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현실주의 회화의 의미를 아주 간단하게 말하자면 생뚱맞음이다. 전혀 연관성 없어 보이는 오브제들을 모아놓고 수수께끼의 이름이 붙인 그림은 관람자를 당황스럽게 만든다. 이런 생뚱맞은초현실주의 미술을 구축한 화가가 조르조 데 키리코(Giorgio De Chirico).

 

 

 

 

 

 

 

 

 

 

 

 

 

 

 

 

 

데 키리코가 초현실주의 집단과 교류하면서 초현실적인 그림을 그린 시기는 고작 4년에 불과하다. 1915년부터 1919년까지 데 키리코는 형이상학적 회화로 명명된 그림들을 제작했다. 1920년부터 데 키리코는 돌연 고전주의 화풍을 시도했다. 앙드레 브르통이 주도하는 초현실주의 집단은 과거에 회귀한 데 키리코의 작업을 비난했고, 그를 집단에 제명하기에 이른다.

 

 

 

 

 

 

 

 

 

 

 

 

 

 

 

브르통은 1924년에 발표한 <초현실주의 선언>에서 사실주의를 조야한 자기도취라고 비판했다. [참고 1] 데 키리코는 라파엘로, 루벤스 등의 과거 거장들의 그림을 모사하면서 사실주의를 환기했고, 이를 형이상학적 세계와 조화를 이루려고 했다. 그의 후반기 작업은 전통적인 회화의 현대적 변용이라 할 수 있다.

 

 

 

 

형이상학적 회화의 특징이 가장 잘 나타나 있고, 데 키리코의 대표작으로 많이 소개되는 작품이 거리의 신비와 우울이다. 이 그림을 실제로 본 적은 없다. 그렇지만 데 키리코가 누군지 모르는 사람이라도 오래도록 눈길을 붙잡게 하여버리는 묘한 매력이 있다. 광장에 노랗게 번지는 오후의 색깔이 몹시도 비현실적으로 느껴진다. 고대의 성벽이 서 있는 골목길은 햇볕을 받아 환하게 밝고, 오른쪽 반을 차지한 성벽은 완전히 칠흑처럼 컴컴한 그림자에 가려져 있다. 광장에 서 있는 한 남자의 상반신 그림자가 마치 굴렁쇠를 굴리며 달리는 소녀를 관찰하듯이 골목길에 삐져나와 있다. 굴렁쇠 소녀는 그림자를 향해 굴렁쇠를 굴리며 달려온다. 보이지 않는 광장도 보이는 골목길도 적막하기만 하다.

 

 

 

 

 

데 키리코는 이탈리아의 피렌체, 밀라노 등을 여행하면서 지중해의 햇살이 고대유적과 광장에 가로질러 들어오는 풍경에 매료되었다. 형이상학적 회화 작업에 영감을 불어넣은 첫 번째 현현(顯現, epiphany)이다. 이때부터 데 키리코는 광장을 소재로 형이상학적 그림을 즐겨 그리기 시작했다. 그가 묘사한 광장은 황량하면서도 신비한 분위기가 짙게 감돈다.

 

 

 

 

사랑의 노래는 수수께끼 같은 그림이다. 아폴로 석조 두상과 수술용 장갑이 시선을 사로잡는다. 그 아래에는 커다란 녹색 공이 놓여 있다. 이 오브제들이 사랑과 무슨 관련이 있는 걸까? 제목은 대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잔뜩 생긴다. 딱 거기까지만. 우린 절대로 수수께끼의 해답을 찾을 수 없다. 오히려 해답을 찾게 되면 이 그림 본연의 신비스러운 분위기가 사라진다.

