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둑에는 승부를 겨루는 스포츠와 달리 복기(復棋)라는 독특한 절차가 있다. 한 판의 대국을 마치고 나면 두 대국자는 자리를 떠나지 않는다. 바둑의 판국을 비평하면서 두었던 대로 다시 처음부터 놓는다. 그 과정에서 본인과 상대방이 놓은 수들의 잘잘못을 검토한다. 대국에서 패배한 대국자는 자신의 실수를 분석하면서 되씹는다. 복기를 해보면 대국 당시에는 알지 못했던 전혀 새로운 묘수가 발견될 수 있다.

 

출판사 혹은 인터넷 서점이 주관하는 서평대회는 글로써 승부를 겨루는 게임과 같다. 나는 누구보다 서평대회에 응모하는 것을 즐긴다. 평소에 글 쓰는 날보다 집중력이 높아진다. 퇴고를 엄청나게 열심히 한다. 대회 심사 위원에게 잘 보이기 위한 문장을 쓰려고 며칠 동안 고민한다. 그렇지만 노력한다고 해서 좋은 성과가 무조건 오는 것은 아니다. 나보다 열 배나 뛰어난 작문 실력을 갖춘 분들이 많다. 달콤한 축배보다 쓰디쓴 고배를 많이 마셨던 날이 더 많다. 보통 서평대회에 응모했다가 낙선되면 씁쓸한 감정을 애써 지우려고 한다. 그렇지만 나는 나만의 절차가 따로 있다. 서평 대회 결과를 확인하면 내가 응모한 글과 대회 당선작들을 다시 읽어 본다. 처음부터 끝까지 꼼꼼하게 읽는 편이다. 왜냐하면 내 글이 낙선된 이유를 확인해야 직성이 풀리기 때문이다. 어떻게 보면 이런 행동은 결과를 승복하지 못한 태도에서 기인한다. 하지만 내가 쓴 글을 다른 글과 비교하면서 읽는 절차를 나쁘다고 생각한 적이 없다. 그냥 내 스스로 내 글의 문제점을 진단하기 위한 과정일 뿐이다.

 

바둑이 늘기 위해서 가장 좋은 방법은 자신의 바둑을 기록하고 복기하는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평대회에서 당선될 만한 글을 잘 쓰고 싶어서 내 글을 복기(復記)한다. 즉, 완성된 글을 해체하고 마음으로 다시 써보는 것이다. 내 글과 잘 쓴 글을 비교해서 읽어 보면, 표현력과 내용 전개 방법 등에서 확연한 차이가 나는 사실이 눈에 보인다. 이 일이 생각보다 재미있다. 글 속에 글쓴이 생각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 있다. 글쓴이가 책을 읽으면서 자신만의 관점으로 느낌을 풀어나가는 글의 전개를 눈으로 따라가면 감탄을 하게 된다. ‘저 사람은 이 책을 이런 관점으로 읽었구나, 정말 대단한걸!’ 내가 책을 읽으면서 놓쳤거나 생각하지 못한 사실을 알게 된다. 덤으로 글쓴이의 문장 표현법도 배우게 된다. 그러면 내 글이 왜 당선되지 못했고, 어디가 부족했는지 파악할 수 있다.

 

가끔은 당선작이라는 이름에 어울리지 않는 글을 볼 때가 있다. 내 눈에는 당선작인데도 2% 이상 부족하게 보일 때가 있다. 그런 글들은 대부분 책과 저자를 향한 찬양의 수사로 휘황찬란하게 장식되어 있다. 그러면 나는 절대로 저런 글을 쓰지 않겠다고 생각하면서 끝까지 읽지 않는다. 이런 글에는 일정한 레토릭(rhetoric)이 있다. 글쓴이는 저자의 말에 동의하는 자세를 취한다. 그리고 책 속의 저자 생각이 자신의 삶에 끼친 사례를 열거한다. 글의 결론에서는 독자에게 호소한다. ‘이 책을 꼭 읽어보십시오. 최고로 좋습니다요.’ 이러한 레토릭은 약장수들의 언변에서도 볼 수 있다. “이 약, 건강에 좋아요. 내가 한 번 약을 먹고 나니까 병이 씻은 듯이 다 나았어요. 그러니까 여러분들도 이 약 먹으면 나처럼 건강해질 수 있어요.” 칭찬의 수사에 쓰는 일에 재미 들린 글쓴이는 자신이 독자인지 책을 판매하는 사람인지 구분하지 못한다. 서평대회 심사를 맡은 출판사 직원은 이런 글을 안 좋아할 수가 없다. 독자가 자신들 대신해서 책을 열정적으로 홍보하고 있으니까. “그래, 글이 아주 좋아서 책 홍보용으로 써도 손색이 없군. 이 글을 최우수작으로 선정하자고.”

