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이 내리고 온 세상이 하얗게 뒤덮혔다. 길도 사라졌다. 순백의 세상이다. 아무도 걷지 않은 이 하얀 도화지에 발자국을 남기는 것은 왠지 모를 설렘을 준다. 먼저 걷는 기분. 두려움과 설렘이 교차하는 묘한 느낌이다.

 

누군가 이 발자국을 따라 걸을 것이다. 이내 다른 길로 접어들지 모르지만 발자국은 길을 인도한다. 그러나 한명 두명 발자국이 이어지다 보면 이 길은 가장 먼저 빙판길이 되어버린다. 발에 밟힌 눈이 점차 녹아 추위에 얼어붙는 것이다. 누군가 걸어간 길은 이렇게 미끄러운 법이다. 아무 생각없이 걷다가는 꽈당 넘어지기 십상이다.

 

그러니 긴장하라. 남의 길은 넘어지기 일쑤이니. 그러니 걸어보라. 새로운 길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건강하게 장수를 누리다 돌아가신 어르신이 장기 기증을 하셨다. 그런데 심장을 보니 20대의 것처럼 튼튼했다고 한다. 언뜻 생각하기엔 이렇게 심장을 튼튼하게 유지했기에 장수가 가능한 것처럼 보인다. 그런데 실상은 20대 심장을 유지하기 위해 많은 영양분을 쏟아부어야만 했다. 즉 다른 장기에 골고루 쓰여져야 할 영양분이 낭비가 된 셈이다. 심장이 다른 장기와 비슷하게 늙어갔다면 이 어르신은 보다 더 오래 사셨을 가능성이 높다. 건강에 있어서도 지나침은 부족함만 못한 것이다.

동양의 오행을 바탕으로 한 인체관에 있어서 목,화,토,금,수 중 어느 하나가 너무 과해도 건강상에 문제가 발생한다. 힘이 세고 튼튼하면 좋은 것처럼 보이나 결코 그렇지 않은 것이다. 화평지인, 즉 중용의 도는 나의 몸을 건강하게 유지하는 데서도 꼭 필요한 방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생물간의 관계는 경쟁, 공생, 포식, 기생 이렇게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자본주의는 이중 경쟁을 특화해서 문명의 발전을 꾀한 것은 아닌가 생각해본다. 그런데 자연 속에서의 경쟁은 일정한 한계점을 둔다. 자원을 선점하기 위한 쟁탈 경쟁에 있어서 서로간의 영역을 침범하지 않는 선에서 생태계의 균형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 균형이 힘에서 비롯된 것인지, 협상에 의한 것인지는 정확히 알 수가 없지만 말이다.

자본주의를 굴러가게 만드는 경쟁은 시간이 지나면서 그 정도가 심해지게 되고, 급기야 경쟁으로 인해 포식이나 기생이라는 관계로 나아간듯하다. 즉 경쟁에서 이긴 개체가 모든 것을 다 갖는 포식자로서의 위치를 점하게 된 것이다. 이것이 바로 1%대 99%로 나뉘게 된 현재의 모습이지 않을까. 그리고 그 1%에 기생해서 겨우 목숨을 이어가는 사람들도 등장하게 된다. 하지만 이런 포식과 기생은 결코 영원할 수 없다. 포식의 대상이 되는 99%가 무너지면 포식자 또한 굶어죽게 마련이니까.

그래서 등장한 것이 바로 공생이다. 착한 경제라는 말로, 또는 복지라는 말로 우리 사회에 등장하게 된 공생은 생물간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마지막 탈출구인 셈일지도 모른다. 경쟁은 하되 공생할 수 있는 법을 찾자는 것. 그것이 바로 이번 대선의 중요 쟁점사항이 될 것이며, 진짜 공생의 길로 함께 나아갈 수 있는 바른 지도자를 뽑는 것이 한국이라는 생태계가 살아남는 현명한 선택일 것이다. 우리는 공생해야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단풍이 고운 시절이다. 산으로 산으로 사람들의 발길이 이어진다. 하지만 단풍이 산에만 있는건 아니다. 회색도시 곳곳에도 색의 향연이 펼쳐지고 있다. 다만 빠른 발걸음 속에서 휙~ 하니 스쳐 지나가기 일쑤이지만.

 

한강변 어느 아파트 담벼락을 기어오르던 담쟁이잎에도 단풍이 들었다. 같은 뿌리에서 나왔지만 색이 드는 속도는 천차만별이다. 아직 푸른빛을 유지하는 것에서부터 검붉은 색까지. 그런데 정작 이 아파트에 살고 있는 대다수 사람들은 이 아름다운 장면을 구경하지 못했을 것이다. 이 담벼락은 출입구와 반대편에 있기 때문이다. 평소 드나들던 길이 아닌 곳을 굳이 수고를 들여 돌아보지 않는한 담장 안의 사람들은 결코 볼 수 없는 풍경인 셈이다. 자신이 살고 있는 곳이면서도 자신은 보지 못하는 아름다운 풍경을 갖고 있는 것이다.

 

우리 마음도 그러할 것이다. 일상의 찌든 마음, 지지고 볶고 사는 과정에서 제 마음 속 아름다운 풍경을 놓치고 있을지 모른다. 그래서 사회 속 일탈이 아니라 마음 속 일탈이 필요하다. 내가 쳐놓은 마음의 울타리를 벗어나 보자는 것이다. 혹시 이런 아름다운 담쟁이잎이 그 울타리 너머에서 마음 속으로 오르려 애쓰고 있음을 알아챌지 모르니. 지금 이 순간 이런 아름다움이 있다는 것을 모르고 지나친다는 것은 얼마나 안타까운 일인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2-10-22 11:22   URL
비밀 댓글입니다.

하루살이 2012-10-23 21: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글을 통 못쓰다 겨우 짬을 내 쓰기 시작하니 옛적 친구(?)들의 인사가 너무 반갑습니다. 제 마음은 사막인줄 알았다가 최근에 비바람을 맞고서야 아름다운 풍경이 있다는걸 알아챘습니다. 그 아름다움을 볼 수 있는 마음의 일탈. 정말 필요해 보여요.
 

예전엔 미처 몰랐다. 가을꽃이 이렇게도 찬연하고 아름답다는 것을. 서정주 시인의 '국화 옆에서'가 그리도 절절한 울림이었음을.

 

겨울이 지나 봄이 오면 만물이 생동한다. 사람도 동물도 식물도 기지개를 펴고 햇빛을 만끽하기 시작한다. 따스함을 온몸으로 받아들인다. 그 약동의 기운에 꽃도 얼굴을 내민다. 봄꽃이 주는 화사함이다. 그런데 이 봄의 기운을 담담히 받아들이는 것들이 있다. 그리고 뜨거운 한여름도 견디어낸다. 마침내 가을, 찬바람이 불어오면 드디어 꽃을 피우기 시작한다.

 

기다림을 아는 꽃이다. 그 기다림이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