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산성
김훈 지음 / 학고재 / 2007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김훈 소설에 대한 비평가들의 무관심은 실로 기이한 느낌을 불러일으킨다.
김훈의 소설은 유령인가?


5월 9일자 한겨레 칼럼 [야!한국사회]에서
문학평론가 이명원은 물었다.

김훈의 소설은 유령인가?

문학평론가들은 김훈의 소설에 대해 침묵한다.
(이명원은 김훈 소설 비평을 쓴 적 있나? 모르겠다.)

김애란, 이기호, 박민규에 대해서는
범비평가 연합 과제라도 되는 것처럼 떠들어대면서
김훈의 소설에 대해서는 침묵하는 게 사실이다. 왜일까?

이명원의 칼럼을 읽고 김훈의 <남한산성>을 읽었다. 궁금해서!

김훈의 소설을 처음으로 읽었다.
<현의 노래>, <칼의 노래> 아무 것도 읽지 않았고,
읽고 싶은 마음도 없었다.

김훈! 하면 떠오르는 마초 같은, 가부장의 전형 같은 이미지가 싫었다.

<남한산성>을 읽게된 건
정말....진정....넘넘 궁금했기 때문이다.

도대체 어떤 소설이기에 이 난리인가?
도대체 어떤 소설이기에
중년 남자들이 소주가 아니라 소설 나부랭이를 사기 위해 지갑을 열고,
말 많은 비평가들은 외면 또는 침묵하는가?

<남한산성>을 읽으면서 "절묘한 아슬아슬함"을 느꼈다.
고난이도의 서커스를 보는 것 같았다.
밧줄에서 떨어지는 척 하다가 멋드러진 공중곡예를 펼치는
산전, 수전, 공중전 다 겪은 능란한 곡예사!

무식하면 용감하다! 고
무식함을 전제로 용감하게 말한다면
<남한산성>에서의 김훈의 서사나 인물 설정은
대하소설의 대중작가 최인호와 크게 다르지 않다고 감히 생각한다.

김상헌의 칼에 죽은 사공이나 그의 딸 나루나,
노비 출신으로 청의 통역관이 된 정명수나,
대장장이 서돌쇠나 그 얼마나... 통속적인가?
대하 드라마에서 당장이라도 튀어 나올 것 같은 인물들이다.

그러나...
만약 최인호가 <남한산성>을 썼다면 3권은 되지 않았을까?

김훈의 절제되고 압축된 문장은 사람을 질리게 만든다.
어떻게 이런 문장을 쓰지?
어떻게 이런 문장을 번역하지?

김훈의 문장은 특이하게...아름답다.
문장이 미려하고 뭐 그런 게 아니라
말이 되는 얘긴지 모르겠지만
스타카토처럼 딱딱 끊어지는 마초적인 아름다움?

문장이 군더더기 없이 절제되어 있고,
인물들에게도 일체 감정이입을 시키지 않는다.

인물들이 남한산성의 돌이나 돌벽에 피는 꽃,
한 겨울 꽁꽁 얼었다 봄이 되자 콸콸 흐르는 강 같은
자연과 다르지 않다.

그저 꽃이 피다, 꽃이 지다 처럼
인물들의 상황을 담담하게 서술한다.

임금은 남한산성에 있었다.

비평가들의 애로사항(?)이 어렴풋이 이해된다.
도대체 김훈 소설을 어떻게 볼 것인가?
도대체 무슨 이론을 적용(?)할 것인가?

담론이 담론을 낳는 지식인 사회의 특성상
누가 먼저 얘기를 해야 딴지를 걸텐데
누가 먼저 시작을 할 것인가?

여전히...김훈을 좋아하지 않는다.
여전히...김훈의 이미지는 마초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한산성>을 읽고 생각한다.
김훈은 뛰어난 작가라고!

<남한산성>에 등장하는 모든 인물들이 이해된다.
그 상황에서 그럴 수 밖에 없었겠다고!
김훈은 아무 설명도 하지 않는데...

김훈의 책을 한권 더 샀다.
<'너는 어느 쪽이냐'고 묻는 말들에 대하여>

<남한산성>에서 최명길과 수어사 이시백의 대화가 생각난다.

- 수어사는 어느 쪽이오?
이시백이 대답했다.
- 나는 아무 쪽도 아니오. 나는 다만 다가오는 적을 잡는 초병이오.
(page 218)

김훈의 산문집을 빨리 읽어봐야 겠다.
좋아하지 않지만 관심이 가는 남자 김훈.

