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을 오랫동안 사랑했어요
그가 힌트를 주는 방식
을지로 전주집 삼겹살집에서는 파절이 위에 계란 노른자를 띄워준다. 계란 노른자를 젓가락으로 톡- 터뜨려서 파절이와 함께 섞고, 그 파절이와 함께 구워진 삼겹살을 먹으면 한없이 고소하다. 익힌 콩나물과 양념한 부추무침도 함께 내어주는데, 그것들까지 삼겹살과 한데 구워, 상추에 고기며 마늘, 파절이, 콩나물과 부추를 넣고 쌈을 싸면 한 입 가득이다. 때때로 너무 커서 숨이 넘어갈 것도 같다. 그런데 그 맛이 일품이라, 나는, 도무지 그 삼겹살집을 끊을래야 끊을 수가 없다.
추운 겨울날이었다. 추운 겨울날, 외출하기 전, 집에 홀로 있는 시간이 조금 됐다. 내게는 드문 시간. 속이 허했고, 그보다는 마음이 허했다. 나는 계란 두개를 꺼내 계란후라이를 한다. 당연히 반숙으로 한다. 접시에 건져 내어 소금을 살살 뿌리고 포크를 들어 노른자를 톡- 터뜨린다. 그리고는 접시를 턱까지 갖다 대고 후루룩- 계란을 마신다. 흰자는 물론 포크로 찍어서 오물오물 씹는다. 입안이 따뜻해지고 마음이 따뜻해진다. 톡 터지는 계란 노른자는 그 자체만으로도 위로다.
여기, 외롭고 추한 한 영혼이 나처럼 계란 반숙을 좋아한다. 그가 좋아하는건 삶은 계란 반숙. 계란 반숙은 그에게 마치 우주와 같다.
|
|
|
|
"반숙은 달걀 그 이상이지. 내게는 하나의 작은 우주라네. 작은 우주 말이야." (p.20) |
|
|
|
|
현실에서의 소심한 영혼인 나와, 책 속에서의 잔인한 영혼인 그가 반숙을 좋아한다.
이 책속에는 외로운 영혼들이 등장한다. 타인을 사랑할 줄 모르는 외로운 영혼과 타인을 사랑하면서도 외로운 영혼. 왜 우리는 누군가를 사랑하지 않아도 외롭고, 누군가를 사랑해도 외로운걸까.
|
|
|
|
원래도 뭘 그리 많이 드시는 양반은 아니었지만 그때부터 음식에 손도 대지 않을 때가 많았어. 그냥 내게 손짓을 해 보이시면 차려놓은 상을 그대로 물리기 일쑤였어. 아니, 어쨌든 사람이 물과 공기만 마시고 살 수는 없는 거잖아! (p.67) |
|
|
|
|
마을의 검사 데스티나의 집에 마을의 여선생이 살게 되면서, 검사는 물과 공기만 마시고 살 수 있는지 실험이라도 해보려는 것처럼 음식에 손을 대지 못한다. 그가 하는 일이라곤 그녀를 우연히 만나게 되는 걸 기대하는 것 뿐.
|
|
|
|
일요일에 아가씨가 외출을 하려고 하면 그녀와 우연히 마주친 척하려고 무던히 애를 쓰셨어. 어쩌다가 만난 것처럼 보여도 그게 다 우연이 아니었다니까. 적절한 시점을 기다렸다가 아무렇지도 않은 듯 박차고 나가는 걸 한두 번 본 게 아니야. (p.68) |
|
|
|
|
이 책은 정말 너무 슬프다. 격하게 어느 한 순간 슬프게 하는게 아니라 읽는 내내 줄곧 슬프다. 한명 한명의 외로움이 손에 잡힐 듯 느껴진다. 그래서일까, 얇은 책인데도 책장은 쉽게 넘어가질 않는다. 이 책을 읽는데 예상하지도 못하게 시간이 걸린다. 바로 밑에 쓰여지게 될 인용문에서는 아, 한숨이 가득 나온다.
