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장정일의 공부 - 장정일의 인문학 부활 프로젝트
장정일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6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장정일의 신간이 나왔다는 소식에 일단 기뻤다. 매우.
그런데... 이 책을 다 읽은 지금의 심정은....
착잡하기 그지 없다.
장정일의 오랜 팬으로서 그가 걱정된다.진정.
아......장정일, 돈이 없는가? 급전이 필요한가?
삼국지 인세만으로 부족한가?
도대체....왜 이렇게...왜 이렇게까지 망가지는가?
일단, 이 책은 <장정일의 독서일기 7>로 나왔어야 한다.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이 책의 부제목을 보고 쓰러지는지 알았다.
"장정일의 인문학 부활 프로젝트"
진정....실소 또는 쓴웃음을 자아내는 제목이다.
이런 "뻔뻔한" 제목을 떡~하니 붙일 수 있는 출판사...몇 안된다.
"랜덤하우스"가 이런 요란한 제목을 붙이는 건 당연하다.
베스트셀러 만들려면 무슨 짓을 못하랴?
랜덤하우스 홈피에 들어가보니 장정일의 <공부>가
<여자의 모든 인생은 20대에 결정된다>,<조영헌 살롱>,<타짜>,
<일본 100배 즐기기>와 나란히, 보기에도 다정하게
"Best Book"을 장식하고 있다.
<장정일의 독서일기 1~6>과 다르게
이 책은 "주제별"로 구성되어 있다.
시오니즘, 반미, 민족주의, 나치, 레드 콤플렉스, 촘스키, 박정희 등등...
촘스키 책을 몇권 읽고 쓴 독서일기 <촘스키와의 대화>를 읽으며
커다란 "모순"을 느꼈다.
우리가 살고 있는 민주주의의 세계는 이미 다국적기업에 의해 접수됐으며, 금융기관과 투자자는 실적적인 의회가 된 지 오래다.......(중략) ...다시 말해 국가는 대기업에게 재난이 닥쳤을 때 파산을 모면하기 위해 존재하며, 국가의 개입으로 다국적기업이 커다란 혜택을 보기 위해 존재한다.(p311)
이게 장정일의 의견인지,
촘스키의 책을 요약/발췌한건지는 모르겠지만,
("촘스키와의 대화"인지 또는 "촘스키 요약정리"인지)
장정일, 촘스키, 그리고 랜덤하우스는
참으로....어색한 조합이 아닐 수 없다.
장정일의 <공부>를 출판한 "랜덤하우스 코리아"는
"세계 최대" 출판사 랜덤하우스가 중앙M&B의 지분을 인수하면서
100퍼센트 순수 외국자본으로 만들어진 출판사다.
랜덤하우스의 모기업은?
"세계 최대" 미디어/출판 그룹 베텔스만.
"다국적 기업과 또 그것에 결탁하는 정치를 격렬하게 비난하는
촘스키"를 읽고 장정일은 울분을 토로한다,
또한 그 울분을 토로한 글로 세계최대 출판사 랜덤하우스의
수익증진에 기여한다.
아.....블랙코미디!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정일의 <공부>을 읽으며 느낀 커다란 실망과 배신감(?)에도 불구하고,
장정일의 다음 책이 나오면 또 살 것이다. 망설임 없이.
장정일의 오랜 팬으로서.
삼국지 10권을 집필하고,
김미화 언니랑 [TV 책을 말한다] 공동진행을 하고,
동덕여대에서 강의도 하고,
인문학 부활 프로젝트도 하고....
이제 외도는 질리게 하지 않았나?
장정일이 다시 소설을 쓸 수 있기를 바란다. 더 늦기 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