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탁기를 돌리다 물이 끊겼다. 느닷없는 단수다. 세탁기는 물을 토해내고 그 빈 공간에 다시 물을 담아내지 못해 멈춰 섰다.

현관문을 열고 집에 들어선 후 문을 닫으면 세상과 멀어지는 느낌이다. 갑작스런 단절이다. 바깥 세상의 공기를 다 뱉어내고 방 안에 홀로 누우면 나만의 세상이다. 고립이다. 누군가를 그리워하거나 생존하기 위해서 관계를 맺어야만 하는 스트레스로부터의 탈출이다. 즉 자발적 고립이자 기꺼운 고립이다.

하지만 돌지 못하는 세탁기가 알려준다. 고립이라고 생각하는 그 순간에도 우리는 어딘가에 잇닿아 있다는 것을. 예고되지 않은 단수는 어디에선가 상수관이 파손되면서 긴급 복구를 위해 급수관을 잠가 벌어진 일이다. 문 밖의 갑작스런 사태 하나가 집 안의 세탁기를 멈춰 세운 것이다. 절대 고립은 없던 것이다. 시간이 지나 다시 물을 채운 세탁기가 돌기 시작한다. 세상은 그 어느 순간에도 서로 이어져 있음을 알려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큰 물통에서 작은 물통으로 물을 옮길 때면 살짝 긴장한다. 혹시나 물을 흘릴까봐 조심스럽다. 너무 조심스러워서 살짝 물통을 기울이면 물이 힘없이 흘러나온다. 작은 물통의 입구로 들어가지 못하고 물통을 적셔버린다. 그렇다고 벌컥 쏟으면 물은 입구로 들어가지 못하고 흘러넘친다. 적절한 힘의 분배가 필요하다.

작은 물통이 투명하지 못할 때는 언제 물이 찼는지를 알지 못한다. 대충 가득 찰 거라 예상되는 부분에서는 점차 물을 따르는 속도를 줄였다가 넘치기 직전 멈춰야 한다. 즉 예의주시하고 있지 않으면 물은 넘쳐버리는 것이다.

누군가에게 애정을 쏟아붓는 것도 이와 마찬가지 아닐까. 너무 조심스러우면 애정이 담기지 못하고 너무 과하면 마음에 담기지 못하고 넘쳐흘러 낭패를 당하기 십상이다. 사람의 마음이란 눈에 보이지 않아 항상 예의주시해야 한다. 마음을 읽으려 노력하지 않고 애정만 쏟아붓다가는 넘쳐흘러버린 애정 탓에 눈살만 찌푸릴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인생을 살다보니 미워하는 사람이 생기더라. 싸워 물리쳐야 하는 적과는 조금 다른 미운 사람. 적 보다도 더 증오할 때도 있지만.

 

드라마 <육룡이 나르샤>에서 이방원은 화사단의 초영을 향해 이런 말을 한다. “적을 누구로 삼을 것인가? 인생에 있어서 적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일종의 협박같은 협상을 제안한다. 삼한 제일검을 적으로 두지 말라고 말이다.

웹툰 <송곳>에서는 구고신 소장이 “세상에 아군이랑 적군만 있는게 아뇨. 이도 저도 아닌 사람들이 우리 편이 아닌 건 문제 없지만 적이 되면 힘들어져.”

 

누구를 적으로 둘 것인가가 중요한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미워하는 사람이 생겨 마치 죽일 듯이 미워해보니 알겠더라. 누구를 미워하는냐 보다는 그저 미워하는 그 마음이 괴로움이 된다는 것을.

 

"모든 사람에게 예의를 다하고,

많은 사람에게 붙임성 있게 대하고,

몇 사람에게 친밀하고,

한 사람에게 벗이 되고,

아무에게도 적이 되지 말라"

-도종환의《사람은 누구나 꽃이다》중에서

 

 

‘미움받을 용기’를 말하지만, 누군가의 적이 되지는 말았으면 좋겠다.

미워하고 미움받는 거. 용기가 필요한 일이 아니라 지나가는 바람으로 여길 꾳같은 마음이 필요한 일이 아닐까. 미워하는 마음이 옅어질수록 괴로운 마음도 희미해져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주일이 되었다. 훈련하고 노역하고. 그래도 보릿고개에 먹을 걱정 안하고 사는 게 어디인가. 힘들지만 그래도 견딜만하다.

벌써 1년이 됐다. 이제 군졸로 사는 것이 조금은 익숙해졌다. 어떻게든 버텨내야 하는 게다. 훈련이야 하던 데로 하면 되는 거고, 노역도 요령이 생겨 가끔 게으름도 핀다.

어느덧 2년이 흘렀다. 밑에 신참들도 좀 있고 마음에 여유도 생겼다. 산적이나 도적떼들과의 격투, 가끔 벌어지는 사병들과의 전투에서 운 좋게 살아남았다. 그래, 살아남는 거다. 근데 조금 생긴 이 여유를 어떻게 보내야할까. 남들처럼 이바구를 까거나 노름이나 하며 시간을 때워야 할련지... 아유, 잠깐 바람이나 쇠어볼까. 어, 저기 누구야. 개똥이 아니야. 저 녀석 나랑 같이 들어온 녀석인데... “어이, 개똥이. 자네 지금 뭐 하는갠가?”

