운 관계를 맺는 출발점이다. 비록 그 길이 순탄치 않더라도 그랬을 때만이 사랑이 사라지고 난 자리, 서로 나 몰라라 남남으로 살아가지 않고, 인간 대 인간으로 성숙해질 수 있는 기회를 맞이하는 것이다.

 

사랑이 지나간 자리, 비로소 한 인간이 보이기 시작할 것이다. 수퍼맨은 이제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