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에 회사에 오니 팀 분위기가 술렁였다. A과장의 어머니가 어젯밤 돌아가셨다고 한다. 회사원들은 누가 상을 당하면 일사불란하게 움직인다. 게시판에 위치,발인일, 연락처 등을 올리고, 조화를 보내고, 조의금을 걷고, 조를 짜서 영안실로 달려가고, 음식을 나르고, 일을 거든다. 하지만...감정적인 동요는 거의 없다. 마치 메뉴얼이 있는 것처럼 일사불란하게 움직이지만, 동료가 얼마나 슬플까 걱정되어서 일을 못한다던지 하는 일은 거의 없다.일 년에, 아니 어쩔 땐 한 달에도 몇 번씩 상이 있고, 조직에 속한 개인이 상을 당하면, 조직의 다른 개인들은 하나의 유기체로서, 하나의 조직으로서 움직인다. 상을 당해 본 사람들에 의하면, 실제로 이런 조직의 도움이 가장 큰 힘이 되었다고 한다.신입사원 때, 내 사수가 모친상을 당했었다. 사수는 상을 마치고 일주일 후에 출근했다. 신입사원이었던 나는 너무도 놀랐다. 왜냐면..... 내 사수였던 L선배는 출근 첫날부터 너무도 열심히 일했기 때문이다. 마치 일주일간 출장 갔다가 출근한 사람들처럼 그렇게 덤덤하게, 말없이, 묵묵히 일했다. 난 생각했다. 아..... 이 선배 참 독한 사람이구나. 하늘이 무너져 내릴 만큼 힘들 텐데, 어떻게 저렇게 아무 티 내지 않고 열심히 일할까?회사를 다닌지 몇 년 되지 않아 난 알게 되었다. 그 선배가 독한 사람도, 유별난 사람도 아니었음을....조직에서는 원래 그렇게 해야 된다는 걸.... 모두가 그렇게 한다. 개인적으로 아무리 힘든 일이 있어도, 되도록 티 내지 않고, 되도록 내색하지 않고, 묵묵히 일을 한다. 물론 나도 힘든 적이 있었다. 뭐 남자친구랑 헤어지고, 일이 힘들고, 권태를 느끼고이렇게 어찌 보면 소소하고 시시컬컬한 일들 말고 진짜로 힘든 일. 그 때, 난 참 많이 헤맸었다. 회사에서 표정관리도 잘 못했다. 정말 가면이라도 있으면 하나 쓰고 다니고 싶었다. 포커페이스들이 얼마나 부러웠는지....일도 여느 때처럼 "aggressive"하게 하지 못했다. 뭐를 해도 느리고 밍기적거렸다. 그 때 울 팀장님이 내게 말했다. "너 요새 왜 그렇게 생산성이 떨어지니?"그래, 그 때 나는 조직원으로서의 "생산성"이 떨어졌다. 조직원의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것은, 조직의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것이다.그 때, 팀장님의 말이 내겐 참으로 비정하게 들렸다. (물론 울 팀장님은 내 상황을 전혀 모르고 있었다.) 그런데 그 날 축구를 보다가 이런 생각을 했다. 골키퍼가 자꾸 딴 생각에 빠져서 펑펑 점수를 내준다면,그 선수 개인에게 아무리 힘든 일이 있다 한들 그 개인적인 일이 팀의 패배에 정당한 사유가 될 수 있을까? 뭐.....회사원이나 축구선수나 다를 것도 없다. 조직은 개인들로 구성된 유기체이고, 그 유기체를 구성하는 구성원의 전력 차질은 조직의 전력 저하로 이어진다. 그러니까....조직에서는 아무리 힘든 일이 있어도 티 내지 말고 열심히, 펑크 내지 말고 일해야 한다. 이런게 프로 정신 뭐 그런 것도 아니고, 뭐 조직이 삭막하고 그런 것도 아니고, 그냥 당연한 얘기다. 물론....이걸 깨닫는데 몇 년이 걸렸다. 영안실에 먼저 간 몇 명을 제외하고 다른 사람 모두는 여느 때처럼 일하고 있다. A과장은 지금쯤 얼마나 마음이 무너져 내릴까?p.s) 아침에 A과장 모친상 얘기를 듣고 맘이 아팠다. 하나는, A과장이 얼마나 힘들까... 얼마나 상심이 될까...하는생각에. 하나는, 아침에 엄마한테 짜증 부리고 나온 게 양심에 찔리고,미안하고, 후회가 되어서... 항상 "효도해야 한다!"고 생각은 굴뚝처럼 하면서도 사소한 일로 짜증이나 부리고 심술 부리고 그런다. 오늘 아침처럼... 점심 시간에 엄마한테 전화를 했다. 괜히 미안해서....엄마는 말씀하셨다. "추운데 제발 좀 일찍 일찍 들어와라!"A과장 조문을 가야하니 오늘도 일찍 들어가지는 못하는데.....쩝 엄마, 내일 아침부터는 안 깨워도 일찍 일찍 일어날께! 자주 하는 결심이지만, 착한 딸이 되기를 다시 한 번 결심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