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싫어서 오늘의 젊은 작가 7
장강명 지음 / 민음사 / 201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네가 정말 싫어.”, “싫으면 시집가.” 어릴 때 친구들과 놀 때, ‘싫다’라고 말하면 그 말에 붙여 ‘싫으면 시집가’라고 대꾸하던 기억이 있다. 옛날 여자가 시집살이를 시작하면 처가에 자주 들릴 수 없게 된다. 부모님들은 딸에게 장난으로 말한다. 이 집구석 싫으면 얼른 좋은 사람 만나서 시집이나 가라고. 그러면 부모님은 딸 속 썩이고, 반항하는 행동을 못 볼 테니까. 장난 같은 말이지만 여기에 혼기에 찬 딸을 염려하는 부모님의 진심이 숨어 있다.

 

혼자 살기도 벅차서 연애하기도 힘든 청춘이 늘고 있다. 그들 앞에 이런 말장난을 쉽게 하지 못한다. 당사자의 부아를 돋을 수 있다. 좋은 사람 만나 시집가고 싶어도 시집가기 위한 경제적 형편이 마땅치 않다. 얼마 전까지 연애, 결혼, 출산을 포기하는 삼포 세대. 그리고 내 집 마련, 인간관계를 포기하는 오포 세대. 꿈과 희망마저 포기하는 칠포 세대까지 나왔다. ‘n포 세대’도 있다. 아예 모든 걸 포기하는 세대이다. 열심히 일해서 다 되는 건 아니다. 금수저를 물고 태어난 사람들이 아니고서야 평균적으로 산다는 게 힘든 현실이다. 잘 나가는 기성세대들은 ‘아프니까 청춘이다’라고 쉽게 말하면서 젊은이들에게 아픔을 겪은 만큼 그들의 미래를 보장해 주지는 못한다. 청춘의 불만은 ‘헬조선’이라는 불명예스러운 신조어를 만들어냈다. 사회가 팍팍할수록 그 사회의 모순을 예리하게 묘사한 소설, 드라마, 영화 등이 인기를 얻는다. 그것들을 많이 찾는 사람 대부분은 팍팍한 사회 속에서 고생하고 있다. 예를 들면, 윤태호의 웹툰 《미생》의 주인공 장그래를 통해 미생도 되지 못한 청춘들은 노동시장으로 내던져진 청년층의 고단한 처지에 공감했다. 고졸 출신이 대기업 비정규직으로 입사해 멋지게 성장하는 이야기가 어느 영웅담 못지않은 카타르시스를 주는 이유도 그만큼 현실에서 실현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장강명 작가는 어느 인터뷰에서 소설 《한국이 싫어서》의 제목만 보고 카타르시스를 느낀 독자가 많았다고 밝힌 적이 있다. 그런데 이 소설이 카타르시스만 주는 작품으로 기억되지 않기를 바란다. 이 소설로 돈, 학벌, 취업 문제가 복잡하게 얽히면서 사는 한국인들의 삶을 이해하는 데 만족해선 안 되고, 행복한 인생을 위한 해답을 찾아서도 안 된다. 기자 출신 작가는 실제로 호주 시민권을 취득한 사람들의 인터뷰를 토대로 20대 후반 여주인공 계나의 삶을 구성했다. 그렇지만 계나처럼 ‘이민’이 자신만의 행복을 찾을 방법이라고 생각하는 독자가 있다면 이 책을 권하고 싶지 않다. 소설은 소설일 뿐이다. “내가 아는 것은 ‘무엇을’이 아니라 ‘어떻게’ 쪽이야.” (152쪽) 계나가 말하는 ‘어떻게’를 독자가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어떻게 하면 호주 이민을 할 수 있을까 궁금한 독자가 있을 거고, 계나처럼 어떻게 자존심을 지키면서 행복하게 사는지 고민하는 독자도 있다. 이 책으로 ‘어떻게’에 대한 질문의 해답을 찾으려고 한다면 오산이다. 현재의 기쁨을 만족하는 ‘현금흐름성 행복’, 아니면 미래를 위해 차곡차곡 준비하는 ‘자산성 행복’을 위해 살아갈지 고민해야 한다.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누구나 가슴 속에 사회에 대한 불만을 하나씩 품고 산다. 우리는 ‘헬조선’의 쳇바퀴에 벗어나지 못한다고 불만을 늘어놓지만, 지금 어디서 누군가는 비정규직 신세에 벗어나지 못해 이 쳇바퀴에 오를 자격이 못 된 채 살기도 한다. 《한국이 싫어서》의 계나는 현실과 판타지의 경계선에 있는 중간 지점에 있는 인물이다. 그녀처럼 돈이라도 있으면 행복에 대해 고민할 시간이라도 있지, 아예 없으면 행복을 위한 도피를 꿈꿀 수조차 없다. 이 소설의 해피엔드는 팍팍한 사회에 지친 독자들을 위한 판타지적 선물처럼 느껴진다. 한국이 싫은데 이 불만을 어떻게 참고 살아야 할까. 뭐라도 손에 쥐면서 이게 뭘까 저게 뭘까 고민이라는 걸 하고 싶다. 이런 답답한 현실 앞에 대고 ‘싫으면 시집가’라는 농담도 할 수 없으니, 참. ‘한국이 싫으면, 시집가!’, 이 한 마디 농담을 하고 싶다.

