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도 없어요 최측의농간 시집선 1
박서원 지음 / 최측의농간 / 201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구나 잊을 수 없는 기억 하나쯤은 있다. 어떤 이들은 지우고 싶어도 지울 수 없는 기억에 몸서리치기도 한다. 슬픔, 고통 등 온갖 부정적 현상들은 뇌리에서 영원히 지우고 싶어 하는 게 어쩌면 인지상정일 수 있다. 안 좋은 기억은 잊을수록 좋다. 아름다운 추억의 빛이 바래져서 희미해지면 서글프다. 달콤한 꿈처럼 느껴지는 순간이 눈을 감자마자 사라질까 봐 두려울 때도 있다. 죽는 것보다 더 아픈 건 사람들 기억 속에서 잊힌다는 것이다. 그 누구로부터 잊힌다는 것. 그것은 이 세상과 멀어지는 일이다.

 

시 속에는 하나의 세계가 있다. 그 세계는 현실을 뛰어넘은 곳이다. 시인은 현실에 묶여 있어서 늘 그곳을 벗어나려 한다. 박서원 시인의 시 세계는 어두침침한 방과도 같다. 또한, 그러하면서도 늘 무언가에 대한 한없는 그리움을 놓지 않고 있었다. 어쩌면 그 그리움때문에 시인은 온몸으로 현실과 철저하게 거부했는지도 모른다. 그녀는 생명수가 완전히 고갈될 때까지 시 밖의 세계인 현실에서 거침없는 언어를 토했다. 밖의 세계 이곳저곳 부유하는 그녀의 언어는 다시 시 세계로 편입되어야 한다. 언어는 시인의 피와 살이 녹아든 것들이다. 그런데 뱉어낸 언어를 회수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그럴 때 시인의 시 세계, 즉 시인의 방은 공허한 무게감이 느껴지는 공기가 흐르는 어둠의 방이 된다. 정말 그곳에 아무도 없다.

 

 

아무도 없어요.

원고지도 비어 있고

화병도 비어 있어요.

하루 종일 노딜다 간

햇살도

벌써 가고 없어요.

 

거울 속에는

내 얼굴만 있군요.

근데 얼굴은 없고

생각만 이리저리

굴려 다녀요.

 

약이 떨어진 볼펜은

권태롭고

약속해주지 않은 채

하루는 가고 있어요.

 

무언가가 있을 것 같은데

너무 억제되어 박혀 있어서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걸까요.

 

벌써 불을 끌

시간이군요.

 

가만,

 

드디어 계단에

발소리가 들리는군요.

누군가 나를 채워주려

오나 봐요.

 

그러나 역시 아무도

안 와요.

나는 물만 마셔요.

차라리

그리움이 그리움을

삭발하고

거울 앞에 설레요.

 

(아무도 없어요, 61~63)

 

 

시인은 방 안에 홀로 서서 대체 무엇을 기다렸을까? 그녀의 세계, 즉 방 안에는 시인 자신의 지나온 삶을 비추어주는 거울이 있다. 그 거울 속에는 사랑과 열정, 그리움과 후회, 상처 등이 흑백필름처럼 스치고 지나갔을 것이다. 시인은 거울 표면에 맺힌 그리움의 흔적을 응시한다. 그렇지만 바다 밑바닥 같은 어둠이 깔린 방에서는 볼 수 없다. 아무도 없어요는 아무도 지켜보지 않는 밤과도 같다. 밤은 공포의 시간이다. 시인은 자신의 마음에 악착같이 매달리는 검은 흔적을 두려워한다.[1] 그것은 악몽으로 재현된다.

 

 

밤에 잘 때

은순이는 눈을 뜨고 잔다

눈을 뜨고 꿈을 꾸면서

살아 있는 것들과

죽어나는 것들의 싸움을

풍랑이 이는 바다와

파선되는 고깃배를 본다

은순이는 꿈속에서,

꿈속에서 볼 수 있는 것만

보고도

10년 동안의 인생살이를 겪고

잊혀 가는 많은 일들을

제자리로 한 데 모아

길고 긴 상처를 만든다

 

(악몽중에서, 37)

 

 

은순이(시인의 분신으로 해석하고 싶다)가 그리워하는 것들은 쓸쓸한 상징이 되어 다시 아픔과 슬픔을 불러낸다. ‘잊혀 가는 많은 일들을 제자리로 한 데 모아만든 길고 긴 상처는 시인의 마음을 자극한다. 흔들리는 삶 속에서 단 한 줄의 시를 쓰는 것마저도 쉽지 않은데도, ‘잊혀 가는 많은 일을 부단히 떠올리지 않으면 안 된다는 생각이 시인을 자극하는 것이다.