 

어떤 이는 자신의 경험담을 고백하면서 글을 시작한다. 글쓴이는 자신이 경험했던 일을 책의 내용에 투영하면서 책을 소개한다. 이런 전개 방법은 좋다. 읽기 쉬운 글이다. 하지만 이 글도 단점이 있다. 글쓴이가 경험담 소개에 치중하면 책에 대한 단점이 가려질 수 있다. 즉, 책을 평가하는 태도를 놓치고 만다. 서평이든 독후감이든 글 한 편 속에 자신에 관한 이야기가 책 이야기보다 더 많이 보이는 것도 있다. 솔직하게 말하자면 이건 잘 쓴 에세이지, 잘 쓴 서평/독후감이 아니다. 평소에 이렇게 글을 써도 좋다. 서평/독후감을 에세이의 일종으로도 볼 수 있다. 그렇지만 서평 대회에 응모하려면 서평/독후감에 부합되는 내용을 써주는 것이 맞다. 그렇다고 해서 책 소개만 이루어진 지루한 글을 쓰라는 말이 아니다. 자신의 경험담을 아예 쓰지 말라고 엄격한 자세를 취하는 것도 아니다. 책의 저자가 하는 말에 조금이라도 의문이 나거나 이건 아니다 싶은 생각이 들면 솔직하게 쓰는 것이 좋다.

 

책을 비판하면서 읽는 방법 또한 독서의 한 과정일 뿐이다. 그런데 이러한 독서법이 독자가 함부로 해서는 안 될 금기처럼 여긴다. 특히 서평 대회에 응모하는 글에 책이나 저자에게 조금이라도 시비를 걸면 심사 위원이 된 출판사 직원에게 밉보여서 당선에 불리하다고 생각한다. 책을 비판적으로 읽은 관점이 다른 독자들이 공감할 수 있을 정도라면 자신 있게 써도 된다. 자신감이 부족한 글쓴이는 책에 대한 찬사 위주의 내용을 쓰려고 고집한다. 이런 글들이 서평대회 당선작이 되면 결국 불리한 건 우리 독자들이다. 당선작을 읽는 독자들도 글을 제대로 보는 눈이 있다. 책의 단점이 뻔히 드러나는 데도 책을 좋다고만 쓴 서평을 보면 눈살을 찌푸린다. 그러면 글쓴이를 오해하게 된다. 혹시 저 글을 쓴 사람은 출판사 직원일까? 그런 의심을 한 번쯤을 할 수 있다. 서평/독후감을 작성한 독자와 그 글을 읽는 독자들 간의 보이지 않는 오해가 생기고, 독자가 독자 서평을 신뢰하지 않는 상황까지 생긴다. 

 

“출판사 직원들에게 잘 보이도록 쓴 글은 서평대회 당선작이 될 확률이 높다” 꽤 많은 사람이 서평대회 당선작을 이렇게 생각한다. 나는 이 생각을 정말 싫어한다. 그리고 억울하다. 나도 예전에 서평대회 응모하는 글을 썼을 때 책을 칭찬하는 레토릭을 포기하기가 어려웠다. 이렇게 안 쓰면 손해를 볼까 봐 두려웠다. 그러다가 책을 칭찬하는 서평이 당선작이 된 적이 있었다. 기분은 좋았지만, 어느 순간부터 내 서평이 출판사 직원들의 기분만 맞춰주는 글이라고 느껴졌다. 그래서 칭찬의 수사를 자제하고 책을 꼼꼼하게 따지는 서평/독후감을 쓰고 싶은 마음이 생겼다.

 

출판사가 서평대회를 여는 가장 근본적인 목적은 책 홍보다. 그러나 서평대회는 책과 서평을 좋아하는 독자들을 위한 특별한 행사이기도 하다. 그만큼 서평대회에 참여하는 독자의 역할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책을 보는 생각이 사람마다 제각각 다를 뿐만 아니라 책이 모든 사람을 다 만족하게 해주지 못한다. 책 그리고 저자의 생각에는 장단점이 하나씩은 있기 마련이다. 책에 대한 평이 없는 서평과 독후감은 출판사의 손아귀에 들어간 영혼 없는 글이다. 저자와 책에 대한 비판적인 내용도 사람들의 감흥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니까 문제를 아주 예리하게 알려준 서평과 독후감은 독자, 출판사 직원 그리고 저자 모두를 공감하게 한다. 이런 글이 서평대회 당선작이 되어야 한다. 나는 앞으로도 계속 독자들 앞에서 솔직해지는 서평/독후감을 쓰고 싶다. 

