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독서의 기쁨 - 책 읽고 싶어지는 책
김겨울 지음 / 초록비책공방 / 2018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북튜브(Booktube)는 ‘책’과 ‘유튜브’의 합성어로 책과 관련된 콘텐츠를 다루는 유튜브 채널을 뜻한다. 이 채널을 운영하는 사람을 ‘북튜버’라고 한다. 현재 가장 유명한 북튜브는 ‘겨울서점’이다. 겨울서점의 운영자는 지금까지 세 권의 책을 펴낸 작가인 김겨울 씨다. 사람들은 이제 ‘싱어송라이터 겸 북튜버 김겨울’보다는 ‘작가 겸 북튜버 김겨울’이라고 부르는 게 더 익숙하다.
작년에 나온 김겨울 작가의 첫 번째 책 《독서의 기쁨》을 읽고 리뷰를 쓰는 것이 좀 늦은 감은 있다. 나는 다른 독자들에 비해 신간도서에 대한 반응이 둔한 편이다. 어떤 독자들은 신간 도서 출간 소식을 접하자마자 이 책에 관심 있다는 식으로 블로그에 소개한다. 그런데 새 책에 관심이 있다면서 정작 그 책에 관심 쏟은 것에 대한 기록(서평, 리뷰)을 남기는 독자는 그렇게 많지 않다. 그들은 새 책이 나오는 데만 너무 관심을 보여서 책 읽을 시간이라든가 리뷰를 쓸 시간이 없던 것일까? 새 책을 소개하는 일에 몰두한 독자들의 글은 ‘읽지 않은 책에 대한 이야기’다. 물론, 이 글도 장점이 있다. 신작을 소개하는 글을 쓰는 블로거는 신작에 관심 가질 시간이 없는 독자들을 위해 정보를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그들의 ‘책 소개’만 가지고는 독자들이 이 책을 읽을 만한 건지 판별하기 어렵다. 어떤 블로거는 온라인 서점이나 출판사의 홍보 문구를 그대로 인용하면서 신간도서를 소개한다. 나는 그들에게 묻고 싶다. “책을 직접 살펴보면서 소개한 거 맞아요? 그렇게 책을 편하게 소개하니까 좋으세요?” 최소한 완독은 아니더라도 책을 직접 만져보면서 이리저리 살펴보고 난 뒤에 독자들에게 권하고 것이야말로 책을 올바르게 소개하는 방식이다. 사람들은 신간 도서 소개를 열심히 하는 블로거를 부지런하고 책을 좋아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책을 직접 보지도 않고, 출판사가 만든 책 홍보 문구를 베껴서 쓰는 것은 근면과는 거리가 멀다. 그런 사람은 부지런한 게 아니라 게으른 것이다. 그들이 정말 새 책에 관심이 많다면 당장 서점에 가서 직접 살펴보거나 책을 주문해서 훑어보는 일 정도는 해야 한다. 발품 드는 일을 하지 않으면서 신간 도서를 무조건 ‘좋은 책’이라고 소개하는 것은 떳떳하지 못하다. 아마도 신간 도서를 소개하는 글을 자주 쓰는 사람들은 자신이 책을 읽지 않고도 책을 좋아하는 사람으로 인정받을 수 있어서 뿌듯해할 것이다. 과연 이런 사람들은 정말 책에 관심이 있는 것일까, 아니면 책을 매개로 해서 다른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싶은 것일까?
김겨울 씨의 책을 소개해야 하는데, 갑자기 신간 도서를 소개하는 블로거를 비판하는 목소리가 튀어나오고 말았다. 그런데 내가 앞서 말했던 것은 《독서의 기쁨》 리뷰와 전혀 무관한 입장이 아니다. 홍보, 칭찬 일색의 책 소개를 하는 블로거들이 많아지면 겨울책방과 같은 북튜브가 더 큰 인기를 얻게 될 것이다. 겨울책방에 향한 사람들의 반응이 뜨거웠던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내가 겨울책방을 좋아하는 이유는 그녀의 방송이 신뢰감을 주기 때문이다. 겨울책방 구독자들도 그렇게 느꼈을 거로 생각한다. 그녀의 방송을 보면 자신이 직접 구입한 책이라든가 출판사로부터 받은 책을 만져보고, 훑어보면서 책을 소개한다. 김겨울 씨는 ‘책에 대한 애정’, ‘책을 읽는 노력’, ‘신뢰감’, 이 삼박자가 고루 갖춘 매력을 지닌 북튜버다. 이러한 매력은 그녀의 방송을 본 구독자와 이제 막 책을 읽기 시작한 초보 독자들의 지지를 얻게 만드는 비결이다.
《독서의 기쁨》을 읽으면 책에 대한 작가의 애정이 고스란히 느껴진다. 특히 책의 1부의 첫 번째 주제인 ‘물성(物性)’은 종이책에 익숙한 독자라면 공감하지 않을 수 없다. 종이책의 물리적 속성에 대한 작가의 이야기를 읽었을 때 나는 한 번 읽고 만 책들을 다시 만지고 싶은 마음이 생겼다. 만약 나와 같은 독자가 있다면, 과거에 만난 책을 살살 어루만지다가 어느덧 그 책을 펼쳐서 읽는 자신의 모습을 보게 될 것이다. 그래서 《독서의 기쁨》의 부제가 ‘책 읽고 싶어지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