 

 

 

 

데 키리코는 처음에 상징주의 화가 아르놀트 뵈클린(Arnold Bocklin)으로부터 영향을 많이 받았다. 뵈클린 역시 음습한 분위기, 초자연적인 세계의 기이한 경험을 표현했다. 데 키리코의 형이상학적 그림 속에 텅 빈 광장을 유령처럼 배회하는 듯한 인물이 등장한다. 그는 관람자에게 꼿꼿하게 서 있는 자신의 뒷모습만 보여줄 뿐이다. (데 키리코의 수수께끼 인물에 대한 정확한 명칭은 없다. 여기서는 광장의 유령이라고 표현하겠다) 광장의 유령은 뵈클린의 그림에 등장한 인물과 닮았다.

 

 

 

 

망자의 섬중앙에 온통 암흑으로 드리워진 사이프러스 숲은 고요하고 아무런 형태가 없는 심연(深淵)을 형성하며 무한으로 향하는 미지의 세계, 즉 알 수 없는 죽음의 공간을 나타낸다. 검은 옷의 뱃사공이 노를 젓고, 하얀 옷을 입은 망자는 죽음이란 최후의 여행을 암시한다. 데 키리코는 우뚝 솟은 사이프러스 나무를 도시의 거대한 탑으로 변용했다. 거대한 크기와 단순한 형태의 탑은 무한한 환상에 대한 경외심을 불러일으킨다.

 

 

 

 

 

 

 

 

 

 

 

 

 

 

 

 

 

 

 

 

 

 

 

 

 

 

 

 

 

 

 

 

 

 

 

1919년에 데 키리코는 로마 미술관에 전시된 티치아노의 그림을 보고 두 번째 현현을 체험한다. 그는 형이상학적 회화에서 고전적 사실주의로 돌아선다. 브르통의 초현실주의 집단은 데 키리코를 변절자로 몰아세워 비난했으나 그들은 처음부터 데 키리코의 진가를 제대로 알지 못했다. 데 키리코가 한창 형이상학적 회화 작업에 열중했던 시기에 이미 고전주의적 소재(고대 유적, 조각상, 도리아식 열주)를 사용하고 있었다. 초현실주의 집단은 과거와의 단절을 추구했지만 데 키리코는 과거와의 연결을 시도하여 초현실적인 그림을 그리려고 했다. 브르통은 데 키리코의 사소한 일탈을 처음부터 눈치채지 못했다.

 

 

 

데 키리코는 이탈리아를 여행하면서 파르미자니노(Parmigianino)의 그림도 봤을 것이다. 파르미자니노는 16세기 마니에리스모(Manierismo) 양식을 대표하는 화가다. 마니에리스모는 고전주의 르네상스 양식에서 바로크 양식으로 건너가는 과도기에 형성된 미술양식을 가리킨다. 더러 매너리즘으로 쓰기도 한다. 아르놀트 하우저에 따르면, 마니에리스모는 고전주의의 단순한 조화를 해체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현실을 변형한 것이다. [참고 2] 파르미자니노의 목이 긴 성모는 미완성 작품이지만, 마니에리스모 양식에서 볼 수 있는 불균형한 구도와 비현실적인 신체 왜곡 묘사를 보여주고 있다.

 

 

 

 

 

 

 

 

 

 

목이 긴 성모에 특이한 기둥이 그려져 있다. 그 기둥 아래에 성 히에로니무스로 추정되는 사제가 서 있다. 진중권은 이 오묘한 구도를 데 키리코의 형이상학적 그림과 닮았다고 했다. 곰브리치는 정통적인 양식을 거부한 파르미자니노를 최초의 현대적인 미술가라고 평가했다. [참고 3] 기묘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파르미자니노의 그림을 데 키리코가 절대로 모를 리가 없다. 목이 긴 성모스가랴와 함께 있는 성모는 피렌체의 우피치 미술관에 있는 그림이다. 데 키리코가 피렌체를 여행하는 중에 우피치 미술관에 들렀을 것이다. 그는 파르미자니노의 특이한 신체 묘사, 배경에 배치한 고대 건물과 기둥을 인상 깊게 봤을 수도 있다. 데 키리코가 고전주의 회화에 탐닉했던 시기에 마니에리스모 양식과 유사한 그림을 제작하기도 했다.

