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있었던 선배들과의 술자리. 난 앞에 앉은 선배에게 대뜸 이렇게 물었다. "오빠는 지식인이야?" 선배는 나의 쌩뚱 맞은 질문에약간은 당황해 하며, 약간은 어이없어 하며 대답했다. "그게....항상 고민이지." 선배는 E여대 교수다. 당근 "지식인" 또는 "식자"로 분류된다. 어렸을 때, "산타 할아버지"가 진짜 있을까?...넘넘 궁금했다. 요즘 애들이야 4살만 되도 안다고 하던데, 어리숙한 나는 국민학교 3학년이 되서야 알았다. 요즘...도대체 지식인이란 뭘까? 정말...궁금하다.주위에 박사들이 왜 이렇게 많은지?회사에도 박사들이 드글드글, 거래선들의 명함을 받으면 이름 앞에는 한결 같이 PhD,(이런 사람들한테 Mr.라고 하면 디~따 싫어한다!) 오랜만에 송년모임에라도 나가면 너도 나도 박사, 적어도 석사. 도대체....석사가 연구소에 가면 뭘할까? 비이커를 닦을까? 궁금하다.얼마 전에 만난 모대학의 젊은 국문과 교수가 말했다. 지식의 환원은 윤리라고! 내색하진 않았지만 난 그 자리에서 충격을 받았다. 뻘쭘해서 맥주를 쭈~욱 들이켰다. "지식의 환원은 윤리!"라고 말할 수 있는 그의 자신감이 부러웠다. 진정. 그의 말을 듣고 생각했다.난 "환원"할만한 지식이 있을까? 생각하고 또 생각해 봐도, <톡톡 무역 영어>를 날림으로 쓰거나 "비즈니스 매너" 정도를 야매로 강의하는 정도 밖에는 없을 것 같다.해외영업"만" 10년했으니까. 나름대로 열심히! 온갖 스트레스와 굴욕을 참아가며.그럼에도 불구하고....공병호 아저씨(그 또한 박사!)의 <명품인생을 만드는 10년 법칙>처럼"명품인생"이 되지는 않았다.어쨌든.... 도대체....지식인이란 뭘까? 선배는 사르트르의 <지식인을 위한 변명>을 읽어보라고 했다.그런데....그 책을 읽을 생각을 하니....웬지... 웃음이 난다. 으허허허. 요즘....공부가 하고 싶다. 너무나. 왜 학교 다닐 때 공부 안했던 인간들은 뒤늦게 공부가 하고 싶은걸까? 술 많이 마신 다음 날 갈증이 나는 것처럼 공부가 하고 싶다. 그런데....공부를 하고 싶은 동기의 "진정성"에 대해서는....자신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거식증 환자들처럼 마구 책을 먹어치우고 싶다. 우적우적. "연구공간 수유+너머"의 김윤식 선생님 특강을 신청했다.<한국근대문학사의 두 공간에 대하여>. 어쩌면....사치일수도, 허영일수도, 또 한번의 삽질일지도 모른다. 그래도....공부가 하고 싶다. - 어느 방황하는 회사원의 넋두리
8625252
놓치기 너무 아까워서 슬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