"나도 기억이 안 나. 더 이상 내 안에 그 얼굴이 없어.... 가끔씩 그 얼굴을 찾아보려 애쓰면 다가오는 듯하다가 지워지고 아무것도 남아 있지 않아. 그럴 때면 내 뺨을 때리고 나 자신을 꾸짖어."
"바보, 왜 그러는데?"
"우리가 사랑할 때의 그녀 얼굴이 더 이상 생각이 안 나니까. 난 개새끼야."
조세핀은 어깨를 으쓱했다.
"개새끼도 성자도, 난 한 번도 본 적이 없어. 완전히 시커먼 것도 없고, 완전히 새하얀 것도 없어. 있는 건 회색뿐이야. 인간들도, 그들의 영혼도, 다 마찬가지지. 너도 회색 영혼이야. 우리 모두처럼 빼도 박도 못할 회색이지."
"말이란 것도 전부...."
"말이 네게 뭔데?" (p.122)
죽은 아내의 얼굴을 기억하지 못해서 그는 자신의 뺨을 때리고 개새끼라고 한다. 난 내가 사랑하는 사람과 오래오래 함께 있고 싶고, 설사 헤어진다고 해도 나를 잊지 않아줬으면 하지만, 나를 언제까지고 기억해주고 추억해줬으면 하지만, 나를 잊었다고 해서, 내 얼굴을 기억하지 못한다고 해서, 그가 스스로를 원망하지 않기를 바란다. 자신의 뺨을 때린다거나, 자신에게 개새끼라고 욕을 하지는 않았으면 한다. 나 따위, 그래, 잊어도 된다. 대신에 당신은 더 행복해지기를.
필립 클로델이 하고자 하는 말들을 내가 이해하지 못할게 하나도 없었다. 그에게도 삶은 예측 불허인 모양이다.
인생이란 참 기이하다. 삶은 예측 불허다. 분별할 만한 틈도 주지 않고 한데 뒤엉키고, 은총의 순간인가 싶으면 피비린내 나는 순간이 닥친다. 늘 그런 식이다. 인간은 길가에 놓인 작은 조약돌 같다. 기나긴 세월 동안 한자리에 박혀 있다가 아무런 이유도 없이 어느 떠돌이의 우연한 발길질에 냅다 날아가는 조약돌. 그런 돌이 도대체 무엇을 할 수 있다는 말인가? (p.153)
필립 클로델의 다른 작품 『무슈린의 아기』에서도 전쟁 때문에 아파야 하는 사람들이 등장한다. 필립 클로델은 자꾸만 얘기하고 싶어한다. 전쟁이 사람을 얼마나 아프게 하는지를. 이 책에서도 그는 전쟁에 대해 말하는 것을 잊지 않는다.
행복이란 게 별것 아니다. 가끔은 실 한 가닥, 팔 한쪽에서도 행복을 얻는다. 전쟁, 그것은 꼬리가 머리에 붙은 괴물이다. 그래서 전쟁은 팔 병신을 세상에서 제일 행복한 사내로도 만든다. (pp.156-157)
필립 클로델이 하는 모든 말들에 귀를 기울여야지. 그는 허투로 말하질 않는다. 그가 하는 이 말, 가슴 시린 말, 공감 되는 말, 공감되서 가슴 시린 말, 당신이 내게 답장이 뜸한 이유는 무엇일까? 나는 당신을 알 수가 없다. 당신이 나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나는 결코, 알 수가 없다. 벚꽃은 지고 진달래가 지천이다. 볕이 좋다. 그래도 당신이 나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알 수 없는 시간을 보낸다는건 여전히 춥기만 하다.
답장이 왜 그렇게 뜸했을까? 시간이 없어서? 장소가 마땅찮아서? 아니면, 그럴 마음이 없어서? 타인이 우리에게 어떤 의미인지는 알아도, 타인이 우리를 어떻게 생각하는지는 결코 알 수 없다. 그녀가 바스티엥을 사랑했듯이 그도 리지아를 사랑했을까? 아마 그랬을 거라고 믿고 싶지만, 결국 나로서는 확실히 알 수 없다. (p,232)
외롭고 쓸쓸하며 내다 버리고 싶은 기분들이 수시로 찾아드는 봄날을, 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