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광기와 우연의 역사 (최신 완역판) - 키케로에서 윌슨까지 세계사를 바꾼 순간들 ㅣ 츠바이크 선집 (이화북스) 1
슈테판 츠바이크 지음, 정상원 옮김 / 이화북스 / 2020년 11월
평점 :
절판
어떤 순간.
내 바로 눈앞에서 찰나가 슬로우 모션처럼 펼쳐진다. 나의 행동은 그 느려진 시간이 아닌 일상의 시간에 있는 듯한 착각으로 손을 뻗어 보지만, 그 손은 그 발은 그 몸은 멈추어있다. '안돼'의 모든 자음과 모음이 늘어지지만 '돼'의 마지막 모음이 여운을 마칠 때, 모든 것이 끝나 버렸다.
또 어떤 순간.
여느 때처럼, 문을 닫고 딸깍 소리가 났다. 부드럽고 불협화음 없이 '딸각'. 그런데 그 문만은 닫히는 순간 들어와 버린 안에서는 영원히 다시 열 수 없는 문이 되었다.
반복되는 순간
2년 전 같은 주제로 이야기했던 그 사람이 같은 미소를 짓고 같은 제스처를 취하며 같은 주기로 몸을 앞뒤 좌우로 흔들며 장소만 바뀌었을 뿐 앞에서 그대로 재현한다. 하지만, 이제 그것은 반복을 마쳐버렸고, 마지막 재현이라는 것을 안다.
예기치 못한 순간
지난주와 같은 수요일을 만들지 않은 예기치 못한 순간이 왔다. 그것은 그마저도 한 주보다 더 큰 지름을 가진 원의 패턴이 되기는 한다.
우리가 지금, 이 순간 기억하는 순간들은 어떤 것들일까? 우리는 그 기억되는 순간만을 특별히 기억하는 것일까? 그것이 어떤 사고이기 때문에? 그것이 어떤 돌이킬 수 없는 결정의 순간이기 때문에? 그것이 윤회하듯 반복하다 이제 종지부를 찍던 순간이기 때문에? 그것이 정말 예상하지 못했던 순간이기 때문에?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그 순간만을 기억하는 것일까?
우리의 모든 순간은 평등하다. 기억되어질 고른 평등한 권리를 가지고 그것이 어떤 순번이거나 부합되는 조건에 따라 소환될 뿐이지 않을까?
보통은 느긋이 앞서거나 뒤서거니 일어나던 것들이 단 한 순간 안에 응축되는 경우, 이 순간은 모든 것을 규정하고 결정짓는다.
별처럼 빛나는 순간들을 기억해보려 한다. p5
어떤 순간을 회상하는 그 순간은 현재이지만 그 과거에 속하는 것일까? 그 과거가 가미되어 다른 지금과는 다른 변형된 순간일까?
대관절.
구급차가 온몸으로 받은 도로 요철의 덜컹거림이 서스펜션으로 많이 필터 되었지만, 그래도 여전히 단절된 단차만을 가진 틈으로부터 짧고 강하게 '쿵' 소리와 전달되는 '흔들림'과 그 '흔들림'에 신음하는 이와 그를 바라보며 어쩔 줄 몰라함을 넘어 그저 손잡고 있는 것을 현재와 아무런 연관 없이 기억해 내는 것은 대관절 무슨, 그리고 어떤 순간인가.
단지, 서사되어졌고, 의도되어서. 선택되어졌고, 또 의도되어서. 선택되어졌고, 하지만 아무런 의도가 없이.
그래서 특별하다고 말한다 해도 정말 그뿐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