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조이스는 소설을 발표하기 전에 서평을 쓴 적이 있다. 한 번은 ‘아카데미’라는 잡지의 편집장 루이스 하인드로부터 서평 청탁을 받았다. 하인드는 조이스에게 서평 도서 한 권을 주었고, 칭찬 일색의 서평을 기대했다. 그러나 하인드의 예상과는 달리 조이스는 책에 대한 비판이 주를 이룬 내용의 서평을 작성했다. 조이스가 악평을 내놓자 하인드는 불평했다. 이런 식의 서평을 쓰면 앞으로도 잡지에 서평을 게재할 수 없다면서 으름장을 놓았다. 글쓰기로 밥벌이하는 조이스를 궁지에 몰아넣는 협박이었다. 그렇지만 조이스는 편집장의 협박 앞에서 기가 눌릴 사람이 아니다. 편집장에게 자신이 악평을 쓴 이유를 알려줬다. 그는 자신의 역할이 책 속에 발견한 미적 가치를 독자에게 전달하는 것이라고 했다. 하워드가 건네준 책에는 미적 가치라고 할 수 없는 내용이 없어서 쓰레기통에 쳐 넣어야 할 책이라고 생각했다. 조이스는 평생 글을 쓰는 데 있어서 진정한 ‘개썅마이웨이’였다. 자신이 쓰고 싶은 글에 대한 기준이 확고했다.
사실 조이스가 생각하는 서평 작성의 기준은 애매모호하다. 왜냐하면, 조이스가 생각하는 ‘미적 가치’가 어떤 것인지 정확하게 알 수 없기 때문이다. ‘미적 가치’라는 단어 안에는 조이스 스스로 부여한 주관적인 가치가 내포되어 있어서 하인드처럼 조이스의 악평을 동의하지 않는 사람이 있기 마련이다. 그래도 조이스는 서평을 쓸 줄 아는 사람인 건 분명하다. 그는 서평을 읽는 독자가 무엇을 요구하는지, 또 무엇을 전달해야 하는지 제대로 알고 있다. 독자가 서평을 읽음으로써 얻게 되는 지식은 문장에 난삽하게 버무려 놓은 서평가의 지식이 아니다. 독자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책 속의 메시지야말로 진짜 책 속에 있는 지식이다. 서평은 독자 앞에 열려 있는 문이다. 독자가 이 문을 여는 순간, 책의 텍스트에 도달한다. 즉, 내가 생각하는 좋은 서평이란 독자가 이 책을 읽게 싶게끔 초대하는 친절한 문이 되어야 한다. 현학적 수사를 남발하면서 얄팍한 지식을 뽐내려는 서평은 독자가 열 수 없는 문이다. 독자가 아무리 열심히 힘(서평 내용을 이해하려는 생각)을 줘도 지식으로 완전 무장한 문장의 자물쇠를 손쉽게 풀지 못한다. 독자는 서평가의 현학적 탐구열과 지적 수준이 묻어난 서평을 긍정적으로 동의할 수도 있다. 한 편의 멋진 서평이라고 칭찬한다. 그렇지만 정작 서평에서 얻어야 할 진짜 지식은 발견하지 못한다. 그냥 잘 쓴 서평을 보는 것만으로도 이 책의 내용을 거의 다 이해했다고 생각한다. 나는 서평이 단순한 요약에 가까운 북 다이제스트와 동등하게 받아들여지는 것에 대해선 부정적이다. 줄거리만 요약한 서평은 책을 읽으려는 독자에게 책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단점을 꼽자면, 독자가 북 다이제스트 같은 서평을 읽게 되면 서평 도서를 읽은 것으로 착각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책의 미적 가치를 발견하지 못한 서평을 읽는 것은 시간 낭비다. 하늘에 있는 조이스가 어떻게 마음에 들지 잘 모르겠지만, 내가 생각하는 책의 미적 가치란 독자를 편안하게 해주는 ‘사람 냄새’ 나는 진솔한 내용이다. 독일의 소설가 마르틴 발저는 책이 독자의 인생에 자극을 주지 못한다면 단지 종이에 불과하다고 말한다. 독자는 책 속에서 우리가 경험했던 인생의 체취를 맡고, 아픔과 불안을 느낀다. 발저는 독자가 책을 읽으면서 느끼는 감정을 책의 철자가 만들어 내는 고유한 색깔이라고 비유한다. 과장되지 않되 진솔한 인생의 감동을 고이 간직하는 책이 훌륭하며, 그 책의 장점을 독자에게 알기 쉽게 전달하는 서평 또한 훌륭하다. 독자는 책의 장점을 직접 느끼려면 그 책을 읽어봐야 한다. 그러면 독자도 책의 미적 가치를 공감할 수 있다. 내가 지금까지 쓴 서평이나 책에 관한 잡문은 책의 미적 가치를 제대로 포착하지 못했고, 현학적 자기도취에 빠진 딜레당트의 한계가 드러나 있다. 부족한 내용의 서평을 좋아하는 사람은 봤지만, 부족한 내용의 서평을 제대로 꼬집은 사람은 많이 보지 못했다. 후자는 서평을 제대로 읽는 사람이다. 서평가가 만든 문을 열고 책 속의 세계를 확인한다. 서평에 소개되는 미적 가치에 공감하여 그 책을 직접 읽어봤을 것이고, 더 나아가 책에 대한 서평가의 입장을 논리적으로 비판할 수 있다.
그러니 독자들이여, 서평가가 만든 문을 여시오. 여보세요, 지금 제 글에 ‘좋아요’를 누르신 분! 오늘 하루를 그냥 좋은 서평에 ‘좋아요’만 누르지 말고 서평도서를 읽어보시오. 책의 미적 가치를 느껴보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