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후는 자신이 관심을 갖는 분야에 대해 무서울 정도로 집중하는 모습을 보인다. 그래서 돈질덕질사이에서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한다. 덕후인 사람과 아닌 사람의 차이는 자신의 시간과 돈, 열정을 투자할 만한 가치를 발견하느냐의 여부이다. 덕질 대상이 자신에게 돈이나 명예가 되어주지 않지만, 내 땀 흘려서 번 돈으로 무언가를 즐길 수 있을 때 제일 행복하다.

 

 

 

 

 

피규어 수집 덕후인 허지웅의 일상을 공개한 방송을 보면, 그의 덕후다운 면모를 확인할 수 있다. 제작진이 카메라를 설치하면서 피규어의 광선 칼을 부러뜨린 사실을 알고, 예민한 반응을 보였다. 책 덕후인 나로서 허지웅의 심정이 충분히 이해한다. 나는 책을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읽는 편이다. 필기 및 밑줄 치기, 종이가 접힌 상태를 싫어한다. 타인이 내 책을 읽다가 다 읽은 부분을 표시하려고 종이를 접으려고 하면, 그러지 말라고 정중하게 말한다. 책을 사자마자 버린다는 띠지도 버리지 않는다. 그것마저 없으면 뭔가 허전한 느낌이 든다. 그리고 띠지에 조금이라도 찢어진 부분이나 책갈피로 사용해서 생긴 접힌 표시도 싫어한다. 아주 별난 성격 탓에 동생은 내가 산 책에 손을 대지 않는다.

 

 

 

 

 

 

 

 

 

 

 

 

 

 

 

 

 

 

 

스태프가 피규어에 왜 이렇게 집착하는지?’를 묻자 허지웅은 어릴 때 장난감을 갖고 싶었는데, 엄마가 안 사줬다고 답했다. 덕후는 실리가 아닌 재미를 추구한다. 좋아하는 것을 소유하면서 생기는 원초적인 즐거움을 누리고 싶어 한다. 이 즐거움의 순간을 오랫동안 보존하면서 만끽하기 위해서 지나간 일을 포착하여 서사의 방식으로 재구성한다. 그래서 덕후들은 또 다른 덕후들고 모여 소통하며 덕질을 한다. 단순히 자신의 관심사를 소비하는 것뿐만 아니라 스스로 콘텐츠 생산자가 된다. 일반인이 덕후가 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준 사건이나 경험도 하나의 서사. 그 속에는 갈망이 아로새겨져 있다. 갈망에 대하여의 저자 수잔 스튜어트는 기념품이나 수집품을 갈망의 서사가 반영된 결과물로 본다. 갈망의 위력은 우리가 상상하는 것 이상이다. 일상적으로 친숙한 사례 하나를 들어볼까. 우리는 과거에 추억이 깃든 수집품을 쉽게 버리지 못한다. 행복했던 과거의 시간으로 돌아갈 수 없으므로 추억의 수집품은 과거의 흔적 역할을 해준다.

 

 

 

 

 

 

 

 

 

 

 

 

 

 

 

 

 

 

발터 벤야민은 열정적인 수집가로 알려져 있다. 그는 일상의 사물을 통해 세상의 특정한 모습에 생명을 불어넣는 이야기들을 모은다. 그가 모은 이야기들은 일명 수집가의 책상이라고 부르는 곳에 보관된다. 벤야민의 수집가의 책상은 사물들이 본래 가지고 있던 맥락에서 벗어나 자유로워진 이미지와 구상으로 재구성되고 재배치되는 세계이다. 그의 독특한 수집 방식은 하나의 서사적 실험이다. 파편적이고 쓸모없는 것들의 고유한 가치를 몽타주식 전개의 서사로 구축했다. 미완의 저서 아케이드 프로젝트는 그의 이러한 배움과 사유가 집약된 결과물이다. 벤야민의 서사 속에는 도시에 파편으로 흩어진 사유의 흔적들을 수집하고 싶은 갈망이 있다.