 

 

 

 

 

 

 

 

 

 

 

 

 

 

 

 

 

 

 

 

 

 

 

 

 

 

 

 

 

초현실주의 집단은 합리적인 세계를 뒤집으려는 계획을 갖고 현실을 재창조하는 예술 행위를 추구했다. 초현실주의 집단 일원들과 교류했던 피카소는 나는 보이는 것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생각하는 것을 그린다"고 말할 정도였다. 하지만 데 키리코는 그들의 생각에 동의하면서도 점차 독자적인 화풍으로 현실을 재창조했다. 그는 보이는 것을 그리되, 시각적으로 보이는 것 이상의 뭔가를 전달하고 싶어 했다. 데 키리코의 영향으로 달리, 마그리트 같은 초현실주의 화가들은 자유로운 인간의 내면적 세계를 형상화해낼 수 있었다. 그가 달리와의 관계를 끊고(브르통은 달리가 상업적으로 그림을 그리는 일에 몰두하고, 히틀러를 찬양한다는 이유로 그를 비난했다. 당연히 달리와 브르통은 예전 관계를 회복하지 못한 채 갈라섰다), 자신의 영향을 받았다고 주장하는 마그리트의 의견을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못한 이유가 있다. [참고 4] 달리는 현실 세계와 동떨어져 자신의 기억, , 무의식 속에 있는 것들을 그렸고, 마그리트 역시 이성의 지배를 받지 않는 환상의 세계를 중시했다. 데 키리코는 자신의 그림이 꿈과 무관하며 초현실주의를 의식하고 그리지 않는다고 했다. 그는 현실의 감각을 놓치고 싶지 않아서 고전주의로 관심을 돌렸다. 데 키리코는 누구도 시도하지 못한 것을 시도했다. 사실주의와 초현실주의의 결합. 물과 기름 같은 서로 상반된 양식이 만나 색다른 회화적 분위기를 연출하는 것은 몹시 어려운 도전이었고, 동료 화가들은 이해하지 못했다. 만약 데 키리코가 죽을 때까지 형이상학적 그림을 그렸다면, 초현실주의 회화를 논할 때 달리, 마그리트보다 가장 먼저 언급되었을 것이다.

 

 

 

[참고 1] 초현실주의 선언(미메시스, 2012) 65

 

[참고 2]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2(창비, 2016) 2장 매너리즘 편

 

[참고 3] 교수대 위의 까치(마로니에북스, 2009) 11장 목이 긴 성모 편

서양미술사(예경, 2013) 18장 미술의 위기 편

 

[참고 4]다시 구할 수 없는 미술책 시리즈’ (2012317일 작성)

http://blog.aladin.co.kr/haesung/5505235

 

 

 


댓글(18)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yo 2016-09-12 20:3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뜬금없지만, 지금 지진이었죠?

cyrus 2016-09-12 20:40   좋아요 1 | URL
네. 하루에 진동을 두 번 느낀 건 처음입니다. 지진의 여파 때문인지 지금 카톡도 안 됩니다.

북다이제스터 2016-09-12 20:4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거리의 신비와 우울` 그림은 저도 근간 <경제와 미술을 지배하는~> 책 보고 첨 알았습니다. 제 느낌 소감도 매우 비슷합니다. ^^

cyrus 2016-09-12 20:56   좋아요 1 | URL
초현실주의 그림이 좋은 이유가 해석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입니다. ^^

북다이제스터 2016-09-12 21:22   좋아요 1 | URL
사이러스 님도 괜찮으세요?
진도 5.0 이상은 정말 큰 지진인데, 그것도 내륙에서요...

cyrus 2016-09-12 21:28   좋아요 2 | URL
무사합니다. 또 여진이 일어날까봐 마음 편히 쉴 수가 없군요. ㅎㅎㅎ

yureka01 2016-09-12 22:4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문득 지진의 파장이 사회를 초현실적으로 만들어 버린듯이 웅성거림과 두려움으로 나타났습니다. 아 떨림의 두려움이 그런가봐요....역대급이었다고 하네요...