“어... 어, 그냥, 무술 훈련 중이야.”

“우리같은 졸따구들이 무술 연습해봐야 무에 소용있다고?”

“아니, 뭐. 그냥 살아남아야지. 내 자신은 내가 지켜야 하는 것 아니겠나.”

“언제부터 훈련해온거야?”

“글세. 들어오고 나서 얼마지나지 않아서부터 시작했으니 2년이 돼 가는군.”

“그래, 고생많네” 누가 알아주지도 않은데, 쩝. 개똥이 녀석 참...

 

오늘은 분위기가 심상치않다. 어라. 저건 길태미. 이런, 제길. 목숨이나 부지할 수 있을까. 삼한제일검을 우리 같은 졸따구들이 어떻게 상대할 수 있겠어? 도망가버릴까. 그럼, 남은 우리 가족까지 모두 죽겠지. 젠장. 재수에 옴 붙었군. 제발, 제발, 길태미. 이쪽으로만 오지 말아줘.

“내 길을 가로막는 자는 그 누구라도 목을 칠 것이다!”

길태미의 목소리가 섬뜩하군. 으.... 드디어. 이쪽으로 오느구나.

 

“어라. 너 일개 군졸이 어찌 내 일합을 막았느냐?”

“그냥... 엉겁결에.”

“그래, 네가 비록 일합을 막아냈지만 네 목숨을 구제하지는 못할 것이다.”

“어이, 이인겸 따깔이. 나랑 상대하지”

“뭐, 이..... 이놈!”

길태미가 다른 쪽으로 갔다. 휴 목숨만은 건졌구나.

다른 군졸들의 떼죽음 속에서 개똥이는 무릎에 힘이 풀려 털썩 주저앉는다.

 

※ <육룡이 나르샤>를 보다 길태미와 맞서야 하는 군졸들의 마음은 어땠을까 하는 괜한 상상이 들어 끄적여봤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수렵과 채집, 사냥으로 살아가던 인간이 어느 순간 농사를 짓기 시작했다. 이러한 변화를 농사가 편하고 수확이 많기 때문이라고 보아온 것이 일반적이었는데, 다윈의 유전학적 관점에서 바라보면 다소 다른 의견이 있다. 콜린 텃지가 쓴 <에덴의 종말 - 인간의 왜 농부가 되었는가>를 참조해 인간이 농사를 짓게 된 배경을 알아본다.

 

인류 화석을 살펴보면 농사를 짓게 된 시기부터 관절염과 허리 비틀어짐을 찾아볼 수 있다. 농사로 인해 그전 다양하게 먹었던 곡물, 열매, 채소의 종류가 단순화되면서 영양분도 불균형해졌다. 즉 농사를 짓는 것이 결코 편한 일이거나 무작적 득만 되는 일이 아니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인간은 본격적으로 농사를 짓게 된 것일까.

이는 기후의 변화와도 밀접하게 연관된다. 빙하기 전 온화한 기후 속에서 선호하는 식물이나 동물(고기)을 얻기 위해 취미로 농사를 지어오다 빙하기가 끝나면서 해수면이 상승함으로써 풍요한 땅을 잃게 돼 식량 공급이 늘어날 필요성이 생긴다. 즉 취미로 지은 농사 덕에 늘어난 인구와 해수면 상승으로 잃어버린 땅 탓에 수렵, 채집해 얻을 수 있는 식량이 줄어든 것이다. 인구는 늘고 식량은 줄어들다보니 단위 면적당 수확량을 많이 확보할 수 있는 농사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게 된 것이다. 농사를 지음으로써 더 많은 인구를 부양할 수 있게됐고, 이는 농사의 규모를 더욱 키워야 하는 순환의 고리를 만든다.

즉 농사를 지은 것은 스스로 원해서도 곡물의 장점이 뛰어나서도가 아니라, 인구를 부양하기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는 것이다.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 말한 것은 농사가 결코 수렵, 채집보다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노력한 만큼 성과가 드러나는 농사는 인간을 자기 성공의 희생자로 만들었다. 즉 부지런히 살아야 행복해질 수 있다는 가치를 만들어 쉼없이 부지런히 살도록 유도한 것이다. 노동의 고단함을 부지런함이라는 가치로 희석시켜 버린 것이다.

농지가 늘어나면서 멸종되는 동물이 속속 생겨나고 이로 인해 사냥의 중요성이 떨어지기 시작한다. 즉 노력한 만큼 성과가 드러날 수 없게 된 환경 탓에 사냥꾼은 몰락하고 반대로 그 성과가 확연히 드러나는 농업이 중요해진 것이다. 늘어난 인구와 농사의 번영은 악순환이 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