 


댓글(18) 먼댓글(0) 좋아요(3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tella.K 2016-03-15 18: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실 출판사에서 하는 서평 대회는 장단점이 있기는 하지.
그런데 그런 출판사 허투로 안하는 것 같아.
나름 공정하게 하는 것 같고, 안 좋은 얘기 했다고 해서 당선에서 제외하는
이런 초등학생 같은 짓은 안하는 것 같아.
문제는 참가하는 독자의 태도가 아무래도 좀 다른 것 같아.
나부터도 흔들리긴 하지.
평소엔 읽지도 않을 책을 읽고 좋은 쪽으로만 쓰고 싶고.
요즘엔 서평 대회하는 출판사가 그리 많지 않은 것 같지만
난 꼭 내가 읽고 싶은 책에만 서평을 하기로 했어.
마침 그게 대회로 이어지면 금상첨화겠지만.

cyrus 2016-03-15 18:25   좋아요 0 | URL
누님 말씀을 듣고 보니 제가 출판사를 마치 독자를 무시하는 회사처럼 나쁘게 표현한 것 같군요. 비록 저의 주관적인 생각이지만 서평 심사를 평가를 공정하게 하는 출판사가 몇 개 있었어요. 그런데 출판사가 글을 제대로 심사하는 건지 아닌지 독자 입장에서는 구분하기 어려워요. 심사하는 사람 마음에 따라 당선작을 선정하는 것이라서 당선 기준도 모호하니까요. 아무튼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듣고 싶어요. 언제 또 이런 글을 써보겠어요.

stella.K 2016-03-15 19:17   좋아요 0 | URL
헉, 그런가? 난 많이 못 봐서 말이야.
아마도 내가 소견이 좁은지도 모르겠네.
내가 좀 더 신중히 댓글을 달 걸 그랬구만.
심기를 불편하게 했다면 용서하길...ㅠ

cyrus 2016-03-15 19:37   좋아요 0 | URL
제가 봐도 누님이 잘못한 점이 없는데요. ^^

고양이라디오 2016-03-15 18: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서평대회는 오프라인 대회인가요ㅎ?
저도 한 번쯤은 참가해보고 싶네요ㅎ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cyrus 2016-03-15 18:56   좋아요 1 | URL
오프라인은 아니고요, 온라인으로 진행됩니다. 알라딘 이벤트 게시판에 들어가면 서평대회 소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JK 2016-03-15 18: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책의 장점,단점 위주보다는 책을 독자한테 소개한다는 마음으로 써보심이 어떨런지요. 아무튼 저는 서평은 귀찮고 능력도 모자라 잘 안쓰게되더라구요.

cyrus 2016-03-15 18:59   좋아요 0 | URL
옳은 말씀을 하셨는데, 이상하게 저는 책을 소개하는 것을 어렵게 느껴집니다. 그렇게 쓰면 출판사 서평, 언론 서평처럼 보이거든요. 그래서 책 소개는 잘 안 써요.

blanca 2016-03-15 19: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복기`가 바둑에서 나온 용어라는 게 흥미롭네요. 안 그래도 <미생>을 잠깐 보면서 바둑을 조금이라도 알면 얼마나 더 잘 이해할 수 있을까, 생각하며 참 아쉬웠거든요. 사는 일도 이렇게 할 수 있으면 좋을 텐데...요새는 통 서평대회 소식을 못 들었네요. cyrus님의 성실한 글쓰기 과정이 참 인상적입니다.

cyrus 2016-03-15 19:21   좋아요 0 | URL
평소에 복기라는 말을 많이 들어봤는데 바둑 용어라는 사실을 최근에 알았습니다. ^^

출판사 시장이 너무 안 좋다보니 서평대회가 예전보다 많이 줄어들었습니다. 책을 독자들에게 많이 알릴 수 있는 전략이지만, 거기에 따른 경제적 비용을 감수해야합니다. 아무래도 출판사 입장에서는 서평 대회를 진행하는 일이 부담스러울 겁니다. 심사하는 일도 어렵고, 최악의 경우에는 심사 결과에 논란까지 생길 수 있으니까요.

syo 2016-03-15 19:1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cyrus님은 서평과 독후감을 같은 기준으로 평가하시나요?