 

 

 

 

 

 

 

 

 

 

 

 

 

 

 

 

 

 

벤야민은 주인을 잃게 되면 수집의 의미가 상실된다라고 말했다. 덕후의 덕질은 쓸모없는 것 속에 잠재된 가치를 찾아내는 일이다. 에도가와 란포가 창조한 탐정 아케치 코고로는 자신의 하숙집 방에 서적을 가득 채운 이유를 인간을 연구하기 위해서라고 짤막하게 얘기했다. (에도가와 란포 전단편집 1‘D언덕의 살인사건’ 135~136) 나의 책 덕질은 책 자체를 연구하기 위한 일이다. 연구는 사물에 대해서 깊이 조사하고 이해하는 행위를 일컫는다. 나는 연구를 공부와 동등한 의미로 받아들이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연구하는 것을 전문가만 하는 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지난주에 허지웅이 나온 방송을 본 이후로 시간 나는 주말에 책 덕질이 하고 싶어졌다. 어젯밤 혼자 집에서 창고에 보관한 책 상자들을 개봉했다. 다행히 부모님이 집에 안 계셔서 가능한 일이었다. 상자에 갇힌 책을 조심스럽게 꺼냈다.

 

 

 

 

 

 

 

 

 

 

 

다행히 한 권 빼고는 상태가 좋았다...

 

사실 <내 서가 속 창비 이벤트>에 응모하려고 몇 개월 만에 책이 담긴 상자들을 열어봤다. 창고에 보관한 지 4개월 만에 상자에 손을 댔다. 그런데 내가 찾으려는 창비 책은 상자 안에 없었다. 집에 있는 책들이 몇 권 있는지 조사를 다시 시작해볼 예정이다. 목표는 올해 안에 정서 목록 완성하기.

 

 

 


댓글(14) 먼댓글(1) 좋아요(3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나는 책덕후가 아니다
    from 마지막 키스 2016-10-11 08:42 
    오늘 아침에 cyrus 님의 글을 읽고(먼댓글로 연결되어 있음) 예전부터 알고 있었던 걸 다시 한 번 깨달았다. 나는 책덕후가 아니다 ㅎㅎㅎㅎㅎ나는 책을 읽다가 밑줄도 긋고, 접기도 한다. 그리고 책을 잘 빌려주는데, 돌려 받지 못한 경우도 많다. 그래서 [새벽 세시, 바람이 부나요?]는 몇 번이나 샀는지 모른다. 아니, 빌려가면 왜 안돌려줘? 특히나 회사 동료들은 빌려 갔다가 퇴사하는 경우가 생기는데, 돌려주고 퇴사해라... 아..또 이렇게 쓰려는 거
 
 
AgalmA 2016-10-10 20: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마다 다른 속도로 도시를 걷고 있는 이들의 걸음은 각자 개인적인 이동성을 기록하는 손글씨와도 같다.
p20 수잔 스튜어트 <갈망에 대하여>

덕질에 대해 가볍게 읽을 책인 줄 알고 접근했다가 집중해서 읽어야 되는 책이구나! 생각하고 시간날 때를 생각해 묵혀두고 있는 책^^; 저 문장 포스가 계속 이어짐;;

cyrus님 카운팅 기대되는데요^^

cyrus 2016-10-10 20:04   좋아요 1 | URL
Agalma님. 저 그 책 도서관에 빌려 읽었는데 다 못 읽었습니다. 책의 부제 때문에 낚인 기분이 들었습니다. 생각보다 문장이 어렵게 느껴졌습니다. 오히려 벤야민의 글이 이해하는데 더 쉬워 보였습니다. ^^

AgalmA 2016-10-10 20: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공감^^ 대중교양서보다 인문철학에 더 가까운.

cyrus 2016-10-10 20:10   좋아요 2 | URL
덕후들이 다가갈 수 있는 덕후들을 위한 책이 많이 나왔으면 좋겠어요. 다른 덕후들의 세계를 보는 것만으로도 재미있어요. ^^