 

 

 

 


댓글(25)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5-09-20 21:2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09-20 21:27   URL
비밀 댓글입니다.

안녕반짝 2015-09-20 21: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넉넉하게 10장 안되게 했는데 분량제안이 있으니 뭔가 할 말을 다 못해서 글이 이상해져 버리더라고요 ㅜㅜ 참여에만 의의를
두자 하고 그냥 올렸어요! 이 책은 재밌나요? <그믐,>은 뭐랄까 문학상에 잘 어울리는 작품이란 생각이 들었어요.

cyrus 2015-09-20 21:42   좋아요 1 | URL
네, 저도요. ㅎㅎㅎ 《한국이 싫어서》에 대해서 쓴소리 더 하고 싶었는데 분량 제한 때문에 더 쓰지 못했어요. 주인공이 고생해서 결국에 행복한 결말이 이르는 이야기가 재미있긴 한데, 사회에 대한 주인공의 불만이 공감되어서 재미있다는 느낌이 들지 않았어요. 그래도 《표백》보다는 어두운 분위기가 덜해서 좋았어요. 《그믐》의 서평을 몇 편 읽어봤는데 내용이 조금 어려울 것 같아요.

2015-09-20 21:41   URL
비밀 댓글입니다.

cyrus 2015-09-20 21:52   좋아요 1 | URL
저는 평소에 한국소설을 즐겨 읽지 않는 편인데 적립금 욕심 때문에 책을 읽고 글을 썼어요. 한국 시도 마찬가지에요. 시가 관념적일수록 독자는 자꾸 거기서 해석하려고 해요. 마치 수능시험 지문으로 나온 시를 분해하듯이 해석하는 것처럼요. 이래서 사람들이 시를 지루하고 어려운 글로 생각해요.

보물선 2015-09-20 21: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랑 별점이 같으십니다 ㅎㅎ

cyrus 2015-09-20 21:53   좋아요 1 | URL
제가 별점은 짜게 줍니다. ㅎㅎㅎ

2015-09-20 21:5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09-21 17:2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09-20 23:5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09-21 17:3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09-21 23:14   URL
비밀 댓글입니다.

ㄱㅈㅆㅇ 2015-09-21 07: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이런 개저씨스러운 농담을 들으면 한 대 치고 싶을 것 같군요.

cyrus 2015-09-21 17:37   좋아요 0 | URL
제 글 어느 부분에 불만을 느끼시는지 모르겠지만, 제 글을 비판하고 싶으면 회원 로그인으로 접속하셔서 좀 더 확실하게 말씀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저는 비속어, 모욕적인 단어를 쓰지 않는 비판이라면 받아들입니다. 이런 님의 아리송한 내용의 댓글을 보면 지우고 싶군요.

맥거핀 2015-09-21 10: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근데 여러모로 아무리 봐도 계나보다는 제가 더 한국을 싫어하는 것 같은데, 저는 이렇게 아등바등 한국에 껌딱지처럼 붙어있군요. 안 떨어지려고 애쓰면서..

AgalmA 2015-09-21 11:47   좋아요 0 | URL
어학 연수도 거부했던 me too;;

cyrus 2015-09-21 17:39   좋아요 0 | URL
저도 그래요. 대한민국 사람들은 다 그렇게 생각할 겁니다. 그나저나 아갈마님은 무슨 이유로 어학연수를 거부했는지 급궁금합니다.

AgalmA 2015-09-21 18: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학연수 보내주겠다는 나라가 싫어서ㅎ; 지나고나니 호강을 발로 찬 멍청이가 된!

cyrus 2015-09-21 18:38   좋아요 0 | URL
아이고, 이런... 웃을 수가 없군요.

북다이제스터 2015-09-21 20:24   좋아요 0 | URL
ㅠㅠ

북다이제스터 2015-09-21 20: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이 책 못 읽어보고 저자 인터뷰만 들었는데요... 저자 의도는 이민이 아니고 남아서 뭘 할것인지 반감을 느끼도록 일부러 이렇게 썼다고 하더라구요. 정말 그런 느낌 드는 책인가요?

cyrus 2015-09-22 18:15   좋아요 0 | URL
제 생각으로는 작가의 의도가 반은 실패했다고 봅니다. 왜냐하면 <한국이 싫어서> 서평을 몇 편 봤는데, 정말 이민이 답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었고, 대부분은 사회에 대한 반감만 확인하는 경우에 그치는 감상이었어요. 사회의 문제점을 자세하게 써서 좋긴 한데, 작가의 의도가 독자에게 제대로 어필했는지 의문입니다.

마키아벨리 2015-09-21 20: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부장님 유머로 받자면)시집이나 가라고 자꾸 그러셔서 여자들이 CGV에 많다는...

cyrus 2015-09-22 18:16   좋아요 0 | URL
이 글의 베스트 댓글로 선정하고 싶습니다. 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