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본 영화 <사랑을 놓치다> 주인공 설경구는 "조정" 선수로 나온다. 영화를 보면서 생각했다.왜 하필 "조정"일까? 화면을 아름답게 하기 위해서? 송윤아 고향의 양어장과 함께 물이 흐르는 배경을 만들기 위해서? 조정에 대해 잘 모르지만, TV에서 조차 조정 경기 한번 본 적 없지만, "비인기 종목"일꺼고, 조정으로 밥 먹고 살기란 쉽지 않을꺼다.영화에서 우재(설경구)의 아버지가 이런 말을 한다. 우재가 잔뜩 어질러진 집에서TV를 보며 혼자 캔맥주랑 빵쪼가리를 먹고 있는데, 벨이 울린다.연락 없이 올라오신 아버지. 이러 저리 뒹구는 빈 캔들과 쓰레기를 급하게 치우고 문을 여는 우재. 아버지는 난닝구 차림에 혼자 빵을 먹고 있는 아들을 한심한 듯 쳐다보며 말한다. " 야 이놈아! 야구도 있고 축구도 있는데, 왜 하필 조정이냐? " 조정. 바로 그 조정. 내 주위에 前 국가대표 조정 선수가 있다. 누구냐면....헬스클럽 트레이너다.어제 영화에서 설경구를 보면서 헬스클럽 트레이너 N이 생각났다. 나이도 영화 속의 설경구랑 비슷한 거 같다.91~93학번? 키는 189, 온몸이 근육이고 약간은 느끼한 스타일이다. 요즘 헬스클럽에는 요가,ABS, 스텝 이런거 그룹으로 하는 GX 프로그램이 있는데(이거 없으면 장사 안된다), N은 body shaping 강사다. 이게 뭐냐면...아령 들고 춤추는 거다. 한시간 동안 양손에 아령 들고 춤추면 진짜....힘들다. 난 어설프게 따라한다. 이런 자세 하지 말라고 툭하면 지적 당하는 어설픈 자세지만, 한 시간 동안 따라하는 것 자체가 쉽지 않다. 난....운동에 심각한 컴플렉스가 있다. "난 운동을 못해." "난 몸치야." "난 몸이 말을 안들어." 어렸을 때 부터 이렇게 생각하다 보니, 운동을 두려워하게 되었다. 그래서....운동을 피하고 안하게 되었다. 난 방향감각이 완전 꽝인데, (정말 대단한 "길치"다. 어렸을 때는 신발 짝짝이를 구별하는 것도 오래 걸렸다.)학교 다닐 때 체조할 때는 마주보고 체조를 하는 선생님을 따라 하다 보니 다들 오른쪽으로 몸을 돌릴 때, 혼자 왼쪽으로 돌려서 무안을 당하곤 했다. 어쩌다 볼링장이라도 가면 내 차례가 될 때 마다 가슴이 쿵쾅쿵쾅 뛴다. 특히 팀별 대항 게임비 내기 이런거 하면 나 때문에 질까봐 마구 스트레스가 쌓인다. 그런데....얼마 전 헬스에서 N의 동작을 따라하다가 이런 생각을 했다. "내가 정말 운동을 못하는걸까?" 난 달리기를 잘한다.(오래 달리기 말고) 운동회를 하면 "릴레이"에 나가곤 했다.난 내가 달리기를 잘하는건 그저 "승부정신"에 의한, "정신력"의 힘이라고 생각했다.그리고 운동을 하지도 않으면서 "난 운동을 못해! 못하니까 하기 싫어." 라고 생각했다. 그런데..."내가 정말 운동을 못하는걸까?" 나...영어 잘한다. 사람들은 제대로 영어 공부도 하지 않으면서 자기는 "어학에 재능이 없다." 또는 "해도 안된다."라고 말한다. 어학공부에는 왕도가 없다.처음엔 무조건 외워야 한다. 반복적으로 해야 한다. 그게 안되면 어학 연수 아닌 달나라 연수를 가도 아무 소용 없다.나...고등학교 때 성문종합영어 20번 봤다. 이렇게 하면 사람 마다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어지간해서 영어를 못할래야 못할 수가 없다.그런데....하물며 운동은 더 연습이 필요한거 아닐까? N이 그런 근육을 만들고, 그런 자세가 나오기 까지는 정말 "기계처럼" 연습을 했을 텐데, 그런 과정은 다 생략하고 생전 운동은 안하면서 "나는 운동을 못해!"라고 단정적으로 말하는 근거는 뭘까?생각해 보면 이런 악순환이 가능하다. 1."나는 운동을 못해!"라고 단정적으로 생각한다.2. 그래서...운동을 피하고 안한다. 3. 갈수록 운동신경이 둔해지고, 믿음은 더 강해진다.이게 꼭 운동 뿐만이 아닐 꺼다. 잘하는 건 계속 파고, 못하는 건 피하는 양극화(?) 현상. "난 정말 운동을 못하는걸까?" 답을 알기 위해, 이번에 한번 제대로 운동을 해봐야 겠다.해봐야 아는 거니까...진짜로 못하는건지, 못한다고 생각한건지..."난 정말 운동을 못하는걸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