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렵과 채집, 사냥으로 살아가던 인간이 어느 순간 농사를 짓기 시작했다. 이러한 변화를 농사가 편하고 수확이 많기 때문이라고 보아온 것이 일반적이었는데, 다윈의 유전학적 관점에서 바라보면 다소 다른 의견이 있다. 콜린 텃지가 쓴 <에덴의 종말 - 인간의 왜 농부가 되었는가>를 참조해 인간이 농사를 짓게 된 배경을 알아본다.

 

인류 화석을 살펴보면 농사를 짓게 된 시기부터 관절염과 허리 비틀어짐을 찾아볼 수 있다. 농사로 인해 그전 다양하게 먹었던 곡물, 열매, 채소의 종류가 단순화되면서 영양분도 불균형해졌다. 즉 농사를 짓는 것이 결코 편한 일이거나 무작적 득만 되는 일이 아니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인간은 본격적으로 농사를 짓게 된 것일까.

이는 기후의 변화와도 밀접하게 연관된다. 빙하기 전 온화한 기후 속에서 선호하는 식물이나 동물(고기)을 얻기 위해 취미로 농사를 지어오다 빙하기가 끝나면서 해수면이 상승함으로써 풍요한 땅을 잃게 돼 식량 공급이 늘어날 필요성이 생긴다. 즉 취미로 지은 농사 덕에 늘어난 인구와 해수면 상승으로 잃어버린 땅 탓에 수렵, 채집해 얻을 수 있는 식량이 줄어든 것이다. 인구는 늘고 식량은 줄어들다보니 단위 면적당 수확량을 많이 확보할 수 있는 농사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게 된 것이다. 농사를 지음으로써 더 많은 인구를 부양할 수 있게됐고, 이는 농사의 규모를 더욱 키워야 하는 순환의 고리를 만든다.

즉 농사를 지은 것은 스스로 원해서도 곡물의 장점이 뛰어나서도가 아니라, 인구를 부양하기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는 것이다.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 말한 것은 농사가 결코 수렵, 채집보다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노력한 만큼 성과가 드러나는 농사는 인간을 자기 성공의 희생자로 만들었다. 즉 부지런히 살아야 행복해질 수 있다는 가치를 만들어 쉼없이 부지런히 살도록 유도한 것이다. 노동의 고단함을 부지런함이라는 가치로 희석시켜 버린 것이다.

농지가 늘어나면서 멸종되는 동물이 속속 생겨나고 이로 인해 사냥의 중요성이 떨어지기 시작한다. 즉 노력한 만큼 성과가 드러날 수 없게 된 환경 탓에 사냥꾼은 몰락하고 반대로 그 성과가 확연히 드러나는 농업이 중요해진 것이다. 늘어난 인구와 농사의 번영은 악순환이 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