눈금선의 양쪽 끝에 책과 독자를 놓고 독후감과 서평이 위치하는 지점이 어딘지 생각해보면, 저는 서평은 책 쪽에 조금 더 가까이, 독후감은 독자쪽에 조금 더 가까이 위치하는 게 아닐까 해요. 그러니까 서평이 에세이를 곁들인 비평이라면 독후감은 비평을 곁들인 에세이라고 보는게 제 분류법이거든요. 서평은 어쨌든 그 책이라는 객체에 대해 써야 하지만, 독후감은 책을 읽고 난 후의 자신에 대해 쓴달까요. 그래서 서평은 몰라도, 독후감이라면 설령 그게 자기 블로그에 올리는 글이 아니라 대회에 출품하는 글일지라도 책보다는 내게 더 가까운 지점에서 글을 써야 한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물론, cyrus 님이 이 글을 쓰신 논지와 다른 이야기인것은 알지만, 이렇듯 서평/독후감에 대한 cyrus님과 저의 판단 기준이 다르다는 사실 자체가 시사하는 바가 있다고 봅니다. 책-독자 좌표축에서 서평/독후감의 위치를 어디에 놓느냐 하는 판단이 사람마다 다르듯이, 잘 쓴 서평에 대한 기준도 사람마다 다르겠지요. 전 다만 cyrus님과 심사위원간에 판단기준이 다를 뿐이라고 생각해요. 그리고 최소한, 그게 대회라면 그 대회의 목적과 평가 기준은 심사위원의 권한 범위겠지요.

저는 항상 cyrus님의 서평을 잘 보고 있습니다. 제가 읽은 것들 중 가장 좋았던 서평 몇몇은 cyrus님의 손끝에서 나왔다는 것을 자백합니다^^. 그러니까 cyrus님도 다른 독자들을 믿어 보세요. 대회에서의 당락과 관계없이 좋은 서평과 그렇지 않은 서평을 구분할 수 있는 매서운 눈을 가진 독자들이 항상 cyrus님의 다음 서평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cyrus 2016-03-15 19:34   좋아요 0 | URL
댓글 길게 남겨 주셔서 고맙습니다. syo님의 글이 여기 댓글에 있는 것이 너무 아깝습니다. 이 글을 먼댓글 형식으로 syo님이 직접 서재글로 작성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저뿐만 아니라 많은 분들이 syo님의 생각에 공감할 겁니다.

예전에 제가 서평과 독후감의 정의에 대한 글을 쓴 적이 있었습니다. 그때 많은 분들의 생각을 확인했고, 역시나 서평과 독후감을 이해하는 인식도 달랐습니다. 오늘도 이 글을 쓰면서 괜한 오해를 불러일으키지 않으려고 신중히 생각하면서 썼습니다. 저는 서평과 독후감을 동등한 의미로 이해했습니다. 그러니까 독후감에도 책에 대한 평을 쓸 수 있다고 봤습니다.

서평과 독후감에 대한 의미도 사람들마다 차이가 있듯이 `잘 쓴 서평 혹은 독후감`에 대한 기준도 다릅니다. 그 점을 syo님이 잘 말씀해주셨습니다. 제가 그 부분을 놓쳤습니다.

그런 의도는 아니었는데 제가 편안하게 글 쓰시는 분들이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말을 쓴 것 같습니다. syo님 덕분에 저의 잘못된 생각을 알 수 있었습니다. 정말 고맙습니다. ^^

2016-03-15 19:58   URL
비밀 댓글입니다.

cyrus 2016-03-15 20:04   좋아요 1 | URL
제가 쓴 글 때문에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않으셨으면 해요.. ^^;;   이벤트 응모 목적으로 쓴 서평/독후감에 대한 저의 주관적인 생각을 솔직하게 밝힌 것뿐입니다. 제가 오래전부터 이벤트용 서평에 대한 잡생각이 많았거든요. 알고 보면 제가 좀 별나요. ㅎㅎㅎ

사실 이런 주제로 공개적으로 대화를 해본 적이 없어요. 그래서 비판 받을 각오하고 제 생각을 풀어봤습니다.

L.SHIN 2016-03-15 22: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을 복기하다`

저는 이런 표현이 좋아요.
이런 색다른 시선과 사고를 하는 cyrus님이 좋아요.

cyrus 2016-03-16 11:10   좋아요 0 | URL
좋게 봐주셔서 고맙습니다. 엘신님의 댓글 진짜 오랜만에 봅니다. ^^

레삭매냐 2016-03-18 22: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개인적으로 서평대회 당선은 운빨이 아닌가 싶습니다.
심사위원과 어떻게 교신이 돼서 적확하게 원하는 바
를 찌르게 되면 당선되는 게 아닐까 망상해 봅니다.

cyrus 2016-03-19 12:52   좋아요 0 | URL
맞아요. 결과를 예측하기 힘들어요. 서평대회에 참여하면 좋은 결과를 얻는 분을 보면 대단해요. `이 분`이 누구신지 레샥매냐님도 아실 겁니다. 달궁 멤버 중 한 사람이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