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후기 실학자 이덕무는 자신을 책 읽는 바보라는 별명을 지었다. ‘간서치(看書痴)’라는 제목의 자서전을 남기기도 했다. 그는 책 보는 일을 즐거워했다. 가난한 서얼 출신인 그는 남의 책을 베껴주는 품을 팔면서 책을 읽었다. 이뿐만 아니다. 풍열로 눈병이 걸려 눈을 뜰 수 없는 가운데 실눈을 뜨고 책을 읽었다. 동상에 걸려 손가락 끝이 곪아 피가 터질 지경인데도 책을 빌려달라는 편지를 쓸 정도로 치열했다. 장작이 없어 차가운 방 안에서 추위를 견디다 《한서》 한 질을 이불처럼 펼치고, 《논어》를 병풍으로 삼아 냉기를 막았다는 이덕무의 일화는 독서에 대한 남다른 열정을 보여준다.
이덕무는 독서에 네 가지 유익함이 있다고 했다. 책을 읽으면 배고픔을 잊게 해준다. 추위를 막아주며 근심과 번뇌를 없애주는 데다 기침까지 낫게 해준다는 것이다. 이덕무에게 독서는 기운과 기운이 통하여 막힌 것을 뚫어주게 만드는 우주의 이치다. 다만 건강이 안 좋은 상태에서 독서가 지나치면 독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독서가 질병을 말끔히 치유해주는 만능 치료법이라고 할 수 없다. 이덕무처럼 눈병에 걸린 상태에서 무리하게 책을 읽으면 시력이 더 악화할 수도 있으니까. 독서의 치유 효과는 플라세보 효과의 예로 보면 좋겠다. 병을 낫게 할 수는 없어도 책을 읽으면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데 도움은 된다. 실제로 영국의 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 6분 정도 독서를 하는 사람의 심장 박동수와 근육 긴장이 풀어지는 것이 확인됐다. 음악 감상, 커피 마시기, 산책 등과 같은 스트레스 해소법들보다 독서가 스트레스를 낮추는 데 더 큰 효과가 있었다.
이처럼 독서가 살아가는 데 있어서 유용한 장점과 효과가 너무나도 많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독서를 무시하는 경향이 늘어나고 있다. 우린 이덕무처럼 굶주리지도, 춥지도 않지만, 책을 읽지 않는다. ‘책 안 읽는 사회’라는 불명예스러운 표현은 지겹도록 들었다. 무슨 연유인지 책을 읽는 사람을 보면 무슨 별에서 온 외계인처럼 신기하게 쳐다보거나 대놓고 무시하고, 비아냥거리기도 한다. 오늘 동아일보 1면에 보도된 기사 중에 ‘책따’라는 신조어가 등장했다. 책을 읽으면 따돌림을 당하는 현상을 뜻한다. 쉬는 시간에 학생이 책을 읽으면 다른 학생들이 그에게 다가와서 장난을 걸면서 독서를 방해한다. 아이들은 독서를 구닥다리 행위로 여긴다. 게다가 책 읽는 아이가 보면 은근히 질투심도 느껴진다고 한다. 마치 책 읽는 모습이 잘난 척하는 것처럼 보인다.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은 조그만 교실에 갇혀 똑같은 내용만 암기하면서 배우고 있다. 교실은 3년 내내 배틀 로얄(Battle Royale)이 펼쳐진다. 연필이라는 무기를 들고 시험에 좋은 성적을 받을 수 있는 전략서인 문제집을 풀기 시작한다. 30여 명 남짓의 학생들은 친구를 밟고 올라가야 하는 입시제도에 벗어날 수 없다. 탈출구는 없다. 이 게임이 끝나려면 잔인하게 수능시험을 쳐야 한다. 수능시험은 최후의 결전이다. 이 결전을 대비하기 위해 고등학생들은 3년 동안 교과서와 문제집을 봐야 한다. 수능시험이 끝나고 성적표를 받게 되면, 입시 배틀 로얄은 종료된다. 여기서 명문대에 가는 학생은 배틀 로얄에서 살아남은 승리자다. 입시에 인질 잡힌 학생들에게 독서는 사치다. 아니, 최후의 결전에 승리하는 데 있어서 독서는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책 읽을 시간에 문제집을 더 보게 된다. 이래서 책 읽는 사람은 교실의 별종이다. 독서를 곧 입시 경쟁에서 한발 뒤로 물러나는 탈선으로 생각한다. 오늘날의 교실은 책을 읽고 싶어도 마음대로 책을 읽을 수 없는 공간이 되고 말았다. 이곳은 교과서와 문제집만 허용된다. 교실의 아이들이 불쌍하다. 이런 환경이 익숙해져서 독서의 즐거움을 모른다. 교육 기관은 '책따' 문제를 해결하려고 독서 문화를 장려하는 제도를 시행할 것이다. 하지만 아이들에게 맞지 않은 무기를 억지로 장착하는 셈이다. 책을 많이 읽게 해서 성적에 반영하는 교육 체제는 또 다른 경쟁을 낳는다. 오히려 독서를 더욱 기피할 수 있다.
한가하게 앉아서 책이나 읽는 시대는 지나갔는지도 모른다. 이렇게 책을 읽어 내린 선조들의 미덕이 언제 끊겼나 싶다. 학생들은 수험공부에 시달리고 어른들도 독서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점점 줄어든다. 경제적인 여유가 있는 사람들은 유흥과 환락 쪽으로 관심을 기울이고 생활이 어려운 사람들은 상대적 빈곤감에 빠져 마음의 수양을 뒷전으로 보내 책을 가까이하지 않는 사회가 된 것이다. 어느 시대에나 책만 읽고 살아가기는 힘들다. 그러나 아무리 세상이 바뀌어도 책은 만들어질 것이며, 누군가는 책을 읽으며 내일을 꿈꿀 것이다. 물건이야 낡을수록 기쁨이 사그라지지만, 책은 읽을수록 충만해지는데 우리 책의 신세는 왜 비루한지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