cyrus 2016-09-13 08:46   좋아요 1 | URL
빌라에 살고 있어서 또 지진이 일어날까봐 두렵습니다. ^^;;

뽈쥐의 독서일기 2016-09-13 20:4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학교 다닐때 잠시 서양사에 관심이 있어 한 일년쯤 수강했는데 키리코의 그림은 매너리즘으로 아주 잠깐 훑고가더라구요. 기묘한 느낌때문에 인상에 완전 남았는데! 스페인의 엘 그레코도 그렇고 매너리즘으로 약간 낮게 보는 게 좀 짜증났어요. 왜냐면 제 취향엔 이상하게 맞았거든요..ㅎㅎ
근데 전 초현실주의 그림을 좋아하면서도 좋아하지 않는 이유가 의미를 알 수 없는 답답함 때문인데 그 이유로 좋아하는 사람도 있다니 역시 세상은 다양한 사람들 때문에 재밌네요. 그게 제가 남의 서재를 염탐하는 이유기도 하구요^^

cyrus 2016-09-13 23:27   좋아요 1 | URL
저랑 비슷한 입장입니다. 저는 달리의 그림을 안 좋아해요. 난해해요. 달리의 그림이 프로이트의 영향을 받았다고 하던데, 달리가 프로이트 사상을 자의적으로 해석한 점을 지나칠 수 없어요. 그래서 그림을 이해하는 것이 어려워요. 사실 마그리트의 그림도 어려워요. ^^;;

낭만인생 2016-09-13 22:1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아~ 이런 세계도 있군요. 처음 접하는 거라 낯설고 신기합니다. 뭔지 잘 이해도 되지 않구요... 저의 미술 실력이....

cyrus 2016-09-13 23:28   좋아요 1 | URL
그냥 이런 사람들의 이야기가 있다는 것만 아시면 됩니다. 꼭 알아야 할 내용도 아닌데요. ^^

초딩 2016-09-17 00:2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ㅜㅜ iOS10 업데이트하고 난 후부터 북플에 긴글이 마지막에 ... 으로 나오는 것 같네요 ㅜㅜ
문자 길이에 따라 영역계산하는 것을 예전 함수를 써서 그런것 같아요.
최신 함수를 써야하는데...
10이전까지는 그럭저럭 동작했는데, 10 이후부터는 옛날꺼는 문장 영역 계산에 오차가 더 심해진 것 같아요. cyrus 님께서 신문고를 울려주세요~~~
ㅎㅎ 초딩하는 일이 이런 앱 만드는 일이라 조금 압니다 ㅎㅎ

cyrus 2016-09-18 16:29   좋아요 0 | URL
어떡하죠. 저는 갤럭시 안드로이드 폰을 쓰고 있어서 애플 iOS 시스템은 잘 모릅니다. ^^;;