붉은돼지 2016-10-10 20: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책은 이제 어느정도 모으고 있지만 프라모델이나 피규어를 보면 아직도 가슴이 벌렁벌렁거립니다. 그동안 꽤 많은 프라모델을 조립했지만 조카들이나 딸아이 손에 다 사지가 찢어져 산화하고 남은 것은 몇 개 없어요..ㅜㅜ

얼마전에 구입한 신의 전사들도 보이는군요 ㅎㅎ

저는 서가에 수용못한 책들 옷장안에 보관하고 있습니다. 머지않아 박스에도 좀 넣어야 할 것 같아요 ㅜㅜ

cyrus 2016-10-11 10:15   좋아요 0 | URL
떨리는 마음, 그 기분 저도 알겠습니다. 제가 붉은돼지님처럼 책을 보관하면 어머니가 반대하실 겁니다. ㅎㅎㅎ

yureka01 2016-10-10 20:5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어느 집을 방문 했을 때 책장에 책이 빼곡히 있으면 그렇게 기분이 좋을 수가 없더군요....

cyrus 2016-10-11 10:17   좋아요 0 | URL
네. 남의 집에 방문할 때 제일 먼저 보는 것이 책장입니다. 책장을 구경하다가 제가 원하던 책이 있으면 가지고 싶은 생각이 들어요. ^^;;

아무 2016-10-10 21: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예전엔 저도 엄청 깨끗하게 보는 편이었는데 요즘은 밑줄도 긋고 접기도 하면서 읽습니다. 안 그러면 기억을 못 하겠더라구요.. 근데 2-3년 정도 되니까 이젠 밑줄치면서 안 읽으면 집중이 안 돼요. 도서관 책 읽을 때 엄청 난감해져서... 밑줄 그으면서 보고 난 뒤에 지우개로 박박 지우고 있습니다..^^;;

cyrus 2016-10-11 10:20   좋아요 0 | URL
저는 책에 밑줄을 긋지 못해서 중요한 문장이 있는 쪽수를 메모합니다. 그래서 책 한 권 읽으면 옆에 메모장이 있어요. 책을 다 읽으면 메모한 쪽수의 문장들을 워드로 입력해요. 번거로운 과정입니다. 시간이 좀 오래 걸려요. ^^;;

다락방 2016-10-11 08:0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는 이 포스팅을 보면서 확실히 깨닫습니다. 저는 책덕후가 아닙니다 ㅎㅎ
저는 그냥 책 읽는 걸 재미있어할 뿐이지, 덕후랑은 거리가 머네요.
저는 책 접기도 밑줄긋기도 하고 막 빌려주고 난리가 나요. ㅎㅎㅎㅎㅎ 게다가 오래 되어서 낡은 책은 그냥 다 팔아버림요. 책벌레 생길까봐....

cyrus 2016-10-11 10:23   좋아요 0 | URL
책 읽는 것을 재미있게 생각하신다면 다락방님도 책 덕후입니다. 덕후 본능은 모든 사람들의 마음에 있는 거랍니다. ㅎㅎㅎ

저도 안 보는 책이 있거나 급전이 필요하면 중고매장에 팔아요. 그런데 책 한 권을 팔 것인지 말 것인지 고민하는 데 오래 걸려요. 이 순간만 되면 결정 장애가 옵니다. ^^;;

transient-guest 2016-10-12 05: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책을 박스에 보관할 때엔 주의가 필요합니다. 잘못하면 책등이 휘고, 뉘여 보관하면 무게에 눌려 책이 얇아지기도 합니다. 책장에 잘 꽂아놓아야 하는데, 그게 쉽지 않네요.ㅎㅎ

cyrus 2016-10-12 17:32   좋아요 0 | URL
책을 박스에 담는 일을 많이 해보지 않아서 어설픈 과정이 있었습니다. 박스에 책을 잘 담는 일이 능사가 아니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