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을 잃은 슬픔은 죽음에 이를만큼 고통스럽고, 사랑을 얻은 기쁨은 온 천하를 얻는듯 즐거워보인다. 영화나 드라마, 노래 속에서 말이다. 그래서 이런 사랑 앞에선 어느 누구라도 수퍼맨이 되는듯 착각에 빠지기 십상이다. 사랑하는 이를 위해선 하늘의 별이라도 딸 수 있고, 사랑하는 이가 곁에 있다면 세상에 못할 일은 없을 것만 같기에.

 

하지만 사랑에도 유효기간이 있다는 것이 과학자들의 설명이다. 물론 호르몬이라는 관점에서. 기껏해야 2년 반 정도의 시간, 우리는 콩깍지에 씌여  살아간다는 것이다. 그리고 호르몬이라는 묘약이 사라지면, 그때부터 우리는 소위 정이라는 가짜약을 만들어가면서 살아가는 것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렇게 가짜약을 제조하는 이때부터 비극은 시작된다. 사랑 대신 믿음이 자리를 잡고 서로를 이해하며 살아가는 과정 속에서 갈등도 함께 자라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소위 가짜약의 부작용이 나타나는 것이다.

 

사랑할 때는 기대라는 것을 접고 산다. 하염없이 퍼주고 싶은 마음으로 살아가기 때문이다. 내가 무엇을 해주었으니, 응당 그에 상응하는 무언가를 받겠다는 마음을 갖고 있었다면 그건 사랑이 아니다. 그건 유효기간이 지난 사랑이다. 그리고 바로 이런 마음 속에서 갈등은 시작된다. 힘들때 기대고 싶다는 마음, 나의 고통을 알아줬으면 하는 마음, 이런 류의 마음은 모든 것을 퍼줄 때의 마음이 아니다. 이젠 받고 싶은 마음이 움트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마음은 몹시도 모질어 조금이라도 충족시킬 수 없다면 분노가 솟아오른다. 사랑에서 분노로 그 행로가 바뀌는 것은 순식간이다.

 

그래서 사랑으로 인한, 아니 사랑이 끝나고 시작되는 갈등을 슬기롭게 넘기려면 기대를 내던져야 한다. 그저 상대방을 있는 그대로 인정해야 한다. 즉, 다시 시작하는 것이다. 사랑을 다시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으로서의 상대방이라는 시선으로 관계를 다시 시작해야 한다는 것이다.  기대를 버린다는 것은 욕망을 버린다는 것이다. 상대가 이래줬으면 하는 바로 그 욕망말이다. 그것이 새로운 관계를 맺는 출발점이다. 비록 그 길이 순탄치 않더라도 그랬을 때만이 사랑이 사라지고 난 자리, 서로 나 몰라라 남남으로 살아가지 않고, 인간 대 인간으로 성숙해질 수 있는 기회를 맞이하는 것이다.

 

사랑이 지나간 자리, 비로소 한 인간이 보이기 시작할 것이다. 수퍼맨은 이제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