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비세계문학 단편전집 프랑스 편 《이것은 소설이 아니다》(창비, 2010)에 발자크가 쓴 『붉은 여인숙』이 수록되어 있다. 이 작품은 『미지의 걸작』, 『영생의 묘약』과 함께 <인간 희극> 제2부 ‘철학 연구’에 포함되었다. 세 작품 모두 짧은 분량으로 이루어졌음에도 어떤 계층에 속하든 인간의 가장 원초적인 본능인 탐욕과 광기를 적나라하게 묘사하고 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발자크는 단편소설을 더 능숙하게 쓰는 것 같다. 그가 글을 잘 쓴다고 보기 어렵다. 발자크의 장편소설을 한 번이라도 읽어본 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발자크는 이야기의 시간적 또는 공간적 배경을 설명하는 데 최소 두세 쪽 이상을 쓴다. 그는 생리학자의 눈으로 세상을 관찰하여 그 모습을 통째로 종이에 옮기고 싶어 했다. 너무나도 자세하게 쓰는 습관 탓에 문장이 길어졌다. 《나귀 가죽》(문학동네, 2009)에서 라파엘이 친구에게 자신의 기구한 운명을 들려주는 대사가 압권이다. 라파엘은 어린 시절부터 시작해서 자신이 도박에 빠지게 된 계기까지 정말로 쉬지 않고 설명한다. 라파엘의 대사가 이야기 중반부를 차지하고 있어서 지루해도 끝까지 참고 읽어야 한다.
발자크는 은근히 잘난 척하기를 좋아한다. 그는 소설 속 등장인물이 되어 자신이 아는 최신 사상 이론을 설명한다. 《루이 랑베르》(문학동네, 2010)의 발자크의 자전적 소설이다. 루이 랑베르는 혼자서 무언가를 생각하고, 책 읽는 것을 좋아하는 조숙한 인물이다. 그는 스웨덴보리의 신비주의 사상에 심취하여 정신이 육체보다 더 우위를 두는 이론을 체계적으로 구상한다. 그리하여 열두 살의 나이에 ‘의지론’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집필한다. 하지만 논문은 완성하지 못한다. 그를 골탕먹이려는 동급생들이 신부에게 랑베르가 논문을 몰래 쓰는 사실을 밀고했기 때문이다. 신부는 논문 원고를 압수하고, 랑베르를 심하게 꾸짖는다. 소설에 나오는 ‘의지론’은 《나귀 가죽》에서도 나온다. 라파엘 역시 같은 제목의 논문을 집핍하는 걸로 나온다. 이 논문은 실제로 발자크가 완성하지 못한 책이기도 하다. 《루이 랑베르》 번역본의 분량은 얇은 편이다. 그러나 비교적 무난하게 읽을 수 있는 분량의 소설이라고 해서 만만하게 보면 안 된다. 《루이 랑베르》는 철학 소설이다. 이 소설 역시 <인간 희극> 제2부 철학 연구에 수록되었다. 랑베르가 줄기차게 사유하는 과정 하나하나 쫓아가기가 쉽지 않다. 이 소설의 화자는 랑베르가 유일하게 믿고 지내는 수도원 학교의 동급생이다. 랑베르는 화자에게 자신의 이론을 들려주면서 무한히 뻗어 나가는 사유의 힘에 스스로 경도된다. 독자는 랑베르의 철학적 장광설을 견뎌내야 한다. 단, 철학을 어려워한다면 과감하게 넘어가거나 속독할 것을 권한다. 정독하기보다는 역자 해설을 참고하는 것이 좋다.
발자크는 늘 세상을 생리학자처럼 꼼꼼하게 살펴본다. 그러나 글을 쓸 땐 각종 사상과 이론에 심취한 현학적인 철학자가 된다. 이렇게 쓸데없이 길게 쓰는 발자크의 글쓰기를 프랑스의 문학평론가 귀스타브 랑송은 ‘낭만주의의 악습’이라고 분석한다. 낭만주의 소설은 이성보다는 감정의 내면을 중시하여 공상과 환상을 동경한다. 발자크의 소설은 낭만주의에서 사실주의로 전환하는 중간 지점에 분류된다. 발자크는 무명 시절에 가명으로 고딕 소설을 썼으며, <인간 희극>에 수록된 단편소설에 고딕풍 분위기를 확인할 수 있다. 『영생의 묘약』은 E.T.A. 호프만의 환상소설에 영향을 받은 작품이다. 호프만은 인간 내면의 악마성에 지배당하는 오싹한 과정을 그린 환상소설 《악마의 묘약》(황금가지, 2002)을 발표했다. 『영생의 묘약』 또한 실수로 묘약을 잘못 바르는 바람에 악마로 변하는 인물이 나온다. 『사막에 싹튼 열정』에서 사막은 미지의 아름다움을 간직한 이국적 장소로 나온다. 여기서 발자크는 낭만주의의 한 경향인 이국적 취미를 드러낸다. 발자크가 상상력의 폭을 넓힐 수 있었던 문학적 배경을 이해할 때 낭만주의와의 관계까지 고려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