댓글(10) 먼댓글(1)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김훈이 "남한산성"을 통해 말하고자 했던 것은?
    from 風林火山 : 승부사의 이야기 2007-11-05 02:32 
    남한산성 - 김훈 지음/학고재 2007년 10월 31일 읽은 책이다. 올해 내가 읽을 책목록으로 11월에 읽으려고 했던 책이었다. 재미가 있어서 빨리 읽게 되어 11월이 아닌 10월에 다 보게 되었다. 총평 김훈이라는 작가의 기존 저서에서 흐르는 공통적인 면을 생각한다면 다분히 민족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작가는 매우 냉정한 어조로 상황을 그려나가고 있다. 소설이기에 작가의 상상력이 개입이 되었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읽었음에도 주전파..
 
 
이게다예요 2007-05-27 18: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후후, 저도 이 책 질러서 지금 책장에 꼽혀있는데 언제 읽을까 고민중이에요. 저도 김훈을 별로 좋아하지 않아서 선뜻 손이 잘 안 갔는데 이거 보니 빨리 읽고 싶네요.

kleinsusun 2007-05-27 18: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게 다예요님, 오랜만이예요.^^ 이명원 칼럼 아니었으면 저도 안 읽었을 꺼예요.ㅋㅋ 이 책 읽으면서 "명불허전"이란 말이 생각났어요. 뭔가...있더라구요.^^

프레이야 2007-05-27 20: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의 문장이 군더더기 없다고 독자가 느끼는 건, 정말 군더더기가 없어서가
아니라 어조의 끊어짐 즉 님이 말한 것처럼 스타카토 그리고 난무하는 반점(쉼표)들
때문이라 여겨요. 오히려 그의 문장은 그의 사념으로 인해 군더더기가 많다 싶은 때가
많아요, 제 경우엔. 하지만 그럼에도 그의 문장은, 글은, 묘한 매력이 있으니 참,
난감하지요. 평론가들의 입을 열지 못하게 하는 힘 또한 그만의 힘으로 보입니다.^^

kleinsusun 2007-05-27 19: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혜경님, 역시...예리하시군요!^^
"난감하다".... 정말 김훈의 소설을 표현하기 딱인 단어네요! ㅋㅋ
평론가들도 정말...난감할 것 같아요.^^

다락방 2007-05-27 19: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역시 거부반응이 일어 그간 미뤄오다가 최근에 [강산무진]을 읽었거든요. 맙소사, 정말 좋던걸요. 이런글을 쓰고싶다, 고 할 정도로 말이죠. 좋은걸 알겠지만 다음작품에 선뜻 손을 대기가 두렵기도 하니, 이 마음이 무엇인지는 모르겠어요.

kleinsusun 2007-05-27 19: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다락방님, 김훈은 역시....대략난감하다니까요. 맞아요....첫장을 펼치기가 내키지 않는...두려운...빙고!^^

2007-05-27 21:36   URL
비밀 댓글입니다.

드팀전 2007-05-27 22: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김훈의 문장은 단호하다는 생각이 들어요...김훈의 글은 이렇게 말하는게 옳을지는 모르지만 무언가 뒤틀린 고독감이 있으면서도 피할 수 없는 생생함을 담고 있지요.
미디어적 글쓰기의 특징 중에 하나가 그런 짧고 명확한 문장이지요...김훈은 기자시절부터 명문으로 익히 알려진 사람이다보니....뭐 이런식으로 쓰면 어떨지^^
" 김훈은 각진 현미경이다.그에게는 모난 고독감이 느껴진다...줄라. 불라. 불라."

바람돌이 2007-05-28 01: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김훈의 <칼의 노래>를 읽으면서 느꼈던 그 묘한 감정이 수선님에게서 제대로 표현되어지는 것 같네요. 저는 그 감정의 정체가 뭘까 참 감이 안잡히더라구요. 책을 다 읽고 놓을때조차도 계속 저를 끈덕지게 물고 늘어지던 낯섬이라고나 할까요.

kleinsusun 2007-05-28 22: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속삭이신님, 김훈은 "양가적인 존재"라는 말에 공감 110%.
고개를 끄덕이며 동의하다가도 뭔가 설명하기 힘든 불편함과 거부감을 불러 일으키는...

드팀전님, 뭔가 뒤틀린 고독감......맞아요. 그런 것 같아요.
"각진 현미경"이란 표현 멋진걸요. 줄라.불라.불라.....^^

바람돌이님, 님도 "묘한" 감정을 느끼셨군요.
책장을 넘기는 내내 그랬어요. 고개를 끄덕이더가, 고개를 갸우뚱 거리다가...
<칼의 노래>는 어떤지 궁금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