    

 

  누구나가 살아가는 방법을 익히지만 난 그게 왜 그리 어려웠을까

제기랄, 근데 실패하고 말다니 연습이 아니었는데도 그건 살아있는 파멸이었어 검은 밧줄, 괜찮은 유희였는데도 말야

 

(실패중에서, 22)

 

 

시인의 삶 역시 우리들의 보편적인 삶과 같다. 우리는 자기만의 세계에서 고독을 앓고 있다. 시인은 세상과 타협하지 못한 자신의 삶을 실패로 규정했다. 그렇지만 무언가를 찾아 헤맨다는 열정이 남아 있었다. 그녀는 생을 담보로 언어를 만들어냈고, 시인의 피와 살에서 떨어져 나간 것들은 시인의 방을 새롭게 구축하는 재료가 되었다. 시인의 방은 곧 시인의 의식이며 언어가 있는 곳이다. 시인이 그 방에 있다는 것은 그곳이 현실을 떠난 곳임을 말해 준다. 그곳은 시인의 도피처이면서 시인의 세계이다. 시인은 죽어서도 이 방에 남아 있다.[2] 시의 탄생은 시인의 죽음과 같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 세상을 떠난 지 5년 만에 그녀의 첫 시집이 다시 태어났다. 지금도 시인의 방은 열려 있다아무도 없어요는 시인의 세계를 통한 바깥세상 읽기다.

 

 

[1]내 입 속에 악착같이 매달린 검은 잎이 나는 두렵다.” (기형도 입 속의 검은 잎)

 

[2]나비는 죽어서도 이 땅에 남는다.” (박서원 나의 나비, 96)

 

 


댓글(13)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7-06-09 19:31   URL
비밀 댓글입니다.

cyrus 2017-06-12 13:40   좋아요 0 | URL
시집이 부담없이 읽을 수 있는 책입니다. 그런데 제가 읽은 이 시집이 전체적으로 어두운 분위기입니다.

겨울호랑이 2017-06-09 19: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박서원 시인의 시는 상당히 어둡고 외로운 느낌이 드네요... 밤에 혼자 읽기는 조금 싫을 것 같아요^^:

cyrus 2017-06-12 13:43   좋아요 1 | URL
박서원 시인이 1990년대에 활동했습니다. 2012년에 세상을 떠났습니다. 그런데 이 분의 부고 소식이 최근에서야 알려졌어요. 생전에 시인이 고독하게 살았던 것 같습니다. 시집의 분위기가 상당히 어둡습니다.

나와같다면 2017-06-10 02: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지우고 싶어도 지울 수 없는 기억.. 스티그마.. 누구나 깊고 어두운 기억을 갖고 있죠

‘행복해지기 위해 아픈 기억과 기꺼이 동행하겠습니다‘

이제는 이 말을 조금은 이해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cyrus 2017-06-12 13:48   좋아요 0 | URL
아픈 기억을 억지로 떼어내려고 하면 더 고통스럽습니다.

yamoo 2017-06-11 22: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시집도 읽으시니 사이러스 님^^

저는 시집을 읽지 않습니다. 네, 그렇구말구요..^^;;

cyrus 2017-06-12 13:49   좋아요 0 | URL
시집을 자주 읽는 편이 아닙니다. 문제는 제가 시집을 많이 사는 독자가 아니에요. ^^;;

돌아온탕아 2017-06-11 22: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시집은 제게 너무 어렵더군요. 그래도 이 글을 읽으니 한번 도전해보고 싶은 생각이 듭니다.

cyrus 2017-06-12 13:50   좋아요 0 | URL
이 시집의 분위기가 상당히 어둡습니다. 시집을 읽기 전에 박서원 시인의 삶을 알아야합니다.

북깨비 2017-06-16 16: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무도 없어요 라는 시를 읽는데 우울함과 동시에 한글의 예쁨이 마구마구 쏟아져서 와아- 와아- 하면서 읽었어요. 아무도 없는거랑 원고지가 빈 거랑 화병이 빈 거랑 없는건 다 똑같은데 공간적인 차이가 주는 느낌때문에 어머 말이 정말 예쁘네 하고 있는데 햇살이 놀다가고 없다하지 거울을 보는데 이런저런 생각만 많아서 얼굴은 없다 그러지 또 와아- 엄청 반하고, 발소리가 들린다고 잔뜩 청각을 자극해놓고 나를 채워주려 오나 아무도 안 오네 하며 순식간에 다시 텅 빈 나, 텅 빈 내 공간에 스포트라이트가 가면서 정말 우울한데 그런데도 그 말들은 너무너무 예쁜거에요. 이런 때는 내가 한국에서 태어나서 한국말을 하는게 너무 행운이구나 싶죠. 저 너무 일차원적으로 시를 읽지만 그래도 시 참 좋아요. ㅎㅎ 좋은 시 소개해주셔서 감사해요! 전체적으로 우울하다니 맘 단디 먹고 한 권 사서 읽어보겠습니다.

cyrus 2017-06-16 18:48   좋아요 1 | URL
<아무도 없어요>의 마지막 연이 애상적이었어요. ‘그리움이 그리움을 / 삭발하고 / 거울 앞에 설레요’ 시를 읽으면 생전에 시인이 느꼈을 고독감이 어느 정도인지 느껴져요.

임모르텔 2017-10-14 22: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차라리
그리움이 그리움을
삭발하고
거울 앞에 설레요.

(『아무도 없어요』, 61~63쪽)
.........

아~~~~~~~~~~~!!! 저는 시를 참 좋아하는데요.
이 시구절을 심상화하니.... 코끝이 찡!! 하니~양파까며 울던 그때 그 느낌...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