사소한 문제도 서재지기 게시판에 글 남기시면 됩니다. 아니면 초딩님 서재에 이 문제에 관한 글은 전체 공개로 작성해서 공론화해도 좋습니다. 일단 초딩님의 댓글만 봐서는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나비종 2016-09-18 10:5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올리신 화가들의 작품을 좀 더 찾아보았어요. cyrus님 덕분에 초현실주의 미술 작품들을 많이 감상하게 되었구요, 미술에 대한 상식이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기분입니다^^
개인적인 취향으로는 마그리트의 그림이 마음에 드네요. 기발한 발상과 색채의 톤이 밝고 건전해보이는 그림이 많더군요. 허연 머리에 피 나는 그림은 맘에 안들지만^^;
달리의 그림은 뾰족한 뼈다귀들이 잔뜩 나오고 왠지 피 질질 흘러내릴 것 같은 음산한 분위기라 별로입니다. 형이상학적 세계라 해서 그렇게까지 날카로울 필요가 있을까 싶구요. 부드러운 무의식도 분명 있을 텐데...
데 키리코는 처음 들어본 화가였어요. 문외한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 그의 그림을 통해 본 대체적인 성향은요, 소개해주신 7점의 작품에는 <사랑의 노래>를 제외하고 모두 2명의 사람이 등장한다는 점이예요. 근육질이든 이쑤시개처럼 표현이 되었든 항상 두 사람이더군요. 그림자가 많이 나타나고, <거리~>와 <떠나야~>에 등장하는 콘테이너는 집과 같은 의미였을까 생각도 했어요. 바나나를 좋아했나봐요. <몽파르~>에 널려있는 무더기가 뭔가 신경이 쓰였는데 다른 작품들을 찾아보니 바나나였라구요. 지중해의 햇살을 좋아해서였는지 노란색을 많이 썼고, 빨강도 좋아하지 않았을까 상상해봅니다. <사랑의~>에 등장하는 고무장갑도 빨강이고 그외 중요 포인트에도 빨강을 쓴 것 같거든요. 빨강/노랑/초록/파랑을 주로 쓴 사람이네요. <검투사>를 한참 바라보았어요. 등장하는 2명의 피부톤이 반반씩 교차되어있는 것 같아서요. 뒷모습을 보이는 근육질 남자의 하체톤이 마주 바라보는 허연 남자와 비슷합니다.ㅋ
이 포스트에서 한 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면, 1915년부터 1919년까지 4년간 초현실주의 집단과 교류하면서 그린 그림도 있었으면 좋았겠다 싶더라구요. 소개해주신 그림 중 5점은 1910년부터 1914년까지의 그림이고(물론, <떠나야~>는 1914년부터 1915년까지이지만), 2점은 1920년 이후의 그림이니, 고전주의 화풍이 가미된 작품과의 차이점은 어느 정도 느낌으로 오는데요, 가운데 도막이 빠져 before에서 after로 넘어가는 과정이 생략된 듯한 기분이 들었거든요.(개뿔도 모르면서 감히 이런 멘트를~^^; ;==33)

cyrus 2016-09-18 16:29   좋아요 0 | URL

제가 항상 그림 이미지를 위키아트에서 가져 옵니다. 위키아트로 검색하면 웹사이트가 나와요. 거기에 화가 영어 이름으로 검색하면 전부는 아니지만 화가들의 작품들을 볼 수 있어요. 유명 작품뿐만 아니라 국내에 알려지지 않은 그림까지 나옵니다. 여기에 데 키리코의 작품들이 많이 있어요.

허연 머리에 피 나는 그림이 뭔지 알겠습니다. 데 키리코의 그림에 등장한 바나나는 ‘야생’을 상징하는 오브제로 해석한답니다.

글을 쓰기 전에 데 키리코의 그림 이미지를 고르느라 나름 고민했습니다. 그림 이미지를 많이 소개하고 싶은데, 이미지를 많이 올리면 글의 길이가 길어져요. 초현실주의 회화에 관한 글이 생소한데다가 분량까지 많게 느껴지면 정독하기가 힘들죠. 제 글을 정독하는 분들이 많지 않지만, 그래도 제 글을 보는 분들을 위해서 길게 쓰지 않으려고 노력합니다. 아무튼 이런 이유 때문에 데 키리코 후반기 그림 이미지를 넣지 못했어요. 제 글의 부족한 점을 아주 잘 짚어주셨습니다. ^^

나비종 2016-09-18 20:26   좋아요 0 | URL
위키아트. 저도 나중에 검색해봐야겠습니다.^^
아. .바나나의 의미가 그런 것이었군요.
^^; 부족하다는 의미는 아니었습니다. cyrus님의 글은 공들여서 쓴 한 편의 논문같아서요. 여러 번 곱씹어서 읽게 됩니다. 댓글도 리뷰처럼 쓰게 되구요. 마음이 가라앉을 때 읽으면 뭔가 정갈하게 정돈되는 느낌이 듭니다. 그게 제게는 묘하게 위안이 된다는^^;

cyrus 2016-09-20 17:07   좋아요 0 | URL
스마트폰으로 긴 글을 정독하면 안 됩니다. 시력 나빠져요. 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