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망 좋은 [책]방
EP. 3
2021년 1월 9일 토요일, 수성못이 얼 정도로 추웠음.
“책방에 오실 때 사진기 꼭 챙겨오세요. 오랜만에 사진 찍는 모습을 보고 싶어요.” 담담 책방(담담)에서 ‘특별한 지인’을 만나기로 했다. 그분을 안 본 지 거의 일 년 조금 넘었다. 나는 책방에 먼저 가서 지인을 기다리기로 했다.

지인은 커피를 좋아한다. 그래서 ‘서재를 탐하다(서·탐)’ 책방에서 판매하는 케냐 AA 커피 원두 가루를 챙겨왔다. 연말에 서·탐 책방지기가 케냐 AA 원두 가루를 담은 작은 봉투 세 개를 선물로 줬다. 갈색 종이 봉투를 열면 그 안에 종이 주머니(티백)가 있다. 종이 주머니를 연 다음, 그것을 찻잔 안에 고정한다. 뜨거운 물을 종이 주머니에 붓는다. 그러면 종이 주머니에서 우러나온 커피가 찻잔을 채운다.
담담에 오면 책방지기가 커피를 대접했다. 이번에는 내가 대접할 차례다. 그런데 내가 너무 기분이 들떴던 것일까. 작은 실수를 저질렀다. 종이 주머니를 열지 않은 채 그냥 뜨거운 물을 부었다. 책방지기는 실제로 녹차를 마시듯이 종이 주머니에 뜨거운 물을 부어서 커피를 마시는 방식이 있다고 말했다. 그분은 커피 향과 맛이 좋다고 했다. 다행이다.
오후 2시가 조금 지난 뒤에 ‘지인’을 드디어 책방에서 만났다. 이 분이 누구냐면‥…

사진 에세이를 낸 작가이자 알라딘 블로거인 유레카(yureka01) 님이다. 사진 에세이를 낸 작가이자 알라딘 블로거인 유레카 님이다. 그분의 한 손에 《소리 없는 빛의 노래》 다섯 권이 들려 있었다.
* 유병찬 《소리 없는 빛의 노래》 (만인사, 2015)
유레카 님은 책방에 오자마자 사진기를 꺼냈다. 책방 내부를 쭉 둘러보면서 사진을 찍기 시작했다. 유레카 님은 작년에 어떻게 지내셨을까? 유레카 님은 이직에 성공했지만, 새로운 일에 적응하느라 시간적 여유가 없었다. 그래서 독서와 사진 찍기는 물론 블로그 활동도 하지 못했다. 유레카 님은 뒤늦게 경제와 투자에 눈을 떴다고 했다. 노후 보장을 위해서 틈틈이 경제 및 투자 관련 공부를 하고 있다고 한다.

책방지기, 유레카 님, 그리고 나, 이 세 사람은 커피를 마시면서 대화를 나눴다. 아무래도 유레카 님과 나는 알라딘 블로거라서 ‘알라딘’에 대한 이야기가 안 나올 수가 없다. 책방지기는 책과 쓰기 마니아들이 모인 ‘알라딘 서재’에 흥미를 보였다. 유레카 님은 알라딘 서재의 좋은 점을 주로 얘기했지만, 반대로 나는 알라딘 서재의 문제점과 한계 들을 언급했다. 삼자 대화를 할 땐 나 같은 악당(villain) 한 명은 있어야 한다.
유레카 님과 두 시간 동안 대화를 나눴고, 그분은 먼저 집으로 돌아갔다. 나는 담담이 잠들 때까지 계속 책방에 있었다. 나만의 시간이 다시 돌아왔다. 그런데 담담 책방 안에 있는 히터가 고장나는 바람에 책방 내부는 냉기로 가득했다. 책방지기는 히터를 고치기 위해 정비업체 직원을 불렀다. 히터 고장의 원인을 자세하게 알지 못했지만, 당장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닌 것 같았다. 주말 첫날이라서 그런지 그날은 책방지기가 바빠 보였다. 유레카 님이 가고 난 후에 대구 녹색당원으로 활동 중인 부부가 책방에 왔다. 책방지기는 그분들을 반갑게 맞이했고, 커피를 대접했다.
부부가 가고 난 후에 책방지기는 자신의 작은 사무실(책방 안에 있는 작은 방)에 들어가 개인 업무를 봤다. 나는 부부가 앉은 탁상 위에 놓은 두 개의 찻잔을 치웠다. 책방지기 관계자가 아니더라도 이런 일은 누구나 할 수 있다. 커피를 다 마셨으면 빈 찻잔을 스스로 치우는 건 당연한 일이다. 책방지기가 바쁘면 책방에 있는 손님이 책방 정리를 해야 한다.
책방지기는 기회가 되면 서·탐과 같은 동네 책방에 가보고 싶다고 했다. 나는 그분의 마음을 잘 알고 있어서 담담 책방지기와 서·탐 책방지기가 만날 수 있게 연결고리를 만들어보려고 노력 중이다. 그런데 두 분 모두 각자 개인적인 사정이 있어서 만나기가 쉽지 않다. 그래도 책방지기 두 분이 서로 만나는 날이 오리라 믿는다. 제발 그 날은 마스크를 쓰지 않아도 되는 날이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