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의 한국현대사 - 1959-2014, 55년의 기록
유시민 지음 / 돌베개 / 2014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1988년 하면 무슨 장면이 떠오르시는가. 하나씩 열거하면 너무나도 많다. 88올림픽의 굴렁쇠 소년, 대학가요제 무대에서 ‘그대에게’를 열창하던 젊은 마왕 신해철의 모습이 떠오를 것이다. 이제는 찾아보기 어려워진 추억의 물건들이 생각날 수 있다. 오백원짜리 지폐, 연탄보일러, 석유곤로, 워크맨 등이 우리 가슴 속에 있는 아날로그 향수를 불러일으킨다. ‘유전무죄, 무전유죄’라는 말을 남긴 강력범 지강헌의 인질극도 잊을 수 없다. 씁쓸하지만, 권력형 범죄자들이 아직도 사라지지 않고 있으니 ‘유전무죄, 무전유죄’는 아직도 진행형이다.
지강헌 인질극이 당시 사회에 크나큰 충격을 줘서 그렇지, 그 해에 커다란 파장을 불러일으킨 또 하나의 사건이 일어났다. 이 사건을 기억하는 사람을 얼마나 될까. 1988년의 정서를 거의 완벽히 재현했다고 호평을 받은 ‘응팔’ 드라마 제작진들도 모를 것이다. 그런데 이 사건을 유시민은 기억하고 있었다. 그리고 자신의 책 《나의 한국현대사》에 우리가 잊어선 안 될 그 사건을 ‘소환’했다.
문송면 사망 소식을 보도한 동아일보 (1988년 7월 2일 자)
점점 다가오는 서울 올림픽 개막식에 국민이 들떠있던 1988년 7월. 15살 소년이 세상을 떠났다. 소년의 이름은 문송면. 사인은 수은중독. 문송면은 혼자 상경하여 수은을 온도계에 넣은 작업을 진행하는 공장에 일했다. 문송면은 마음이 성숙한 소년이었다. 없는 집안 살림에 고생하는 부모님의 고통을 덜어주고 싶어서 중학교 졸업을 포기하고 자립 생활을 시작했다. 그러나 공장에 다닌 지 두 달 만에 문송면의 건강이 나빠졌다. 심각한 수은중독으로 인해 손발이 마비될 정도였다. 문송면은 서울대병원에 입원해 치료받았으나 공장은 그의 병을 산재로 인정하지 않았다. 이 사건의 파문은 컸다. 심각한 청소년 노동 현실이 폭로된 것이다. 일을 시작한 지 두 달 만에 중금속 중독으로 죽을 수밖에 없었던 열악한 공장 환경 문제가 여론의 도마 위에 올랐다.
문송면의 죽음이 세상에 알려지자 원진레이온 이황화탄소중독 직업병 피해자들이 대책위원회를 구성했다. 원진레이온 사건은 1981년에 일어난 국내 최대의 직업병 사건이다. 원진레이온은 박정희 대통령이 공장 기공식에 참여할 정도로 제1차 경제개발 역점사업에 참여한 인조견사 생산 공장이었다. 원진레이온 노동자들은 이황화탄소의 위험성을 모른 채, 장시간 동안 일을 했다. 회사는 노동자들을 위한 안전 대책을 마련하지 않았다. 이황화탄소에 노출된 노동자들이 신체마비, 정신이상 등의 증상에 시달렸다. 1988년이 돼서야 원진레이온 노동자들의 이상 증상의 원인이 직업병이라는 사실이 알려졌다. 그러나 노동부는 회사에 ‘무재해 기록증’을 발급했고, 회사는 피해 노동자들의 산재신청을 거부했다. 열악한 노동환경의 실태가 알려지게 되자 통일민주당 소속 국회의원이었던 노무현 등의 야당 의원들이 진상조사를 실시했다. 원진레이온 피해자들이 서울 올림픽 성화 봉송 행사를 막으려고 하자, 정부는 태도를 돌변하여 피해자들의 호소를 들어주기 시작했다. 이 사건을 기점으로 안전과 작업환경에 대한 문제의식이 싹텄다.
20년이 지난 사이, 한국은 많이 발전했다. 일반적으로 경제가 발전하면 노동 환경도 좋아지기 마련이다. 하지만 20년 전에 견줘 노동조건이 개선된 것은 사실이나, 아직도 열악한 작업 환경에서 일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삼성전자나 한국타이어 등 많은 대기업에서 노동자들이 암에 걸려 숨지거나 폭발사고 등으로 희생되고 있다. 십 년이 넘는 직업병 고통은 우울증이나 정신질환을 가져와 자살 등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환자를 돌보는 가족도 고통의 나날을 보낸다. 20년 전이나 지금이나 정부는 노동자·민중의 안전과 건강보다 성장이 중요하다. 우리나라에서 노동자가 직업병 인정을 받기란 정말 어렵다. 기업을 옹호하는 우파들은 노동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큰 영향을 끼친 역사를 불편하게 생각한다. 근현대사 교과서에 소개하는 유명한 노동자는 전태일이 유일하다. ‘근로기준법을 준수하라!’고 외쳤던 전태일의 절규에 우리 사회는 응답하지 않고 있다.
1988년 전국에 알려진 소년은 두 명이었다. 어느 소년은 사회의 음지 속에서 일하다가 세상을 떠나고 말았고, 두 달 뒤에 한 소년은 푸른 잔디밭을 달려가며 굴렁쇠를 굴렀다. 밝음이 있으면 어둠이 있고 빛이 있으면 그림자가 있다. 사회도 마찬가지다. 어떤 사회든지 어두운 이면이 있기 마련이다. 단지 그것에서 눈을 돌려 밝은 면만 보려는 사회가 있고, 반면 그늘진 곳에 더 빛을 비춰 문제를 해결하려 노력하는 사회가 있다는 차이가 있을 뿐이다. 어두운 이면을 감추거나 그로부터 고개를 돌린다고 문제가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