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수가 책을 읽지 않는 현실에서

 

 

 

평범한 알라딘 서재 글도 뮤즈가 될 수 있다. 특히 생각 거리를 심어주는 글은 또 다른 글을 위한 영감을 제공한다. 오늘 사월의책출판사 대표 안희곤 님이 페이스북 계정으로 쓴 글을 오거서(五車書)님의 소개로 읽었다. 필자의 단단한 사유와 정성이 묻어나 있는 글에 좋아요만 누르고, ‘잘 썼다라고 칭찬하면서 지나치기가 아깝다.

 

 

 

 

 

 

 

 

 

 

 

 

 

 

 

 

 

    

 

안희곤 대표의 글은 책 안 읽는 사회의 단면을 정확하게 보여줬다. 그의 말대로 오늘날의 책은 책 좋아하는 덕후들만 위한 골수취미 상품이 되었다. 애서가들은 책 안 읽는 사람보다 유난히 책을 소중히 여긴다. 과거에도 마찬가지였다. 책은 제작자나 소유자에게나 귀중한 물건이었다. 중세 사회에서 책을 소유한다는 것은 기독교 대중을 지배하던 두 계층, 즉 성직자와 귀족만이 누릴 수 있는 특권에 속했다. 따라서 책은 특권층의 전유물이 되었다. 18세기에 들어 읽을거리가 걷잡을 수 없이 늘어나자 독자와 책의 관계는 훨씬 자유로워졌다. 이때부터 20세기 초반까지는 종이책의 전성기였다. 20세기 중반 이후 정보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많은 정보를 소유하는 사람이 경쟁에서 유리한 고지를 차지했다. 독자는 사용자라는 개념으로 변화한다. 사용자는 독자와 완전히 다른 개념이다. 독자가 책을 읽는 사람이라면, 사용자는 꼭 책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 사람이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는 자신에게 필요한 책만 읽는 사람이다. 진짜 독자는 종이책을 향한 애정이 강하다. 일단 책을 사서 보려고 한다. 반면 사용자는 읽는 것이 힘들어서 책을 사지 않는다. 원하는 지식 및 정보는 구글 같은 검색 도구에 찾으면 된다. 결국, 소수의 독자만이 종이책을 사서 모으는 덕후가 된다. 책은 책 덕후들의 전유물이 되었다.

 

 

 

 

 

 

 

 

 

 

 

 

 

 

    

 

 

 

이쯤 되면 책 안 읽는 사회가 정말 심각하다는 걸 깨닫는다. 그런데 안 대표가 너무나도 뻔한 문제를 강조하려고 길게 글을 썼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책 안 읽는 현상만큼이나 심각한 것이 책을 무기로 삼은 가짜 식자들이 넘치는 현실이다. 책의 역사를 되돌아보면 책을 향한 애서가들의 뜨거운 열정만 숨 쉬고 있는 것이 아니다. 그 열정을 파괴하는 차가운 광기도 흐른 적이 있었다. 앞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책은 귀족 같은 특권층의 전유물이라고 했다. 그들은 책(지식)뿐만 아니라 권력도 가졌다. , 책을 소유한 자가 세상을 지배한다. 권력자들은 책의 위력을 알고 있었다. 자신들만 가지고 있던 지식의 무기가 피지배층의 손에 쥐어지면, 자신들의 목숨을 위협하는 흉기가 된다는 것을. 그래서 권력자는 진실을 가리거나, 더 편하고 쉬운 통치를 위해서 책을 없애기 시작했다. 권력자들은 종교, 국가, 미풍양속 등을 거스른다고 '위험한' 책들을 금서로 만들었다.

 

시대가 변하고, 권력 변동이 수차례 이루어지면서 이제 지식인들이 지식 권력자가 되었다. 국가 권력자들은 과거처럼 책을 가지지 않아도, 책을 읽지 않아도 된다. 그들을 대변하는 지식 권력자들이 있으니까. 지식 권력자들은 국가권력을 동원해서 자기 사상을 강요한다. 심지어 자신들의 이념과 다른 책을 금서로 지정한다. 진시황이나 히틀러의 시대에 있을 법한 일이 우리나라에도 일어났다. 이제는 교과서마저 마음대로 바꾸려고 시도한다.

 

지식을 왜곡하고, 자기 입맛대로 통제하는 이들에게 대항할 수 있는 유일한 무기가 바로 책이다. 안 대표는 독서로 키운 분별심이 대항적 지식이라고 말한다. 분별력은 올바른 시민 정신과 도덕적 행동을 위해 선약을 구별하는 능력이다. 옳고 그른 지식을 분별하는 능력이 없으면, 문제점을 날카롭게 포착한 비판이 비난으로 보이고, 자기 이익을 위해 움직이는 국가 권력 및 지식 권력의 결점을 보지 못한다. 페미니스트가 쓴 책을 한 번도 안 읽은 사람은 페미니즘을 남성을 위협하는 사상으로, 자본론을 읽어본 적이 없는 사람은 마르크시즘을 북한이 좋아하는 사상으로 여긴다. 단순한 생각이지만, 책을 멀리하여 분별력이 없는 사람들이 편견에 빠지기 쉽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안 대표의 표현을 빌리자면 이들은 공감불능의 괴물로 변한다.

