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익 교수는 《나의 서양사 편력 1》(푸른역사, 2014) 서설에서 역사학은 다른 어떤 학문보다 사고의 유연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즉 역사는 시대에 따라 새로운 관점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리고 우리가 교과서나 책에서 알게 된 역사는 시대를 지배했던 기득권 논리를 대변하기 위해 첨가되고, 삭제되는 과정을 거쳐서 기록되었다. 기득권 세력이 어떻게든 덮어버리고 싶어 하는 부분들을 좀 더 세밀하게 오늘의 시점에서 재조명해볼 필요가 있다. 권력과 신화를 해체하고 인간의 전체 지식 안에서 올바른 진실을 찾음으로써 역사의 맨살을 볼 줄 알아야 한다.
‘노블레스 오블리주’에 대해 프랑스인에게 물어본다면 로댕의 ‘칼레의 시민’이라는 조각 작품에 대해 먼저 얘기할 것이다. 이 작품은 14세기에 영국과 프랑스가 싸운 백년전쟁 때 프랑스 칼레시를 구한 영웅적 시민 6명의 기념상이다. 당시 영국에 포위됐을 때 시민들을 위해 밧줄에 목을 매어 처형받기로 자원한 6명의 칼레 시민들을 조각한 것이다. 이 유명한 이야기의 유래를 알려면 백년전쟁(1337~1453)으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에드워드 3세가 이끄는 영국군은 칼레를 공격하기 시작했다. 칼레 시민들은 수 개월간의 항전 끝에 식량이 바닥을 드러내자 항복했다. 당황한 칼레의 시장은 영국 왕 에드워드 3세에게 자비를 구한다. 에드워드 3세는 칼레 시민들의 생명은 보장하겠지만, 시를 대표하는 6명이 교수형에 사용할 밧줄을 목에 걸고 맨발로 걸어 성문의 열쇠를 갖다 바칠 것을 명령한다.
그때 용감하게 나선 6명이 있었다. 당시 칼레시의 가장 큰 부호였던 이와 시장 등 6명 모두 풍요로운 삶을 누리던 귀족들이었다. 이들이 처형되려던 마지막 순간 에드워드 3세는 왕비의 간청을 듣고 그들을 살려줬다. 임신 중이었던 왕비는 태어날 아기를 위해서 6명의 시민을 사면해달라고 요청했다. 이 사건을 연대기 작가인 프르와사르이 기록함으로써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되었다. 박상익 교수는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상징 ‘칼레의 시민’」이라는 제목의 글(《나의 서양사 편력》 1권에 수록)에 칼레의 시민 이야기를 들려주면서 한국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본보기로 독립운동가 이회영 일가를 소개했다.
그러나 역시 서양사를 전공한 주경철 교수는 ‘칼레의 시민’ 이야기 속에 우리가 알지 못했던 불편한 진실을 보여줬다. 이미 일부 역사가들은 칼레의 시민 이야기가 프르와사르에 의해 과장, 왜곡되었다고 제기했다. 프르와사르의 기록 이외에도 현재 남아있는 칼레의 사건을 증명해주는 당대 문헌들이 20여 개가 있는데 칼레 시민들의 행동은 자신의 잘못을 참회하는 의미가 강한 공개적 종교 의례라고 적고 있다. 6명의 시민이 자신의 목숨을 희생하면서 용감하게 나섰다고 볼 수 없는 대목이다. 프르와사르의 기록은 칼레의 시민을 외세의 힘에 굴복하지 않는 강인한 애국 영웅으로 만들었고, 이야기는 민족주의적 감성을 불러일으키는 신화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