 

나는 책 읽는 사람들이 많은 사회가 올 거라는 낙관적 희망에 반대한다. 앞으로는 책보다 재미있는 것들이 계속 나온다. 책 읽는 사람들이 많아진다고 해서 사회 전체가 건강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좋은 책을 읽고 지식을 얻는 것은, 남을 업신여기기 위한 것은 아니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 에픽테토스가 했던 말이다. 이 말에 내 생각을 덧붙이자면 책은 남에게 자랑하기 위한 것도 아니다. 책 읽은 권수는 중요하지 않다. 독서로 단련한 분별력은 보여주기식 지식의 차원이 아니라 삶 속에서 실제로 실천해야 한다. 안 대표의 글이 대충 읽으면 안 되고, 끝까지 정독해야 한다. 이 글의 핵심 내용은 후반에 나와 있다. 반성 의식과 비판 의식을 키우지 않는 독서는 위험하다.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4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yureka01 2016-09-01 20: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분별할 수 없으니 음주 경찰청장도 나오는 시대가 된 거예요......
새로운 문맹자 시대가 아닌가 싶습니다...ㄷㄷㄷㄷ

cyrus 2016-09-01 21:02   좋아요 1 | URL
요즘 시대가 이미지 텍스트가 대세라고 해도 문자 텍스트의 가치는 여전히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간결하고 금방 이해할 수 있는 이미지 텍스트 읽기에 익숙해지면 문자 텍스트를 이해하는 반응 속도가 느려질 겁니다. 그렇다 보니 긴 글을 끝까지 못 읽고 말아요.

초딩 2016-09-02 00: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통치자들이 좋아하는 것 같아요. 많은 사람들이 스스로 즐겁게 문맹의 길을 걷고 있어서 ㅜㅜ

cyrus 2016-09-02 10:37   좋아요 1 | URL
그래서 국회의원들이 도서정가제 도입을 찬성했던 걸까요? ^^;;

transient-guest 2016-09-02 05: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다수는 점점 더 바보가 되어가는 느낌입니다

cyrus 2016-09-02 10:38   좋아요 1 | URL
다수의 바보 때문에 이성을 가진 소수가 바보 소리 듣는 이상한 세상입니다. ㅠㅠ


stella.K 2016-09-02 12: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정말 좋은 글이다.
책도 알고보면 가치중립적인 것 아니겠어?
칼을 누가 쥐느냐와 같은 거겠지.
이 책들 읽어보면 좋겠네.
이달의 페이퍼다!

cyrus 2016-09-02 14:42   좋아요 0 | URL
예스24로 책을 주문했는데 아직 안 왔어요. 2~3일 이내에 배송된다는데 늦으면 다음 주에 받을 것 같아요.

페크pek0501 2016-09-02 14: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느 동화에서 보니 아버지가 아이에게 책을 읽지 말라며 컴퓨터로 지식과 정보를 얻을 수 있는데 많은 시간을 들여야 하는 책을 읽는 건 시간 낭비라고 하더라고요. 긴 사고의 과정을 거치지 않은 짧은 지식과 정보가 무슨 소용이겠나,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중요한 건 지식의 양이 아니라 생각의 힘이다, 라는 말이 생각나네요.

cyrus 2016-09-02 14:47   좋아요 0 | URL
실제로 아버지가 저런 얘기했으면 자녀 교육을 몰라도 너무 모르는 겁니다. 아이가 혼자 책을 읽는 것보다 부모와 같이 소리 내서 읽는 것이 아이 두뇌 발달에도 좋고, 친화력이 향상된다고 합니다.

집에 아이 혼자서 책과 스마트폰을 들여다보면 사람들과 어울리지 못합니다. 자신의 세계에 갇혀 지내는 자폐 증상이 보일 수도 있어요.

나뭇잎처럼 2016-09-07 20:0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독서로 단련한 분별력은 보여주기식 지식의 차원이 아니라 삶 속에서 실제로 실천해야 한다.˝ 밑줄 쫙 옆에 별표 치고 싶은 말입니다. 요즘 나오는 독서관련 책들을 보면 ˝많이 읽어서 성공하기˝인 책들이 많더군요. 안 읽는 것도, 군림하기 위해 많이 읽는 것도 모두 위험하긴 마찬가지인 것 같아요.

cyrus 2016-09-08 08:32   좋아요 0 | URL
독서를 `삶에 실천`하는 의미가 굉장히 어려워보여도 쉽게 생각하면 어려운 일은 아니라고 생각해요. 어떠한 관점에만 치우치지 않기. 서로 상반된 양쪽 입장의 장단점을 살펴보고, 의견을 드러내는 것. 살면서 겪는 이런 복잡한 상황들에 대처하려면 책을 잘 읽어야해요. 물론 책 많이 읽어도 편견에 사로잡히는 사람들도 있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